【원서로 세상읽기】역사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 3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3.28 09:00 의견 0

In short, the history of the Short Twentieth Century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the Russian revolution and i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Not least because it proved to be the saviour of liberal capitalism, born by enabling the West to win the Second World War against Hilter’s Germany and by providing the incentive for capitalism to reform itself and —paradoxically— through the Soviet Union’s apparent immunity to the Great depression, the incentive to abandon the belief in free market orthodoxy. --Eric Hobsbawm, The Age of Extremes, P84

요컨대 짧은 20세기의 역사는 러시아혁명과 그것의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영향 없이는 이해할 수 없다. 이는 특히 러시아혁명이 서방으로 하여금 제2차 세계대전에서 히틀러의 독일을 이길 수 있게 해주고, 자본주의로 하여금 스스로를 개혁하도록 동기를 제공하고, 대공황에 대한 소련의 명백한 면역을 통해 자유시장 정통 교리를 버리도록 고무함으로써 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구세주인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에릭 홉스봄 <극단의 시대> 중에서

But for it, there would certainly have been no Hitler. There would almost certainly hav been no Roosevelt. It is extremely unlikely that Soviet system would have been regarded as a serious economic rival and alternative to world capitalism. The consequences of the economic crisis in the non-Europe or non-Western world, which are sketched elsewhere, were patently dramatic. In short, the world of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s incomprehensible without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economic collapse. --Eric Hobsbawm, The Age of Extremes, P86

경제 붕괴가 없었다면 확실히 히틀러도 없었을 것이다. 거의 확실히 루스벨트도 없었을 것이다. 소련 체제가 세계 자본주의에 대한 만만치 않은 경제적 대항마이자 대안으로 간주될 가능성은 지극히 낮았을 것이다. 다른 데서 묘사된 비유럽 세계나 비서방 세계에서의 경제위기의 결과는 분명히 극적인 것이었다. 요컨대 경제 붕괴의 충격을 이해하지 않고는 20세기 후반의 세계를 이해할 수 없다. -같은 책 중에서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사학자인 에릭 홉스봄은 인류가 혁명의 시대(1789∼1848), 자본의 시대(1848∼1875), 제국의 시대(1875∼1914)를 거쳐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1914년부터 1991년 소련의 붕괴까지를 ‘극단의 시대’로 규정했다. 저자는 유럽중심주의적 자본주의 체제가 세계를 지배하고 있으며, ‘서구지향적’ 소수 엘리트가 제3세계 변혁의 주체라고 판단한다.

◆ <The Landscape of History(역사의 풍경, 2002)>

미국 예일대학교 역사학 교수인 John Lewis Gaddis(존 루이스 개디스, 1941~ )는 냉전사의 대가이다. 저서로 <The Cold War(냉전, 20005)>, <On Grand Strategy(대전략론, 2018)> 등이 있다. 본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의 등장으로 위기에 몰린 역사학을 바라보는 현대적 해석을 담은 책이다.

We pride ourselves on not trying to predict that the future, as our colleagues in economics, sociology, and political science attempt to do. We resist letting contemporary concerns influence us —the term “presentism,” among historians, is no compliment. We advance bravely into the future with our eyes fixed firmly on the past: the image we present to the world is, to put it bluntly that of a rear end. --P2

역사가는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분야에서 동료들이 시도하는 미래예측을 하지 않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 현재의 관심이 자신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거부한다. 현재주의는 역사가에겐 칭찬이 아니다. 우리의 눈은 과거에 확실히 고정된 채 미래로 용감하게 나아가고 있다. 역사가가 세상에 제공하는 이미지는 솔직히 말해 백미러로 보여지는 이미지다.

