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태생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9.05 09:00 의견 0

The American Revolution—the first successful colonial revolt in history —gave birth to a creedal nation embodying the idealism of the Enlightenment, whereas the French Revolution launched in earnest the modern quest for social progress through unyielding political action guided by uncompromising philosophical principle. --Yuval Levin, The Great Debate, Pxiii

미국독립혁명—역사상 최초로 성공한 식민지 반란—은 계몽주의적 이상의 구현을 신념으로 삼는 국가를 탄생시켰다. 반면에 프랑스혁명은 비타협적인 철학적 원칙에 인도된 강경한 정치 행위를 통해 사회적 진보를 향한 근대적 탐색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유발 레빈 <위대한 논쟁> 중에서

20세기의 위대한 정치이론가이자 철학자인 Hannah Arendt(한나 아렌트, 1906~1975)는 <On Revolution(혁명론, 1963)>에서 프랑스혁명을 실패한 혁명으로 규정했다. 그녀는 미국혁명이 공화주의를 확립하여 성공한 반면에 프랑스혁명은 급진적이고 폭력적이며 공포적인 전체주의로 흐르는 바람에 프랑스혁명의 구호인 ‘자유, 평등, 박애’의 위대한 시민혁명에서 벗어났다고 본다. 프랑스혁명의 진행 과정에 대해 진보와 보수가 격돌하였고, 그 노선의 차이로 진보주의와 보수주의가 파생하였다.

우리가 진보주의자로 보는 토머스 페인도 당시 프랑스에서는 온건주의자로 분류될 정도였으니 당시 프랑스의 공포정치가 얼마나 전제주의적으로 흘렀는지 짐작이 되고 남는다. 프랑스의 혁명 열기가 영국에 퍼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보수주의 정객인 버크가 <프랑스 혁명에 대한 고찰>을 저술하였고, 평소에 조우한 적도 있으며 알고 지내는 페인과의 서신을 주고받았다. 이 편지를 바탕으로 <위대한 논쟁>이 출간되었다.

◆ <Reflections on the French Revolution(프랑스혁명에 대한 고찰, 1790)>

Edmund Burke(에드먼드 버크, 1729~1797)는 아일랜드 출신으로 영국에서 활동한 정치인이자 문필가이다. 그는 진보적인 휘그당원으로 30년간 의원직을 수행하며, 영국의 헌정질서를 옹호하는 보수적인 노선을 걸었다. 그가 주장한 대의정부, 자연적 귀족, 사유재산, 소집단의 중요성은 보수주의의 기본 특징이 되었다. 그는 프랑스혁명의 성격이 명예혁명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이 저서는 보수주의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고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All circumstances taken together, the French revolution is the most astonishing that has hitherto happened in the world. The most wonderful things are brought about in many instances by means the most absurd and ridiculous; in the most ridiculous models; and apparently, by the most contemptible instruments. --P92

모든 상황을 종합해 볼 때, 프랑스혁명은 이제까지 세상에서 벌어진 일 가운데 가장 놀라운 일이다. 가장 경이로운 일이 많은 경우에 매우 불합리하고 우스꽝스러운 수단에 의해 일어났다. 매우 우스꽝스런 방식으로 그리고 명백히 가장 멸시받는 도구들에 의해 생겨났다.

A state without the means of some change is without the means of its conservation. Without such means is might even risque the loss of that part of the constitution which it wished the most religiously to preserve. --P106

어떤 변화의 수단을 갖지 않는 국가는 보존할 수단도 없는 법이다. 국가가 그러한 수단이 없다면 가장 독실하게 보존하기를 원했던 헌법의 부분을 상실하는 위험에 처할 수 있다.

Laws overturned; tribunals subverted; industry without vigour; commerce expiring; the revenue unpaid. yet the people impoverished; a church pillaged, and a state not relieved; civil and military anarchy made the constitution of the kingdom; every thing human and divine sacrificed to the idol of public credit, and national bankruptcy the consequence. --P126

법률은 전복되고, 법정은 와해되고, 산업은 활기를 잃었으며, 상업은 소멸했다. 세금은 납부하지 않았으나 국민은 가난해졌다. 교회가 약탈당했고, 국가는 구출되지 못했다. 시민적이고 군사적 무정부 상태가 왕국의 헌법이 되었다. 인간과 신에 관한 것이 공공부채라는 우상을 위해 희생되었고, 그 결말은 국가의 파산이었다.

It has been the misfortune(not as these gentlemen think it, the glory) of this age, that every thing is discussed, as if the constitution of our country were to be always a subject rather of altercation than enjoyment. --P188

마치 우리나라의 헌정체계가 언제나 향유할 대상이 아니고 논쟁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여 모든 것을 토론하는 것이 이 시대의 불행(이 신사들이 생각하듯 영광이 아니다)이다.

