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프랑스혁명과 근대 및 보수주의의 탄생 · 2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5.16 09:00 | 최종 수정 2022.05.16 09:36 의견 0

In second place it was, alone of all the revolutions which preceded and followed, a mass social revolution, and immeasurably more radical than any comparable upheaval. It is no accident that the American revolutionaries, and the British ‘Jocobins’ who migrated to France because of their political sympathies, found themselves moderates in France. Tom Paine was an extremist in Britain and America; but in Paris he was among the most moderate of the Girondians. The results of the American revolutions were, broadly speaking, countries carrying on much as before, only minus the political control of the British, Spaniards and Portuguese. The result of the French Revolution was that the age of Balzac replaced the age of Mme Dubarry. --Eric Hobsbawm, The Age of Revolution, P54

프랑스혁명은 그 이전이나 이후의 모든 혁명 중에서 유일한 대중사회 혁명이었으며, 비교할 수 있는 어떠한 격변보다도 훨씬 더 급진적이었다. 미국의 혁명가들과 정치적인 공감 때문에 프랑스로 이주했던 영국의 자코뱅파들이 프랑스에서는 자신들이 온건주의자라고 느꼈던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다. 토머스 폐인은 영국과 미국에서는 극단주의자였지만, 파리에서는 지롱드 당원 중에서도 가장 온건한 사람에 속했다. 대체로 말해서 미국혁명의 결과는 영국, 에스파니아, 포르투갈의 정치적 지배만이 배제된 나라에서 이전과 거의 마찬가지로 진행되었다. 프랑스혁명의 결과는 마담 뒤바리(루이16세 애첩)의 시대가 발자크의 시대(근대 합리주의 시대)에 의해 대체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에릭 홉스봄 <혁명의 시대> 중에서

◆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the French Revolution(프랑스혁명의 사회적 해석, 1968)>

영국 출신으로 런던대학교 프랑스사 교수였던 Alfred Cobban(알프레드 코반, 1901~1968)은 프랑스혁명에 대한 정통파 마르크스주의 해석에 대해 처음 이의를 제기한 사람이다. 그는 우선 혁명이 파괴했다고 하는 봉건제의 개념과 혁명의 주체인 부르주아지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했다. 토지 소유에 기초한 통치체제로서의 봉건제는 프랑스에서 이미 오래 전에 사라졌고, 삼부회의 제3신분 대표들의 출신을 분석하여 그 가운데 13%만이 상인, 제조업자, 금융업자라는 사실을 밝혔다. 이로써 마르크스주의 해석의 중추를 뒤집어엎은 것이다.

If I have been led to disagree sometimes with the interpretation of a great historian like Georges Lefebvre, or with that of historians, such—to name only two—as M. Bouloiseau and M. Soboul, for whose work I have great respect, this in no way represents a failure to recognize its value. In particular, it should be obvious to any reader that without the work of Lefebvre this book would be greatly impoverished. If I have disagreed with some of his interpretations, it has often been on the ground of evidence supplied by himself. --P ix

내가 조르주 르페브르와 같은 위대한 역사가의 해석이나 M. 불루아소와 M. 소불과 같은 역사가의 해석에 때때로 동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면, 이들의 저작을 크게 존경하며 그 가치를 인식 못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특히, 르페브르의 작업이 없었다면 이 책은 매우 빈약해질 것이라는 점은 독자들에게 명백하다. 내가 그의 해석 중 일부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 그것은 종종 그 자신이 제공한 증거에 근거한 것이다.

Some eight or nine years ago I suggested that the same process of disintegration was likely to take place in the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and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revolution in terms of the overthrow of feudalism by the bourgeoisie, always rather meaningless, was becoming increasingly incompatible with the results of modern research. --P 9

약 8~9년 전에 나는 프랑스혁명의 역사에서 동일한 붕괴과정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 부르주아지에 의한 봉건주의의 타도라는 관점에서 혁명에 대한 해석은 항상 다소 무의미하며 현대 연구의 결과와 점점 더 양립할 수 없다고 제안했다.

