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 2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4.11 09:00 의견 0

Men act and women appear. Men look at women. Women watch themselves being looked at. This determines not only most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but the relation of women to themselves. The surveyor of women in herself is male: the surveyed female. Thus she turns herself into an object – and most particularly an object of vision: a sight. --John Berger, Way of seeing, P47

남자들은 행동하고 여자들은 자신의 모습을 보여준다. 남자는 여자를 본다. 여자는 남자가 보는 자신을 본다. 그리하여 여자는 그녀 자신을 시선의 대상으로 바꿔놓는다. 여자는 남자가 보는 그녀 자신을 관찰한다. 여자 자신 속의 감시자는 남성이다. 그리고 감시하는 것은 여성이다. 그리하여 여자는 그녀 자신을 대상으로 바꿔놓는다. 특히 시선의 대상으로. -존 버거 <보는 방법> 중에서

*영국 출신의 소설가, 문학비평가, 사진작가, 사상가인 John Berger(존 버거, 1926~2017)는 프랑스로 이주하여 평생 동안 목축을 하며 마르크스주의를 신봉한 작가이다.

◆ <Gender Trouble(젠더 트러블, 1990)>

미국의 퀴어 이론의 창시자이자 후기 구조주의 페미니즘의 대표적 이론가인 Judith Butler(주디스 버틀러, 1956~ ) UCLA 교수는 여성 없는 페미니즘의 가능성을 제기하고, 섹스/젠더의 이분법을 허물면서 기존 페미니즘 정치학에 도발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오늘날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페미니즘 이론가로 평가받고 있다.

Gender Trouble sought to uncover the ways in which the very thinking of what is possible in gendered life is foreclosed by certain habitual and violent presumptions. The text also sought to undermine any and all efforts to wield a discourse of truth to delegitimate minority gendered and sexual practices. --Pviii

젠더 트러블은 젠더화된 삶에서 무엇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생각 자체가 습관적이고 폭력적인 전제에 의해 금지된 방식을 밝히려는 것이다. 이 책의 내용은 소수자 젠더와 섹스의 실천을 불법화하기 위한 진리 담론을 휘두르려는 모든 노력을 뿌리째 파헤치고자 했다.

This book is written then as part of the cultural life of a collective struggle that has had, and will continue to have, some success in increasing the possibilities for a livable life for those who live, or try to live, on the sexual margins. --Pxxviii

이 책은 성적 주변인으로 살고 있으며 또한 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도 살만한 삶의 가능성을 확대하는 데 다소 성공을 거두었고, 앞으로도 계속 성공할 집단투쟁의 문화적 삶의 일부로 씌어졌다.

If one “is” a woman, that is surely not all one is; the term fails to be exhaustive, not because a pregendered “person” transcends the specific paraphernalla of its gender, but because gender is not always constituted coherently or unconsistently in different historical contexts, and because gender intersects with racial, class, ethnic, sexual, and regional modalities of discursively constituted identities. --P4

만일 한 사람이 ‘여성이다’라고 한다면 그것은 분명 그 사람의 전부가 아니다. 그 용어가 포괄적이지 않은 이유는 이미 젠더화된 ‘사람’은 젠더의 특정한 장치를 초월하기 때문이 아니라 젠더가 다른 역사적 맥락 속에서 늘 가변적이고 모순적으로 성립되었기 때문이며, 젠더가 담론적으로 성립된 정체성의 인종적, 계급적, 민족적, 성적, 지역적 양상들과 교차하기 때문이다.

If the immutable character of sex is contested, perhaps this construct called “sex” is as culturally constructed as gender; indeed, perhaps it was always already gender, with the consequenc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sex and gender turns out to be no distinction at all. --P10

섹스의 불변의 성격에 대해 논쟁을 벌인다면 아마도 ‘섹스’라 불리는 이 구성물은 젠더만큼이나 문화적으로 구성된 것이 될 것이다. 어쩌면 섹스는 언제나 이미 젠더였을지 모른다. 그 결과 섹스와 젠더는 전혀 구분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된다.

