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도서관의 역사와 기능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6.06 09:00 | 최종 수정 2022.06.06 09:34 의견 0

The emperors didn’t put libraries in their private palaces and temples; they also gave them to the people of Rome. In Augustus’s reign, public baths—part of the “bread and circus” largess with which the imperial city contented the masses— included libraries among their amenities. -- Library; An unquiet history, P48

로마 황제들은 자신의 궁전이나 신전에만 도서관을 지었던 것이 아니다. 로마 시민들을 위해서도 도서관을 건립했다. 아구스투스의 통치기간에는 궁중목욕탕—제국의 도시가 대중을 만족시킨 ‘빵과 서커스’ 축의의 일부인—에 문화시설의 하나로 도서관이 갖춰져 있었다. -매튜 베틀스 <도서관; 소란스러운 역사> 중에서

도서관은 인류의 지적 재산의 보고이다. 도서관은 인류의 시작으로 문자가 만들어진 이후에 등장했다. 기록문화의 보고가 도서관에 저장되어 인류의 유산이 된 것이다. 세계에는 수많은 도서관이 있기에 많은 사람들이 도서관에서 자신의 꿈을 찾아 이루는 장소가 되어 왔다. 도서관은 고대를 거쳐 중세시대에 수도원과 성당 및 유럽 대학을 중심으로 확장되었으며, 르네상스 이후에는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고 세계적으로 분포되었다. 한국은 고려시대에 보문각, 조선시대에 홍문관, 규장각, 사고 등에서 서적을 보관했다. 일제시대를 거쳐 서양식 도서관이 도입되어 지금은 전국에 공공도서관 1,172개(2020년), 학교도서관 11,787개(2021년)가 있다. 현재의 도서관은 책, 잡지, 음향, 영상, 점자, 디지털 자료를 보관하고 검색하도록 지원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도서관의 역사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 <Libraries in the Ancient World(고대의 도서관, 2002)>

뉴욕대학교 명예교수였던 Lionel Casson(라이오넬 카슨, 1914~2009)은 고대문화사의 세계적 권위자로 손꼽혔다. 저자는 고대부터 중세까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페르가몬 도서관 등과 다른 특별한 왕립도서관, 신전도서관, 개인도서관, 공공도서관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도서관 역사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Such a library had to await the coming of the Greeks. For they were a people endowed with what was needed to bring it into existence—a high level of literacy and an abiding interest in intellectual endeavor. --P17

우리가 아는 도서관의 모습은 그리스의 도래를 기다려야 했다. 왜냐하면 도서관 존재에 필요한 수준 높은 문해력과 지적인 노력에 대해 끊임없는 관심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One factor surely favored the growth of such libraries —a rising level of literacy. Plato, Aristotle, and other Greek thinkers had talked of the desirability of teaching all children to read and write. --P53

문해력이 증가하는 수준은 일반 도서관의 성장을 선호하는 확실한 한 요소이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다른 그리스 사상가들은 도시의 모든 아이들이 읽고 쓸 수 있도록 가르치는 열망을 이야기했다.

In the first half of the next century Rome's library resources were further enriched through wars waged in Greece and Asia Minor. War means loot, and the opportunity to loot offered in certain places a quick way of acquiring a library. It had enabled Aemilius Paulus to bring Rome its first library on record. --P68

기원전 3세기 중반에 로마 도서관 자료들은 그리스와 소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을 통해 훨씬 더 풍부해졌다. 전쟁은 약탈을 의미했고, 약탈의 기회는 어느 지역에 도서관을 획득하는 가장 빠른 길을 제공했다. 약탈한 장서로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는 로마에 기록상 최초의 도서관을 지었다.

During Roman Republican times the chief way in which books entered circulation had been through the presentation by authors of copies of theirs works to friends, follow writers, patrons, owners of private collections, and the like. --P102

로마 공화정시대에 책이 유통되는 대표적 방식은 작가가 친구, 동료작가, 후원자, 개인장서가 등에게 자신의 작품 필사본을 주는 것이었다.

From the monasteries the manuscripts passed in various ways–copying, gift, sale, theft, looting—to form the core of important libraries of the late Middle Ages and the Renaissance. These libraries, whether founded by scholars who gloried in reading books, such as Petrarch, or by nobles who gloried in collecting them, such as the Medici family, mark the opening of a new age of library history. --P145

수도원의 장서는 필사, 선물, 판매, 절도, 약탈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전해져서 후기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의 중요한 도서관의 핵심을 이루었다. 이러한 도서관은 페트라르카와 같은 독서에 일가견이 있던 학자가 설립하였든, 메디치 일가와 같은 수집에 일가견이 있던 귀족가문이 설립하였든 도서관 역사의 새로운 시대를 개통하는 출발점이었다.