The distinguished French historian, M. Albert Soboul, almost in the same breath tells us that the triumph of the bourgeoisie is the essential fact of the revolution, and that we have no history of the bourgeoisie during the revolution. --P 23

프랑스의 저명한 역사가 M. 알버트 소볼은 우리에게 부르주아지의 승리는 혁명의 본질적인 사실이며, 그리고 우리는 혁명기간 동안 부르주아의 역사는 없다고 연이어서 말한다.

The number of nobles in the capital cannot be estimated, but about 1,000 attended the electoral assemblies of 1789. The unexpected phenomenon here is the repeated attempts of the noblesse to claim the status of bourgeois and their complaints at being separated from the tiers etat. --P 31

수도에서 귀족의 수는 추정할 수 없지만 1789년의 선거인단에는 약 1,000명이 참석했다. 여기서 뜻밖의 현상은 부르주아의 지위와 제3신분에서 분리된 것에 대한 불만을 주장하는 귀족의 반복된 시도이다.

The revolution, writes Lefebvre, ‘for the first time in Europe proclaimed liberty of enterprise’, it opened the way to capitalism. --P 61

르페브르는 혁명이 ‘유럽에서 처음으로 기업의 자유를 선언했다’고 적었다. 이 혁명은 자본주의로 가는 길을 열었다.

The revolution, in its economic consequences, seems indeed to have been the kind of revolution we should expect if, as has already been suggested, it was led not by industrialists and merchants, but by officiers and professional men. --P 80

경제적 결과에 있어서 혁명은 참으로 우리가 예상한 종류의 혁명이었다. 이미 제안된 바와 같이 혁명은 산업가와 상인이 아니라 장교와 전문직 종사자들이 주도했다.

The bourgeois of the theory are a class of capitalists, industrial entrepreneurs and financiers of big business; those of the French Revolution were landowners, rentier and officials. --P 173

이론으로 부르주아는 자본가, 산업기업가, 대기업의 금융가 계급이다. 프랑스혁명의 부르주아지는 지주, 임대인, 관리들이다.

◆ <Politics, Cultures and Class in the French Revolution(프랑스혁명에서 정치, 문화, 계급, 2004)>

미국 UCLA 역사과 교수인 Lynn Hunt(린 헌트, 1945~ ) 여사는 전공이 프랑스혁명사이지만 유럽문화사 연구로도 유명하다. 대표작으로 <Inventing Human Rights(인권의 발명, 2007)>과 <History(역사, 2017)>가 있다.

Before Napoleon's rise to power, there were no individually charismatic leaders; France had no equivalent to George Washington, though there were candidates aplenty aspiring to the role, and the new Nation recognized no Founding Fathers. --P26

나폴레옹이 집권하기 전에는 개별적으로 카리스마 넘치는 지도자가 없었다. 프랑스는 조지 워싱턴과 필적한 인물이 없었지만 그 역할을 열망하는 후보자는 많았고, 새로운 국가는 건국의 아버지를 인정하지 않았다.

Bastille Day July 14 was always a strong candidate for the founding date of the new community because it was prior to all the others, but, as the Revolution progressed, other dates assumed equal and sometimes superior significance: the overthrow of the monarchy on August 10 (1792), the execution of the king on January 21 (1793), and the fall of Robespierre on 9 Thermidor (Year II). Yet, for all their differences, the festivals had in common the purpose of re-creating the moment of the new consensus. The festivals reminded participants that they were the mythic heroes of their own revolutionary epic. --P28

7월 14일 혁명기념일은 다른 모든 것보다 앞섰기 때문에 새로운 공동체의 창립일로 항상 강력한 후보였다. 그러나 혁명이 진행되면서 다른 날짜가 동등하고 때로는 더 중요했다. 1792년 10월 10일 군주제 전복, 1973년 1월 21일 국왕 처형, 테르미도르 2년 9월 로베스피에르 몰락이 그것이다. 그러나 모든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축제는 새로운 합의의 순간을 재창조한다는 공통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축제는 참가자들에게 그들이 혁명적 서사의 신화적 영웅임을 상기시켰다.