Armies will obey him on his personal account. There is no other way of securing military obedience in this state of things. But the moment in which that event shall happen, the person who really commands the army is your master; the master(that is little) of you king, the master of your assembly, the master of your whole republic. --P342

군대는 그 개인에게 복종할 것이다. 이런 사태에서는 군대의 복종을 확보할 다른 방법이 없다. 그러나 그러한 일이 벌어지게 되면, 군대를 실제로 지휘하는 사람이 당신들의 주인이 된다. 당신네 왕의 주인(이는 대단한 것이 아니다), 당신네 의회의 주인, 당신네 공화국 전체의 주인인 것이다.

Moderation will be stigmatized as the virtue of cowards; compromise as the prudence of traitors; until, in hopes of preserving the credit which may enable him to temper and moderate on some occasions, the popular leader is obliged to become active in propagating doctrines, and establishing powers, that will afterwards defeat any sober purpose at which he ultimately might have aimed. --P374

절제는 비겁자의 미덕이라고 낙인찍힐 것이며, 타협은 배반자의 현명함이라는 오명을 얻을 것이다. 그 민중 지도자는 경우에 따라 자신을 조절하고 규제할 수 있는 신용을 유지하려는 희망에서, 그가 궁극적으로 목표했던 신중한 목적을 파괴시킬 수 있는 교리를 설파하고 권력을 수립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 <The Great Debate(위대한 논쟁, 2014)>

미국 출신의 정치분석가, 학자, 언론인으로 2005~2006년 백악관 정책보좌관을 역임한 Yuval Levin(유발 레빈, 1977~ )은 본서에서 명예혁명을 통해 입헌군주제를 유지하고 있는 영국을 배경으로 미국독립혁명과 프랑스혁명에 대한 에드먼드 버크와 토머스 페인의 시각을 조명하고 있다. 버크는 급진적인 프랑스혁명을 반대하며 점진적 개혁을 주장했고, 페인은 혁명을 지지했다.

There are no perfect representatives of the two major parties to the great debate of that age, but there may well be no better representatives than Edmund Burke and Thomas Paine. --Pxiv

그 시기 대논쟁에서 나선 두 거대정당의 완벽한 대표자는 부재했지만 에드먼드 버크와 토머스 페인보다 뛰어난 대표 주자는 없을 것이다.

He was his era’s most devoted and able defender of the inherited traditions of the English constitution. A patient, gradual reformer of his country’s institutions, he was among the first and surely the most adamant and effective critics of the radicalism of the French Revolution in English politics. --Pxiv

버크는 당대의 가장 헌신적이고 유능한 영국 헌법 전통의 옹호자였다. 인내심을 갖고 영국의 제도에 대한 점진적인 개혁론자였던 버크는 영국 정계에 프랑스혁명의 급진주의를 최초이자 명백하게 가장 단호하고 효과적으로 비판한 사람에 속했다.

Burke and Paine were both unusual figures in an unusual time. Each was a man of humble origins who became a celebrated luminary. Each was an outsider who transformed himself, by force of intellect and personality, into the great champion of a society in which he was not born. Each was a firebrand and master of political rhetoric yet was known as much for the force of his arguments as for the power of his words. --P2

버크와 페인은 모두 흔치 않은 시대의 흔치 않은 인물이었다. 둘 다 비천한 가계 출신으로 유명한 인사가 되었다. 둘 다 지성과 인격의 힘을 통해 자신이 태어나지 않은 사회계층의 위대한 승리자로 변신한 주변인이었다. 둘 다 선동가이자 정치적 수사의 대가였으며, 말의 위력만큼이나 논쟁의 위력도 유명했다.

And in every sense, Burke and Paine were men of their time—even if they disagreed vehemently about what their era represented and where its politics were headed. --P2

그리고 모든 면에서 버크와 페인은 그 시대 사람이었다. 비록 당대가 표방한 것과 정치 방향을 두고 격렬하게 의견이 충돌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Burke’s invocation of nature understood through history calls for a model of thoughtful and gradual change and is therefore an appeal to order. --P68

역사를 통해 이해한 버크의 자연에 대한 탄원은 신중하고 점진적인 변화 모델을 추구하는 것이며, 따라서 질서에 대한 호소이다.