Studying the past is no sure guide to predicting the future. What it does do, though, is to prepare you for the future by expanding experience, so that you can increase your skills, your stamina—and, if all goes well, your wisdom. --P11

과거를 공부한다는 것은 미래를 예측하는 확실한 가이드가 아니다. 그것의 하는 일은 경험을 확대하여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당신의 기술과 스태미나, 그리고 모든 일이 잘 풀려나간다면 지혜를 증가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Historians believe in contingent, not categorical, causation. “It all depend,” we’d continue, before holding forth on all that the future of China(or whatever else it might) is likely to depend upon. --P64

역사가는 단정적이 아니라 우연적인 인과관계를 믿는다. 따라서 역사가는 중국의 미래(혹은 그 밖의 어떤 것이라도)가 의존하는 모든 요소를 주장하기 전에 “경우에 따라 다르다”고 이야기할 것이다.

Historians work with limited, not universal, generalizations. We rarely claim applicability for our findings beyond specific times and places. --P63

역사가는 제한적이고 보편적이지 않은 일반화를 추구한다. 역사가는 자신의 발견에 대한 적응력이 특정 시간과 장소를 넘어서는 것임을 거의 주장하지 않는다.

Historians are in good position to serve as a bridge between the natural sciences on the one hand, and the social science on the other. But first we’ll have to recognize the strategic position we occupy in the Great interdisciplinary Chain of Being. --P89

역사가는 한쪽에 자연과학과 다른 쪽의 사회과학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하기에 좋은 위치에 서 있다. 그러나 먼저 역사가는 거대한 학제간 연구의 세계에서 역사학이 차지하고 있는 전략적 위치를 인식해야 한다.

That purpose is, I now want to argue, to achieve the optimal balance, first within ourselves but then within society, between the polarities of oppression and liberation. --P147

이제 나는 역사가의 목적이 첫째는 역사가들 사이에서, 그 다음은 사회 내에서 억압과 해방의 양극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싶다.

◆ <The Uses and Abuses of History(역사의 사용과 남용, 2009)>

캐나다 출신의 역사학자 Margaret MacMillan(마거릿 맥밀런, 1943~ )은 영국 총리를 지낸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1863~1945)의 외증손녀이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대영제국사에 정통한 역사학자로 알려진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The passion for the past is clearly about more than market forces or government policies. History responds to a variety of needs, from greater understanding of ourselves and our world to answers about what to do. For many human beings, an interest in the past starts with themselves. That is in part a result of biology. Like other creatures, humans have a beginning and an ending, and in between lies their story. --P6

과거에 대한 열정은 분명히 시장의 힘이나 정부 정책 이상의 것이다. 역사는 우리 자신과 우리 세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부터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답변까지 다양한 요구에 응답한다.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과거에 대한 관심은 자기 자신에서 시작한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생물학적 결과다. 다른 생명체처럼 인간에게도 시작과 끝이 있고, 그 사이에 자기의 이야기가 있다.

Dictators, perhaps because they know their own lies so well, have usually realized the power of history. Consequently, they have tried to review, deny, or destroy the past. Robespierre in revolutionary France and pol Pot in 1970s Cambodia each set out to start society from the beginning again. Robespierre's new calendar and Pol Pot's Year Zero were designed to erase the past and its suggestions that there were alternative ways of organizing society. --P23

독재자들은 대개 자신들의 거짓을 아주 잘 알기 때문에 역사의 힘을 늘 인식했다. 결과적으로 독재자들은 과거를 고쳐 쓰고, 부정하고, 파괴하려고 했다. 프랑스혁명 때의 로베스피에르와 1970년대 캄보디아의 폴 포트는 각각 사회를 처음부터 다시 출범시키려고 했다. 로베스피에르의 새로운 달력이나 폴 포트의 영년은 과거와 사회를 조직할 대안이 있다는 과거의 제안을 말살하기 위한 것이었다.

Mao went one better: he tried to destroy all memories and all artefacts that, by reminding the Chinse people of the past, might prevent him from remodelling them into the new Communist men and women. --P23

마오쩌둥은 한 술 더 떴다. 그는 과거의 중국 인민을 개조하여 새로운 공산주의자로 만드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는 모든 기념물과 문화유산을 파괴하려고 했다.