As a shifting and contextual phenomenon, gender does not denote a substantive being, but relative point of convergence among culturally and historically specific sets of relation. --P14

변화하거나 맥락화된 현상으로서 젠더는 본질적인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특수한 일련의 관계 사이에서 상호 수렴의 지점이다.

Gender is the linguistic index of the political opposition between the sexs. Gender is used here in the singular because indeed there are not two genders. There is only one: the feminism, the “masculine” not being a gender. For the masculine is not the masculine, but the general. --P27

젠더는 양성 사이의 정치적 대립을 나타내는 언어적 지표이다. 여기서 젠더가 단수로 사용되는 이유는 사실 두 개의 젠더란 없기 때문이다. 오직 하나만이 존재한다. 그것은 페미니즘이며, 남성적인 것은 젠더가 아니다. 남성적인 것은 남성적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Gender can be neither true nor false, neither real nor apparent, neither original nor derived. As credible bearers of those attributes, however, genders can also be rendered thoroughly and radically incredible. --P193

젠더는 참이나 거짓도, 실제적이거나 외양적인 것도, 독창적이거나 파생된 것도 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속성들을 믿을 만한 전달자로서 젠더는 또한 철저히 그리고 근본적으로 믿을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 <Feminist Thought(페미니스트 생각, 2009)>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철학과 Rosemarie Putnam Tong(로즈마리 퍼트넘 통, 1947~ ) 명예석학교수와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철학과 Tina Fermandes Botts(티나 페르난디스 보츠, 1973~ ) 교수의 공저이다. 페미니즘에 대한 다양한 견해와 학설을 소개하는 종합 안내서이다.

Socialist feminists agree with Marxist feminists that capitalism is the source of women’s oppression, and with radical feminists that patriarchy is the source of women’s oppression. Therefore, the way to end women’s oppression, in socialist feminist’s estimation, is to kill the two-headed beast of capitalist patriarchy or patriarchal capitalism. --P4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은 자본주의가 여성억압의 원천이라는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에 동의하며, 가부장제가 여성억압의 근원이라는 급진주의 페미니스트의 견해에도 동의한다. 따라서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의 평가에서 여성억압을 끝내는 길은 자본주의적 가부장제 혹은 가부장제적 자본주의라는 머리가 둘 달린 야수를 죽이는 것이다.

Unfortunately, psychoanalytic feminists have not been able to find in the Western tradition a more convincing psychosexual tale to tell than some version of the Oedipal tale. Whether there are better psychosexual tales told in non-Western traditions, therefore, an avenue for feminist speculation and exploration. --P162

불행하게도, 정신분석적 페미니스트들은 서양 전통에서 오이디푸스 이야기의 몇 가지 버전보다 더 확신을 주는 정신분석적 이야기를 찾을 수 없다. 따라서 비서구적 전통에서 더 나은 정신분석적 이야기가 있는지 여부는 페미니스트적 추론과 탐구의 길이다.

It seems. then that men as well as women have much to gain by joining a variety of postmodern and third wave feminism in their attempts to shape a feminism that meets people’s needs in the new millennium. Still, today’s feminism may have something to lose in the delight of living their own unique feminism. They may lose themselves as women. --P291

남성과 여성은 새로운 밀레니엄에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페미니즘을 형성하려는 그들의 시도에서 다양한 포스트모던 및 제3의 물결 페미니즘에 합류함으로써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아직도 오늘날 페미니즘은 자신의 독특한 페미니즘을 사는 즐거움에서 잃은 것이 있을 것이다. 여성은 아마도 자신을 상실할 수도 있다.

◆ <Bad Feminist(나쁜 페미니스트, 2014)>

미국의 작가이자 대학교수이며 문화비평가인 Roxane Gay(록산 게이, 1974~ )는 <뉴욕타임즈>의 필자이다. 아이티 출신의 그녀는 미국 사회에서 벌어진 페미니즘 운동이 백인 중산층 여성에 한정되어 있고, 성적 소수자들을 배제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진정한 페미니스트가 되는 방법을 제시한다.