For Paine, the appeal to nature is primarily an appeal to justice. Despite his rather abstract and theoretical mode of expression, Pain’s passion always comes from outrage against injustice and human suffering. --P69

페인이 자연에 대한 호소란 주로 정의에 대한 호소다. 다소 추상적이고 이론적 표현방식에도 불구하고 페인의 열정은 언제나 불의와 인간의 고통을 향한 분노에서 나온다.

Their political ideas therefore point toward two views of political action and change—with Burke drawing on his vision of prescription to make the case for slow, incremental reform and Paine building on his case for a rational politics to argue that only a wholly new beginning from first principles can redeem an illegitimate government. --P177

따라서 그들의 정치적 이념은 정치적 행동과 변화에 대한 두 가지 견해를 지향한다. 버크는 느리고 점진적인 개혁에 대한 처방의 비전에 의지했고, 페인은 최초의 원칙들로부터 완전히 새롭게 시작하는 것만이 부당한 정부를 청산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합리적 정치에 대해 기반을 둔다.

When he speaks of the British constitution in this context, Burke means the model of slowly enlarged precedent, not the model of the Lords and the Commons in particular. Reformers should build on their national traditions. --P194

이러한 맥락에서 버크가 영국 헌법을 말할 때 버크는 특별히 상원과 하원 모델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확장된 전례의 모델을 의미한다. 개혁자는 그들의 국가적 전통에 기반을 설립해야 한다.

Both are modern attitudes, and both are liberal too, but they disagree about just what modernity and liberalism mean. Indeed, that very disagreement has ultimately come to define modern liberalism. --P222

버크와 페인 모두 다 근대적 성향이다. 둘 다 자유주의적이기도 하다. 그러나 바로 무엇이 근대성과 자유주의를 의미하는지에 대해 일치하지 않는다. 사실상 그런 불일치가 궁극적으로 근대적 자유주의를 정의하기에 이르렀다.

For all that they have certainly evolved over two centuries, the two sides of our politics still often express the basic underlying dispositions — toward progress and tradition, choice and obligation, technocratic prowess and a worldly skepticism—evident in Pain and Burke. --P231

2세기 동안 분명 진화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치의 양대 산맥은 여전히 종종 페인과 버크에게서 드러나는 기본적인 성향—진보와 전통, 선택과 의무, 기술관료적 기량과 세속적 회의주의—을 표출한다.

Philosophy moves history, especially in times of profound social change. And ours, like Burke and Pain’s, is surely such a time. Burke and Paine agreed that politics is always in flux and that the challenge of the statesman is govern change for the benefit of society. --P231

철학은 역사를 움직인다. 특히 심오한 사회적 변화의 시대에는 그렇다. 그리고 지금은 버크와 페인이 시대처럼 분명히 그런 시대다. 버크와 페인은 정치가 언제나 유동적이며, 정치가의 도전과제는 사회의 이익을 위해 변화를 다스리는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

◆ 프랑스혁명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이 보수와 진보를 갈랐다

프랑스혁명으로 절대왕정이 붕괴되고, 1789년 소집된 첫 국민회의에서 의장석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급격한 개혁을 주장하는 시민들로 구성된 공화파인 자코뱅(Jacobins)파가 앉았고, 우측에는 입헌군주제를 추구하는 온건한 성향의 귀족 중심의 왕당파인 지롱드(Gironde)파가 앉았다. 여기에서 사회개혁을 추구하는 진보주의자들과 기존 체제를 수호하는 보수주의자가 파생되었다.

프랑스혁명의 진행과정에 대한 세기의 격돌을 벌인 버크와 페인은 서로 간에 서신도 왕래하고 책도 출간하면서 프랑스혁명에 서로 상반되는 주장을 전개했다. 미국혁명의 꿈은 ‘자유의 확립’이었고, 프랑스 혁명의 꿈은 ‘인간의 해방’이었다. 버크는 프랑스혁명의 과격하고 파괴적인 성격으로 인해 결말은 틀림없이 대중독재와 전쟁, 그리고 장군(군부)의 지배임을 예견했다. 버크의 예언은 정확했다. 결국 프랑스혁명은 나폴레옹의 군부 집권으로 막을 내렸다.

페인은 미국에서 일어난 공화주의 혁명이 프랑스를 넘어 전 유럽에 확산시키려고 노력한 이상주의자였다. 그러나 그는 프랑스혁명이 빈곤자들이 혁명에 나서면서 정치혁명에서 사회혁명으로 비화되어 참사를 맞이할 것을 내다보지 못했다. 혁명은 로베스피에르의 전제정치로 전락했고, 공화주의자 페인은 감옥에 갇혔다. 이처럼 프랑스 혁명에 서로 다른 견해를 밝히고 행동한 버크와 페인에게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 가치와 근거가 태생하게 되었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