The social or even political differences between a Jefferson or a Madison and a Robespierre or a Saint-Just were minimal. The salient difference between them was the context in which they spoke. They grew up learning the same rhetorical skills and reading many of the same books. --P 44

제퍼슨 또는 매디슨과 로베스피에르 또는 생 쥐스트 사이의 사회적 또는 정치적 차이는 미미했다. 그들 사이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그들이 말하는 맥락이었다. 그들은 같은 수사법을 배우고 같은 책을 읽으며 자랐다.

The goddess of Liberty is the best known examples, also the most successful. When Liberty was chosen for the seal of the Republic in 1792, she was not an unknown figure in French iconography. --P 62

자유의 여신은 가장 잘 알려진 사례이자 가장 성공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자유의 여신이 1792년 공화국의 인장으로 선택되었을 때 그녀는 프랑스 도상학에서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 아니었다.

Elections, then, were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 symbolic practices of the Revolution. They offered immediate participation in the new Nation through the performance of a civic duty, and they opened up previously restricted access to positions of political responsibility. Because they had such direct impact on the political structure, they attracted the attention of officials, and, as a result, they are one of the best documented revolutionary practices. --P 126

따라서 선거는 혁명의 상징적 실천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였다. 선거는 시민 의무의 수행을 통해 새로운 국가에 즉각적인 참여를 제안했으며, 정치적 책임이 있는 직책에 이전의 제한된 접근을 개방했다. 선거는 정치구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관리들의 관심을 끌었고, 결과적으로 가장 잘 기록된 혁명적 실천 중 하나였다.

The French Revolution was made in various ways by thousands of people. Some of them rioted to protest high prices; others demonstrated for political causes they held dear. Regularly, however, tens of thousands voted in elections, and thousands of men became officials of various sorts. The Revolution was not made by a few cranks and crackpots who got their scripts from brilliant strategists in the capital. --P 174

프랑스혁명은 수천 명의 사람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일부 사람은 높은 가격에 항의하기 위해 폭동을 일으켰다. 다른 사람들은 그들이 소중히 여기는 정치적 대의를 위해 시위했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수만 명이 선거에서 투표했고, 수천 명의 남성이 다양한 종류의 공무원이 되었다. 혁명은 수도의 뛰어난 전략가들로부터 대본을 받은 소수의 괴짜와 별난 사람에 의해 일어나지 않았다.

The revisionist interpretations have other faults. The primary defect of the revisionist accounts has been their failure to offer a plausible alternative to the Marxist version. In their concern to combat the Marxist interpretation, many critics argue against the thesis of ‘bourgeois’ revolution without offering anything convincing in its place. --P 178

수정주의적 해석에는 다른 결점이 있다. 수정주의 설명의 주요한 결점은 마르크스 해석에 대한 그럴듯한 대안을 제공하는 데 실패한 것이다. 마르크스주의적 해석에 맞서 싸우려는 그들의 관심에 많은 비평은 그 자리에 설득력 있는 어떤 것도 제공하지 못하며, ‘부르주아’ 혁명의 테제에 반대론을 주장한다.

The Revolution was, in a special sense, fundamentally ‘political’. The creation of a new political rhetoric and the development of new symbolic forms of political practice transformed contemporary notions about politics. Politics became an instrument for refashioning society. French people believed that they could establish a new national community based on reason and nature without reference to the customs of the past. --P 213

혁명은 특별한 의미에서 근본적으로 ‘정치적’이었다. 새로운 정치적 수사학의 창조와 정치적 실천의 새로운 상징적 형태의 발전은 정치에 대한 현대적 개념을 변화시켰다. 정치는 사회를 개조하는 도구가 되었다. 프랑스인들은 과거의 관습에 구애받지 않고 이성과 자연을 바탕으로 새로운 민족공동체를 세울 수 있다고 믿었다.

In Marxism, revolution plays a pivotal role; it is the means by which post feudal societies lurch forward. In the French Revolution, the bourgeoisie came to power; in a future revolution, the proletariat will come to power. In modernization theories, revolution is cast more often as a particularly telling example of more general processes of development. --P 220

마르크스주의에서 혁명은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그것은 후기 봉건사회가 요동치는 수단이다. 프랑스혁명에서 부르주아지가 권력을 잡았다. 미래의 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트가 집권할 것이다. 근대화 이론에서 혁명은 발전의 보다 일반적인 과정에 대한 특별한 예시로 더 자주 등장한다.