In the Soviet Unions, Stalin wrote his great rival Leon Trotsky became out of books and the photographs and the records until Trotsky became, in George Owell's chilling formulation, “an un – person.” The true record of Trotsky showed, after all, that Stalin was not the natural heir to Lenin, the revered founder of the Soviet Unions, and that he had not played the crucial role in te victory of the Bolsheviks over their many enemies. --P23

소련에서 스탈린은 거물 경쟁자인 레온 트로츠키를 책과 사진과 기록에서 지워버렸다. 트로츠키는 조지 오웰의 섬뜩한 표현대로 ‘말소된 자’가 되었다. 그러나 트로츠키의 진실한 기록은 스탈린이 소련의 존경받는 창시자인 레닌의 자연스런 승계자가 아니며, 수많은 적들에 대한 볼셰비키 승리에 결정적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History is a way of enforcing the imagined community. Nationalists, to take one example, like to claim that their nation has always existed back into that conveniently vague area, “the mists of time.” --P58

역사는 상상의 공동체를 강요하는 수단이다. 하나의 예를 들면, 민족주의자들은 자기 민족이 관습적으로 모호한 지역인 “태곳적”부터 늘 존재해왔다고 주장하기를 좋아한다.

A paradox, as the British historian Eric Hobsbawm put it, is that “nationalism is modern but it invents for itself history and traditions,” The histories that fed and still feed into nationalism draw on what already exists rather than inventing new facts. --P84

영국의 역사가 에릭 홉스봄의 표현처럼, 역설적이게도 “민족주의는 현대의 것이지만 자기 스스로 역사와 전통을 만들어냈다.” 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민족주의를 먹여 살리고 있는 역사는 새로운 사실을 만들어내기보다 이미 존재하는 것들을 이용한다.

Japan, like Austria, portrayed itself as a victim in the years after the war. It used the bomb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in part as a way of deflecting attention from its own crimes. It was slow to offer compensation, for example, to the Korean women it forced to serve as prostitutes for its soldiers. --P135

일본은 오스트리아처럼 제2차 세계대전 후에 스스로를 희생자로 그려냈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사실을 이용해 자신들의 전쟁범죄에 대한 관심을 분산시켰다. 예를 들면, 일본군에 창녀로 강제로 성을 제공한 한국 위안부 여성에 대한 보상을 지연하고 있다.

We can learn from history, but we also deceive ourselves when we selectively take evidence from the past to justify what we have already made up our minds to do. --P164

역사에서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마음속에 이미 무엇을 할 것인지 결심한 것을 정당화 하기 위해 과거에서 증거를 선별적으로 취할 때 우리 자신을 기만할 수 있다.

We should be wary of grand claims in history's name or those who claim to have uncovered the truth once and for all. In the end, my only advice is use it, enjoy it, but always handle history with care. --P170

우리는 역사의 이름으로 내세우는 거창한 주장이나, 진실을 단정적으로 주장하는 자들을 경계해야 한다. 요컨대, 나의 조언은 이것이다. 역사를 사용하고 즐기되, 언제나 신중하게 다루어라.

◆ <History and Historians: A Historiographical Introduction(역사와 역사가들: 역사서술 개론, 2009)>

이 책은 텍사스 크리스천대학교의 역사학과 교수인 마크 길더러스(Mark T. Gilderhus, 1941~2015)가 7번에 걸쳐 개정한, 한마디로 ‘역사적인’ 책이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은 ‘친기독교적’인, 아니 더 나아가 ‘기독교의 (혹은 기독교 사상가의) 역사적 기여도’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역사를, 각 시대의 역사가들이 어떠한 활동을 남겼는지를 쫓아가면서 소개 평가하고 있다.

History comprised the recollections of all the people. Santayana's belief affirmed that things learned from experience could aid in the avoidance of mistakes, pitfalls and catastrophes in the future. --P4

역사는 모든 사람들의 회상으로 구성된다. 미국의 철학자 산타야나의 확신은 경험에서 배운 교훈이 미래에 실수, 함정, 그리고 대재앙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언했다.