It was easy to embrace feminism when I realized it was advocating for gender equality in all realms, while also making the effort to be intersectional, to consider all the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who we are and how we move through the world. --Pxiii

모든 분야에서 젠더 평등을 옹호한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페미니즘을 포용하는 것은 쉬웠다. 페미니즘은 우리가 누구이고 어떻게 이 세상을 헤쳐 나가는지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기 위해 교차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We live in a strange and terrible time for women. There are days when I think it has always been a strange and terrible time to be a woman. Womanhood feels more strange and terrible now because progress has not served women as well as it has served men. We are still stymied by the issues our forebears railed against. --P132

우리 여성들은 이상하고 끔찍한 시대에 살고 있다. 여성이 되는 것은 언제나 이상하고 끔찍한 시대였다고 생각한 적도 있었다. 여성은 현재 더 이상하고 끔찍하다고 느낀다. 왜냐하면 진보가 남성에게 기여한 만큼 여자에게 기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아직도 선조들이 싸웠던 바로 그 문제로 고통을 받고 있다.

Pregnance is at once a private and public experience. Pregnance is private because it is so very personal. It happens within the body. In a perfect world, pregnance would be an intimate experience shared by a woman and her partner alone, but for various reasons that is not possible. Pregnace is an experience that invites public intervention and force the female body into the public discussion. --P269

임신은 동시에 사적이면서 공적인 경험이다. 임신은 매우 개인적이기에 사적이다. 한 여성의 몸에서 일어난다. 완벽한 세상에서 임신은 여성과 그 배우자만 공유하는 친밀한 경험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많은 이유로 그렇게 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임신은 공적인 개입을 유도하는 경험이고, 여성의 신체를 대중적인 담론으로 강요하는 경험이다.

There is, in fact, a right way to be a woman and a wrong way to be a woman. The standard for the right way to be a woman and/ or a feminist appears not be ever changing and unachievable. --P310

여성이 되는 옳은 방법과 잘못된 방법이 있다. 여성 그리고 혹은 페미니스트가 되는 올바른 방법에 대한 표준은 계속 변하고 도달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 <We Were Feminists Once(우리는 한때 페미니스트였다, 2017)>

미국의 작가이자 언론인dls Andi Zeisler(앤디 자이슬러, 1973~ )는 1995년 잡지 <bitch(비치)>를 공동 창간하였고, 페미니스트에 관련한 글을 쓰고 있다. 저자는 페미니즘이 상업광고와 TV프로그램을 통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The aspect of feminism currently given voice in pop culture are the most media-friendly ones, the ones that center on heterosexual relationships and marriage, on economic success that doesn't challenge existing capitalism structures, on the right to be desirable yet have bodily autonomy. --Pxv

대중문화에서 요즈음 발언권이 주어지는 페미니즘의 측면은 가장 언론친화적인 것이며, 이성간의 관계와 결혼, 현존하는 자본주의 체제에 도전하지 않는 경제적 성공, 바람직하며 육체적인 자율성을 가질 수 있는 권리에 집중하는 페미니즘이다.

Marketplace feminism is in many ways about just branding feminism as an identity that everyone can and should consume. That's not a bad thing in theory, but in practice it tends to involve highlighting only the most appealing features of a multifaceted set of movement. --P74

시장 페미니즘은 많은 방식으로 누구나 소비할 수 있고 소비해야 하는 하나의 정체성으로 페미니즘을 상표화한다. 그것은 이론적으로 나쁜 것은 아니지만, 실제로 다면적인 일련의 운동에서 가장 매력적인 특징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We can like what we like, and feel good about things that maybe society think we shouldn't. But continuing to hitch empowerment exclusively to women and to feminist movements has started to blur the way forward after all, if everything is empowering, nothing is. --P192

우리는 좋아하는 것을 좋아할 수 있고, 사회가 우리가 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되는 일들에 대해 좋게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여성과 페미니스트에게 배타적으로 권한 부여를 계속한다는 것은 앞으로 나아갈 길을 흐릿하게 하기 시작한다. 모든 것이 여권신장이라면, 사실은 아무것도 여권신장이 못 되는 것이다.