The Revolution intrigues us still today because it gave birth to so many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politics. It was not just an example of the violence and instability caused by modernization, or an essential step on the road to capitalism, or a link in the birth of totalitarianism, though it can be considered as contributing to all of these. --P 236

혁명은 현대 정치의 많은 본질적 특성을 산출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킨다. 혁명은 근대화로 인한 폭력과 불안정의 단순한 사례 또는 자본주의로 가는 길의 필수적인 단계 또는 전체주의의 탄생의 연결고리가 아니지만, 이 모든 것에 기여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 <The Terror in the French Revolution(프랑스혁명에서의 공포정, 2010)>

아일랜드 더블린국립대학교 역사학과 Hugh Gough(휴 고프, 1951~ ) 명예교수는 프랑스혁명에 대한 여러 책을 출간했다. 대표 저서가 <프랑스혁명기 신문(2016)>이다. 본서는 공포정 시기(1793~1794)에 수천 명을 정치범으로 처형하고, 공포정치를 정치적 무기로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고 있다.

By the summer of 1794 over thirty people a day were being executed in Paris alone and up to half a million had been imprisoned across France. During the terror as a whole over 16,000 people were guillotined, around 20,000 died in prison and 200,000 or so more died in a civil war in the Vendee in the war of France. --P 2

1794년 여름에는 파리에서만 하루 30명 이상이 처형되고, 프랑스 전역에서 50만 명 이상이 감옥에 갇혔다. 공포정 시기를 통틀어 1만6,000명 이상이 단두대에 올랐고, 2만 명 정도가 감옥에서 죽었으며, 20만 명 이상이 프랑스 서부 방태의 내전에서 죽었다.

In the autumn of 1788, Louis XVI called an Estates-General because France was close to bankruptcy. The Estate-General was an archaic form of national parliament which had not met since 1614 because of the growth of centralised royal power under Louis XIX(1643~1715). Yet when it met in May 1789 it carried through a political revolution. --P 13

1788년 가을 루이16세는 프랑스가 부도에 처하자 전국신분회의를 소집했다. 국회의 옛날 형태인 전국신분회의는 루이14세 치세에 왕권을 중앙집권화하고 더욱 강화했기 때문에 1614년 이래 모이지 않았다. 그러나 1789년 5월에 전국신분회의 대표들이 모였을 때 혁명을 성취했다.

By the spring of 1793 the king had been executed, civil war had erupted and dreams of freedom turned into a nightmare of a centralised dictatorship and systematic terror. Why? The reasons for the change are also the causes of the terror. --P 14

1793년 봄에 왕은 처형되고 내란이 일어나 자유의 꿈은 권력을 집중한 독재체제와 체계적 공포정의 악몽으로 바뀌었다. 왜? 그러한 변화의 이유는 공포정의 원인이기도 하다.

Instead, the real significance of his death was more short term, because it weakened the position of the Girondins. --P 26

그 대신 왕의 죽음의 진정한 중요성은 좀 더 단기적인 결과로 지롱드파의 지위를 약화시켰다는 것이다.

It was a republic too which was faced with a full scale European war and with growing radicalisation in Paris which threatened to spill over into violence. A divided republic, war with Europe, rumours of plots and fears of popular violence were to prove the fatal ingredients for what was to follow next: terror. --P 26

유럽과 전면전을 직면하고 폭력이 난무할 만큼 위협하며 급진화하는 파리를 만나야 하는 공화국이기도 했다. 분열한 공화국, 유럽과 벌인 전쟁, 음모의 소문, 민중폭력의 두려움은 공포정을 불러올 치명적인 요소였다.

Equality was a fundamental Jacobin value, with the emphasis on equality before the law and equality of opportunity. During the terror revolutionaries addressed each other as ‘citizen’ and ‘citizeness’ instead of the traditional—and servile-terms of the ancien regime such as ‘sir’ or ‘madame’. --P 77

평등은 자코뱅파의 기본 가치였으며 법 앞의 평등과 기회의 평등을 강조했다. 공포정 시기 혁명가들은 전통적이며 굴욕적인 구체제의 호칭인 ‘뮤수’나 ‘마담’ 대신 서로 ‘시민’으로 불렀다.