Another reason for studying history is utilitarian and practical. According to this rationale, history has a useful application because it helps us to calculate the anticipated consequences of our own acts better. --P7

역사를 연구하는 또 다른 이유는 실용적이고 실제적이다. 이러한 근거에 의하면 역사는 우리 자신의 활동에서 예상되는 결과를 우리가 보다 잘 예견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Historians typically construct their narratives by affirming the existence of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and appraising the connections between the actions of historical figures, their motives, and consequences. --P8

역사가는 전형적으로 원인-결과 관계가 존재한다고 확인하고, 역사적 인물들의 활동, 그들의 동기, 그리고 실제 결과 사이의 연관관계를 평가함으로써 자신의 서사를 구성한다.

All leaders should learn from the mistakes of the past. Indeed, they should master the arts of politics, statecraft, and warfare only from the study of history. --P16

모든 지도자들은 과거의 실수로부터 배워야만 했다. 실제로 그들은 역사의 연구를 통해서만 정치, 통치, 전쟁의 기술에 숙달할 수 있었다.

Vico proposed to employ the study of linguistics, mythology, and law as primary keys to unlock the meaning. Historians could never comprehend their predecessors unless they learned to see the people as the people viewed themselves. --P38

이탈리아 철학자 비코는 과거의 의미를 밝힐 주요한 열쇠로 언어학, 신화학, 법학에 대한 연구를 이용할 것을 제안했다. 역사가들은 사람들이 자신을 보았던 것처럼 조상들이 사람들을 보는 법을 배우자 못하다면 결코 그들 조상들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Affirming a linear and progressive view of historical development, Marx put philosophy of history in service to revolution. As he remarked as young man, “the philosophers have only interpreted the world, in various ways; the point, however, to change it.” --P45

마르크스는 역사적 발전에 대한 직선적이고 진보적인 견해를 단언하여 역사철학이 혁명에 기여하도록 했다. 그가 젊어서 말했듯이 “철학자들은 세계를 다양하게 해석해왔을 뿐이며,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For the past to taken on vitality and meaning, historians had to make it come alive with relevance by rethinking it in their own minds. For this reason, Croce drew the conclusion that “All history is contemporary history.” --P73

과거가 활력과 의미를 지니려면 역사가들이 과거를 자신들의 마음속에서 재사유함으로써 과거를 관련성이 있도록 생생하게 만들어야 했다. 이러한 이유로 크로체는 “모든 역사는 현대사”라는 결론을 도출했다.

History no longer sets forth common stories that presumably speak for the identity and experience of all readers. --P123

역사학은 더 이상 모든 독자의 정체성과 경험을 대변하는 듯한 공통의 이야기를 내놓지 않는다.

If historians can agree on little else, at least they should rejoice in the knowledge that they have many true stories to tell about this human past. --P124

역사가들은 사소한 것에 동의할 수 있지만 적어도 자신들에게 인간의 과거에 관해 말하는 진실한 이야기들이 많다는 것을 깨닫고 즐거워해야 한다.

◆ <History; Why it matters(역사; 무엇이 문제인가, 2018)>

캘리포니아대학교 UCLA(L.A.캠퍼스) 근대유럽사 교수인 Lynn Hunt(린 헌트, 1945~ ) 여사는 프랑스혁명, 젠더사, 역사기록학에 정통한 학자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과거에 대한 진실 모색은 지속적인 발견 과정이고, 역사는 증거가 정직하게 제시되는 데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말한다. <Inventing Human Rights(인권의 발명, 2017)>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Everywhere you turn, history is at issue. Politicians lie about historical facts, groups clash over the fate of historical monuments, officials closely monitor the content of history textbooks, and truth commissions proliferate across the globe. --P1

어디에서나 역사가 문제다. 정치인들은 역사적 사실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온갖 집단들이 유적의 운명을 놓고 충돌한다. 관료들은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면밀히 조사하고, 전 세계적으로 진상규명위원회의 활동이 급증하고 있다.