Feminism has to evolve, and capitalizing on its ideology without any action effectively stunts that process. What we might see as liberation is liberatory only within the already circumscribed goals of capitalism. --P256

페미니즘은 진화하며, 그 과정을 방해하는 일체의 행동을 하지 않고 이데올로기를 자산으로 활용한다. 우리가 해방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자본주의가 미리 정해 놓은 목표들 안에서만 자유로운 것이다.

Marketplace feminism has made equality look attractive, sexy, and cool. It's transformed everyday behaviors and activities into “bold feminist statement.” --P257

시장 페미니즘은 평등을 매력적이고 섹시하고 멋져 보이게 만들었다. 시장 페미니즘은 일상 속의 행동과 실천을 ‘대담한 페미니스트 선언’으로 변형시켰다.

◆ <Women vs Feminism(여성 vs 페미니즘, 2017)>

영국의 퀸트대학교 Joanna Williams(조안나 윌리엄스, 1937년~ )는 오늘날 페미니즘은 남성을 태생적인 악마이자 파괴자로 간주해 여성에게 지나친 피해의식을 심어줌으로써 도리어 여성의 지위를 떨어뜨리는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고 주장한다.

A more nuanced discussion of the difficulties we all face in our working lives is not possible while feminist campaigners insist on scoring workplace victories according to gender. We need to move beyond a battle of the sexes in order to get more opportunities and freedom for everyone. --P47

페미니스트 운동가가 젠더에 따라 직장에서의 승리를 평가할 것을 주장하는 동안 우리가 직장 생활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한 더 미묘한 논의는 불가능하다. 우리는 모두를 위한 더 많은 기회와 자유를 얻기 위해 양성 간의 싸움을 넘어서야 한다.

Feminism has always been driven by a need to highlight areas where women are disadvantaged in comparison to men; this was necessary to win the right for women to participate in society as equals. Exposing areas of disadvantage doesn't automatically turn women into victims. --P118

페미니즘은 항상 여성들이 남성에 비교해서 불이익을 받는 분야를 강조해야 하는 필요성에 의해 추진되었다. 이것은 여성들이 평등하게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필요했다. 불리한 영역을 드러낸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여성이 피해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Feminism sells moving beyond gender as a liberating act. Without having to dress, behave and act according to strict and limiting conventions, both men and women, in theory, are free just to be themselves. However, the celebration of identity as an end in itself leads to a gender fluidity that, far from being experienced as liberating, comes with its own rigid instructions to follow. --P255

페미니즘은 젠더를 초월하여 자유로운 행동으로 이동을 판다. 엄격하고 제한된 관습에 따라 옷을 입고, 처신하고, 행동할 필요 없이 이론적으로 남자와 여성은 자신이 되기 위해 자유롭다. 그러나 그 자체로 목적으로 정체성의 축하는 해방이라는 경험과는 거리가 먼 젠더 유동성으로 이어지고, 그 자체로 지켜야 할 엄격한 지침이 따른다.

◆ <Feminism(페미니즘, 2018)>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의 언어 및 커뮤니케이션 교수인 Deborah Cameron(데보라 캐머런, 1958~ ) 교수는 언어와 젠더 연구 영역에서 국제적으로 저명한 연구자로서 다양한 학술 서적과 논문을 저술하고 편집했다. 주요 저서로 <페미니즘과 언어학 이론, 2003>이 있다.

Feminism does have to consider the situation of all women, not just some; it must be able to deal with differences and inequalities between women, and with the exploitation of some by others. But as I noted in the introduction, one of feminism's core beliefs is that women are oppressed as women. --P47

페미니즘은 일부 여성이 아니라 모든 여성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페미니즘은 여성 간의 차이와 불평등을 다룰 줄 알아야 하며, 여성의 다른 여성에 의한 착취도 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서문에서 적었듯이, 페미니즘의 핵심 신념 중 하나는 여성은 여성이기 때문에 억압당한다는 것이다.