By then the revolution was a thing of the past and terror’s ambitions for changing French society had passed on to the utopian and socialist idealists of the 19th century. --P 94

그즈음 혁명은 과거의 일이 되었고, 프랑스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공포정의 야망은 유토피언과 19세기의 사회주의자들에게 넘어갔다.

If the revolution marked the beginning of 200 years of political instability for France, the terror left a tradition of administrative centralisation which enables politicians to disagree without endangering the survival of the state. --P 112

혁명이 프랑스에 200년간 정치적 불안을 가져온 시작점이라면, 공포정은 정치가들이 서로 다른 의견을 주장하면서도 국가의 존립을 위험하게 만들지 않을 수 있는 행정의 중앙집권화 전통을 남겨주었다.

◆ <Liberty or Death(자유 아니면 죽음, 2016)>

호주 맬러븐대학교의 전 총장 Peter McPhee(피터 맥피, 1947~ ) 교수는 프랑스역사 전문가이다. 대표적인 저서가 2014년 출간한 <The French Revolution, 1789~1799(프랑스혁명, 1789~1799)>이다. 본 저서는 혁명이 프랑스 식민지의 농촌과 도시 빈민, 여성, 노예의 삶에 영향을 미친 방식과 혁명의 세계적 파급효과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Eighteenth-century France was a land of mass poverty in which most people were vulnerable to harvest failure. Very high birth rates(about 4.5 per hundred people) were almost marched by high mortality rates(about 3.5 per hundred). Men and women married late. Men usually married aged between twenty-six and twenty-nine, women between twenty-four and twenty-seven. --P 12

18세기 프랑스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확 실패에 취약한 대량 빈곤의 땅이었다. 매우 높은 출생률(100명당 약 4.5명)은 높은 사망률(100명당 약 3.5명)에 의해 거의 진행되었다. 남자와 여자는 늦게 결혼했다. 남자는 보통 26세에서 29세 사이에, 여자는 24세에서 27세 사이에 결혼했다.

The causes of the revolution are best understood as originating deep in French society, as well as being the result of elite political mismanagement. History is replete with examples of regimes that have collapsed because of their own failure or inability to respond to crisis. --P 80

혁명의 원인은 프랑스 사회의 깊숙한 곳에서 비롯되었으며, 엘리트의 정치적 부실관리의 결과로 가장 잘 이해되고 있다. 역사는 자신의 실패 또는 위기대응능력 부족으로 인해 붕괴된 체제의 예로 가득하다.

Then the outbreak of war transformed political divisions into matters of life and death. By the summer of 1792 the stakes being fought for were so high that a thorough purge of their enemies seemed to both sides the only way to secure or overturn the Revolution. --P 163

그 후 전쟁의 발발은 정치적 분열을 삶과 죽음의 문제로 전환시켰다. 1792년 여름까지 싸워야 할 위기가 너무 높아서 양쪽 모두에게 적의 철저한 숙청이 혁명을 확보하거나 전복시키는 유일한 방법으로 보였다.

The Revolution was over. So too was a decade of fear: of privation, violence and insecurity. Instead of the ‘man of virtue’ as the embodiment of the highest ideals of the Revolution—civic integrity, personal sacrifice, modesty—Napolean would offer the ‘man of glory’. --P 341

혁명은 끝났다. 궁핍, 폭력, 불안 등 공포의 10년도 마찬가지였다. 대신에 시민의 청렴, 개인 희생, 겸손과 같은 혁명의 최고 이상을 구현한 '덕의 사람' 으로 나폴레옹은 '영광의 사람'을 제안했다.

The abolition of the seigneurial system was the single most significant social change brought by the Revolution. With the abolition of dues, peasants retained an extra portion of their output that was often directly consumed by a better fed population.” --P 357

영주제 폐지는 혁명이 가져온 가장 중요한 사회적 변화였다. 세금이 폐지되면서 농민들은 더 나은 식량을 공급받는 인구가 종종 직접 소비하는 추가 부분을 유지했다.