Holocaust denial has become the model for those who want to lie about the history; its promoters simply refuse to admit the validity of eyewitness accounts of victims and of those who liberated the concentration camps as well as the subsequent painstaking historical research that established the names and numbers of those killed and traced the means and motives of the perpetrators in excruciating detail. --P3

홀로코스트 부정은 역사에 대해 거짓말하는 자들에게 모델이 되었다. 그 옹호자들은 희생자와 강제수용소를 해방시킨 사람들의 목격담과 살해된 사람들의 이름과 수를 확인하고 극도의 세부사항으로 가해자의 수단과 동기를 추적한 고통스러운 역사 연구의 타당성을 인정하기를 거부한다.

The Japanese have not been alone in wanting to skew history textbooks toward favorable depictions of the nation. Although a 2011 study of Japanese history textbooks concluded that they largely omitted the country’s oppressive colonial regime in Korea(1910-1946). --P12

일본은 자국을 우호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교과서를 왜곡하는 유일한 나라가 아니다. 2011년 일본 역사교과서 연구가 한국에 세운(1901~1945) 압제적 식민정권에 관련한 대부분을 생략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A truth commission is a kind of history hearing set up on the premise that the full truth about past murders, imprisonments, tortures, and discrimination must be told if the nation is to move forward. --P21

진상규명위원회는 국가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과거에 자행된 살상, 투옥, 고문, 차별에 대한 온전한 진실을 밝혀야 한다는 전제 하에 설립된 일종의 역사청문회이다.

Despite its occasional reliance on scientific techniques, history is not a science. It is a literary art that uses scientific techniques where relevant but whose fundamental aim is to tell a true story. the truthful part rests on documentations. --P37

과학기술에 대한 이따금 의존에도 불구하고 역사는 과학이 아니다. 역사는 관련이 있으면 과학적 기술을 사용하지만, 근본 목표는 진실한 이야기를 말하는 문학예술이다. 진실한 부분은 기록에 달렸다.

The West was portrayed as the sour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ultural advancement(“modernity”); the East was often dismissed with peremptory characterizations, not unlike those used by Muzzey to describe Native Americans. --P58

서양은 기술혁명과 문화발전(‘근대성‘)의 근원지로 묘사된다. 동양은 미국의 역사학자 머지가 미국 원주민을 설명하는 데 사용한 방식과 다르지 않게 강압적인 특성을 종종 무시했다.

To this day many believe that democracy, free markets, human rights, and rule of law —all variations on Hegel’s freedom—are Western values; in this line of thinking it is not clear what values the East might have to offer. For Hegel, the East stood for immaturity, unreflectiveness, subjugations, sensuality, and fanaticism. --P58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은 민주주의, 자유시장, 인권, 법치-헤겔의 자유에 대한 모든 변형-가 서양의 가치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사고방식에서는 동양이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 분명치 않다. 헤겔에게 동양은 미성숙, 무분별함, 예속, 호색, 광신을 의미했다.

Historical interpretations are by their nature fragile constructions, always subject to new discoveries and new notions of completeness. The same techniques that were used to reinforce ethic or national identity and create a sense of European superiority can also be used to challenge the ethnic or national narratives and undermine the Western sense of superiority. --P60

역사의 해석은 본질적으로 취약한 구조이고, 새로운 발견과 완전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에 있어 항상 대상이 된다. 민족이나 국가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유럽이 우월성을 형성하는 데 활용되었던 동일한 기법이 오히려 민족이나 국가의 서사에 도전을 제기하고 서양이 우월성을 훼손할 수도 있다.