One important piece of evidence that femininity is socially constructed is that what counts as feminine is not universal and unchanging: it can be vary significantly across cultures and over time. --P61

여성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한 가지 증거는 여성스러운 것으로 평가받는 것은 보편적이지도 불변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는 문화와 시대에 따라 엄청나게 변화한다.

Women should be free to express their sexuality without being defined exclusively in sexual terms. Their desires should matter, and their boundaries should be respected. As basic as these demands might seem, they are radical demands even now. --P91

여성은 성적 용어로만 배타적으로 정의되지 않고 자신의 성적 매력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성의 욕구를 중시되어야 하고, 그들의 경계를 존중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가 기본적인 것으로 보일지라도 지금도 여전히 무척 급진적인 요구이다.

For most of its history feminism has been understood, and often referred to, as a “women's movement,” defined by the political goal of securing equality or liberation for women as a class. --P109

대부분의 역사에서 페미니즘은 평등 또는 계급으로 여성해방을 보장하는 정치적 목표로 규정된 ‘여성운동’으로 이해되고 종종 언급되었다.

I don't want to see a world without gender. I want to see a world where gender is not oppressive or enforced, where there are as many ways to express and perform and relate to your own identity as there are people on Earth. I want a world where gender is not painful, but joyful. --P109

나는 젠더 없는 세상을 보고 싶지 않다. 내가 원하는 세상은 젠더가 억압적이거나 강제적이지 않고, 지구상에서 존재하는 사람의 수만큼 다양한 방식으로 젠더를 표현하고 수행하며, 자기 정체성과 연관시킬 수 있는 세상이다. 나는 젠더가 고통스럽지 않고 즐거운 세상을 원한다.

The basic principles of feminism have achieved global currency; their influence is felt in some way in virtually all contemporary societies, including those all still deny women basic rights and freedoms. Though it will continue to be resisted in some quarters, and to provoke arguments about what follows from it in practice, “the radical notion that women are people” is not going to go away. --P115

페미니즘의 기본원칙은 세계적인 통용을 성취했다. 페미니즘의 영향은 사실상 모든 현대사회에서 아직도 여성의 기본권과 자유를 부인하는 곳을 포함하여 어떤 식으로건 감지할 수 있다. 페미니즘은 일부에서 계속해서 저항을 하고 실제로 이에 따른 논쟁을 일으킬 것이지만, “여성은 인간이라는 급진적인 개념”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 페미니즘은 여권을 신장했으나 양성 갈등도 일으켰다

페미니즘(Feminism, 여성주의)은 여권을 신장시키는 데 많은 역할을 했다. 시대의 조류에 따라 페미니즘도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급진주의, 실존주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페미니즘 운동은 이성애/남성중심의 가부장적인 사회구조를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양성평등과 여성의 성해방에도 기여했다.

한국 사회도 예외는 아니다. 페미니즘 운동으로 남녀차이를 넘어 양성평등이 괄목할만하게 성장했다. 성소수자라 일컬어지는 LGBT(레즈비언, 게이, 바이섹슈얼, 트랜스젠더)의 권리와 목소리가 커지는 사회가 되었다. 2015년부터는 성소수자 축제인 퀴어문화축제(Queer Culture Festival)도 매년 개최되었다. 그러나 페미니즘이 과격화되고 보편성을 잃어가면서 사회적인 문제도 대두되었다. 남녀 성평등을 넘어서 젠더 혐오가 나타나고, 여성혐오/남성혐오가 대립하면서 남녀 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인류는 태생적으로 남자와 여자로 구분되고 신체적으로 차이가 존재한다. 상호간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해 주며, 인간으로서 성과 젠더를 떠나 어떠한 차별도 없는 사회가 선진국이고 성숙된 사회이며, 우리가 지향해야 할 건전한 사회라 생각된다. 과학의 발전으로 시험관 아이처럼 사람이 여성의 몸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태어나 여성이 임신의 고통해서 해방되고, 남녀나 동성 간의 육체적인 접촉이 없는 성적 관계가 나타나는 사회가 조만간 출현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변화하는 시대에 남녀의 갈등을 정치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된다. 사람은 언제 어디서나 가장 소중한 존재로, 어떠한 차별도 없이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할 권리를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