The Revolution left a legacy of multiple and conflicting memories to both inspire and terrify. For radicals, the violent divisions after 1790 had been caused by the tenacity of the old power-holders and the rigidity of the new social elite determined to entrench the power of property. For many political liberals, the rule of a strong man had been made necessary by the depravity of the ‘mob’ and its Jocobin sponsors. --P 361

혁명은 영감을 주기도 하고 겁을 주기도 하는 여러 가지 상충되는 기억의 유산을 남겼다. 급진주의자들에게 1790년 이후의 폭력적인 분열은 과거 권력자들의 집요함과 소유권을 확고히 하기로 결정한 새로운 사회 엘리트들의 경직성으로 초래되었다. 많은 정치적 자유주의자들에게 강한 사람의 통치가 ‘폭도’와 자코뱅 후원자들의 타락으로 인해 필요하게 되었다.

After more than 225 years, the fundamental questions posed and probed by the French Revolution remain at the heart of all democratic political life everywhere”. --P 370

225년이 지난 후에도 프랑스혁명이 제기하고 조사한 근본적인 문제는 모든 민주주의 정치생활의 핵심으로 남아있다.

The French Revolution was never ‘over’. Its achievement and triumphs—like its deceptions and atrocities — were of a scale that has made its stature unique. Its reverberations were felt across the global after 1789—and they live with us still. --P 370

프랑스 혁명은 결코 ‘끝나지 않았다’. 속임수와 잔학행위와 마찬가지로 그 성취와 승리는 그 위상을 독특하게 만든 규모였다. 그 반향은 1789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느껴졌으며, 여전히 우리와 함께 살고 있다.

◆ 프랑스혁명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혁명이었다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은 그의 저서 <혁명의 시대>에서 영국의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을 ‘Dual Revolution(이중혁명)’이라 칭하며 이를 통해 유럽이 정치적으로 민주주의, 경제적으로 자본주의에 진입하여 자유주의적 산업자본주의가 등장하게 되고 세계를 선진국과 저재발국가로 갈라놓았다고 평가했다.

프랑스혁명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마르크스주의적 해석으로 르페브르나 소볼은 프랑스혁명을 구체제의 귀족에 대한 부로주아 혁명으로 규정한다. 프랑스의 문화적 민족주의와 유럽중심주의적 마르크스주의를 기묘하게 결합하여 프랑스혁명을 세계사적이고 보편적인 혁명으로 만들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수정주의 역사학자들은 프랑스 혁명이 부르주아 혁명이 될 수 없으며, 그 이유로 프랑스혁명에서 부르주아 참여율이 30%을 넘지 않는 것은 근거로 든다.

프랑스혁명을 주도한 사람들은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을 대표하는 것으로 보이는 상공업 부르주아라기보다는 대체로 법률가, 관리 출신 전문직업인 집단이었다. 무엇보다 프랑스혁명은 여성과 유색인과 가난한 소외계층을 철저히 외면한 한계가 있다. 법적 평등은 선거에서의 재산자격 조항에 의해 크게 제약되었다. 혁명에 앞장선 농민과 노동자들에게는 참정권이 없었다.

프랑스혁명의 지도자들이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들과 똑같이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았음에도 다른 노선에 따라 여러 변화를 거치게 된 것은 카리스마를 가진 지도자가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프랑스혁명의 공포정은 너무나 많은 생명의 희생을 치렀으며, 혁명의 여파로 권력을 잡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제국주의로 치달아 유럽 전체를 전국시대로 후퇴시켰다. 이 과정에서 200만 명이 넘는 시민이 희생되었다.

그러나 프랑스혁명은 자유와 평등의 이상을 여러 나라에 전파시켰으며, 프랑스혁명이 없었으면 러시아혁명도 없었을 것이다. 레닌이나 트로츠키는 프랑스혁명을 늘 염두하면서 자신들의 역할을 프랑스혁명기 지도자들과 비교하곤 했기 때문이다. 결국 프랑스혁명은 제3신분의 혁명도, 부르주아 혁명도, 상퀼로트 혁명도, 농민과 노동자 혁명도 아닌 모든 프랑스 시민의 혁명이었다고 할 수 있다. 프랑스혁명은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역사가 되어 내일의 역사를 만들고 있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