It may not be the first line of defense of democratic societies, but it is actually quite near the front because an understanding of history heightens our ability to pierce through the fogs of willful misinformation that constitutes lying. Moreover, history strengthens democratic societies by providing constantly renewable fields for contests over identity. --P88

역사는 민주사회의 첫 번째 방어선이 아닐지라도 적어도 상위에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역사의 이해는 거짓을 구성하는 계획적인 왜곡이라는 안개를 헤치고 나갈 능력을 키워주기 때문이다. 아울러 역사는 정체성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경쟁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영역을 제공하여 민주사회를 강화시킨다.

Wisdom is not fundamentally altered by changes in technology, growth in population, or specialization of occupations. Wisdom can be found in learning about how people in the past confronted their challenges. --P113

기술의 변화, 인구 증가, 직업의 전문화에 의해서 근본적으로 지혜는 변하지 않는다. 지혜는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이 어떻게 도전을 직면했는지에 대해 배우면서 발견할 수 있다.

◆ 역사는 객관적 서술이 불가능하다

지금까지 3회에 걸쳐 역사학계에서 기라성 같은 14인의 역사론과 역사철학을 소개했다. 헤겔은 아시아인 중국에서는 한 사람만 자유롭다며 동양을 폄하했고, 크로체는 과거의 사실을 현대의 입장에서 해석해야 한다며 ‘모든 역사는 현대사’라고 했다. 지성인 행동의 전형으로 ‘역사가의 장인적 기질(Craft)’을 역설한 마르크 블로흐와 마르크스의 역사법칙주의를 부정한 칼 포퍼의 주장은 공감이 된다. 평생 동안 공산당원을 유지한 마르크스주의자 에릭 홉스봄과 진보주의 사학자 하워드 진, 에릭 포너의 역사관도 우리의 사고의 영역을 확장한다. 역사를 해체하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를 비판한 리처드 에반스와 개디스 교수, 그리고 다양한 역사의 교훈을 알려 준 윌 듀런트에게서 많은 것을 배운다.

한국사에서도 다양한 역사 해석이 존재한다. 조선이 세계에서 같은 종족을 노예로 삼은 유일한 국가이며, 조선시대를 노예제 시대라 정의하는 제임스 팔레 교수가 있는 반면에, 고려와 조선의 과거제도나 관료제 통치제도가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웨버가 근대에 추구한 제도이기에 조선이 근대시대라는 반론도 있다. 조선시대에 실학은 없으며, 모든 실학자들이 철저한 주자학자로 조선은 주자학의 범위를 한 치도 벗어나지 못했다는 해석도 있다. 다른 한편 주자학이 근대적 철학이라는 주장도 있다. 조선은 임진왜란 때 멸망했어야 한다는 이론도 설득력이 있다. 이처럼 역사는 해석의 차이로 논쟁이 일어난다.

인간의 모든 역사는 주관적인 기록이기 때문에 후대에 누군가에 의해 재해석될 수밖에 없는 운명을 가진 것이라면 역사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재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현대에 재해석되지 않는 역사는 죽은 역사이다. 사람들이 행동하는 방식은 유전자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옛날이나 지금이나 차이가 없다. 행동경제학자들의 수많은 실험결과에 의해 밝혀졌듯이 사람은 합리적이지 않고, 즉흥적이고 감정적인 의사결정으로 비합리적인 행동을 한다. 이런 이유로 역사를 통해서 옛날 사람들의 행적을 살펴보고, 교훈을 얻어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고 역사를 배우는 것이다.

이병주 작가의 말처럼 과거사가 밝은 햇볕을 쬐면 역사가 되고, 어두운 달빛에 젖으면 신화가 된다. 별빛을 받으며 민중의 속에서 살아 숨 쉬면 전설이 된다. 역사가는 눈앞에 있는 죽은 화석과 같은 1차 사료를 가지고 눈앞에 없는 세계를 상상하고 과거를 해석하는 사람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역사는 객관적인 서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균형이 잡힌 시각을 가지고 합리적인 해석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해석을 가지고 보다 정의롭고 활력이 있으며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사회를 변화시켜야 한다. 변화하지 않는 사회는 암흑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