◆ <Library: An Unquiet History(도서관: 소란스러운 역사, 2004)>

Matthew Battles(매튜 배틀스, 1968~ )는 하버드대학교의 희귀본 도서관인 휴턴도서관 사서이자 <하버드도서관 회보(Harvard Library Bulletin)>의 편집자로 있다. 배틀스는 도서관이 어떻게 인류의 지식을 축적하고 보존하고 형성하고 영감을 주고, 또한 말살해 왔는지를 탐색한다.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libraries throughout the Roman world was especially remarkable given the decentralized and extra-official character of Roman intellectual life. In the public sphere, the pursuit of knowledge, like the pursuit of wealth or power, was a matter of private associations and casual relations among people. --P48

로마 세계에서의 도서관의 발전과 확산은 로마의 지적 생활이 분산적이고 비공식이었다는 특징을 감안하면 특히 주목할 만하다. 부나 권력의 추구와 같이 공적인 영역에서 지식의 추구도 사람들 사이에 개인적 연관과 우연한 관계의 문제였다.

But even if the last few charred characters offer up nothing new, one thing is certain: the most complete ancient library accessible to us today survived because it burned. --P55

그러나 마지막 몇 개의 그을린 글자가 새로운 사실을 전혀 제시하지 않더라도 한 가지 확실한 것이 있다. 오늘날 우리가 접근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고대의 도서관은 불에 탔기 때문에 살아남았다는 사실이다.

The title of the first modern “public” library is perhaps most often given to the library of San Marco, founded by Cosimo de’ Medici in 1444. --P68

최초의 근대적인 ‘공공’ 도서관은 아마도 1444년 코시모 데 메디치가 세운 산마르코 도서관일 것이다.

If the nineteenth century was about the building of libraries, the twentieth was about their destruction. Book burning wasn’t invented in the twentieth century, of course. --P156

19세기가 도서관을 건축하는 시기였다면 20세기는 도서관을 파괴하는 시기였다. 물론, 책의 분서는 20세기에 창조되지 않았다.

◆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도서관; 그림으로 보는 역사, 2012)>

저자인 Stuart A. P. Murray(스튜어트 머레이, 1954~ )는 40년 가까이 미국 역사를 다루어 온 전문 저술가이자 편집자이다. 저자는 세계의 유명 도서관 49곳을 소개하고 있다.

The oldest known library was found in the lost ruins of Ebla, in the northerns Syria. A major commercial center by 2500 BCE, Ebla was destroyed twice. After the second time, around 1650 BCE, it never recovered and wind covered the ruins —and the libraries—with the desert’s sand. --P8

가장 오래된 도서관은 북부 시리아에 있는 에블라 유적에서 발굴되었다. 기원전 2500년에 상업 중심지였던 에블라의 도서관은 두 번에 걸쳐 파괴되었다. 기원전 1650년경 두 번째 파괴 후에 복구되지 않았고, 유물과 도서관이 모래 속에 잠겨버렸다.

Founded in the caves were books from the Fertile Crescent, including a version of the Old Testament written in Hebrew. There were also Tibetan scrolls as well as Buddhist texts, written in Sanskrit, the ancient South Asian language with links to European tongues. The world’s oldest-known printed book, dating from the ninth century, was found in the Caves of a Thousand Buddhas. --P49

석굴에서는 히브리어로 쓰인 구약성서를 포함하여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문서들이 발견되었다. 불교 문서뿐만 아니라 유럽 언어와 연관이 있는 고대 남아시아 언어인 산스크리트어로 쓰인 티베트 두루마리 문서도 있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9세기경의 인쇄본 역시 둔황 석굴에서 발견되었다.

A unique characteristic of some Renaissance libraries was that they were open to the public. As in classical times, these libraries were places where ideas were exchanged and where scholarship and reading were considered both pleasurable and beneficial to the mind and soul. --P78

일부 르네상스 시기 도서관의 독특한 특징은 대중에게 개방되었다는 점이다. 고전시대에서처럼 이런 도서관들은 생각을 교환하는 곳이자, 학문과 독서로서 정신과 영혼에 기쁨과 유익을 주는 것으로 간주되는 곳이었다.

In fourteenth-century Korea, libraries mainly belonged to royalty and Buddhist. In response to the destructive Mongol invasions, the government resolved to preserve Korea’s literary heritage, establishing four major “storehouses for history.” There, books were copied so that duplicates could be archived and protected in different locations. The fifteenth-century Yi dynasty established the Korean alphabet, Hangul, expressly for teaching, and it was a key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libraries and archives in the country. The Korean royal libraries classified titles as classics, history, philosophy, and encyclopedias. --P113

14세기 한국에서는 도서관이 주로 귀족과 불교사원에 속해 있었다. 몽골의 침략에 대응하여 정부는 문학유산들을 보존하기 위해 네 군데에 ’역사보관소‘를 만들었다. 그곳에서 책들을 필사했고, 복제품들을 서로 다른 장소에 보관하고 보호했다. 15세기 조선왕조는 백성들에게 가르칠 목적으로 ’한글‘을 만들었으며, 이는 한국에 도서관과 서고가 성장하는 데 중대한 기여를 했다. 한국의 왕립도서관은 책들을 고전, 역사, 철학, 백과사전 등으로 분류했다.

By the time Cortes arrived, the Aztecs had dominated the Mayans and Mesoamerica for about a century. In those, years the Aztecs had destroyed Mayan books and documents and replaced them with new works and a false history that portrayed the Aztecs as rightful rulers. Now, the Aztecs books were, in turn, destroyed by Cortes and his priests. --P138

코르데스가 도착할 시기에 약 1세기 동안 아스텍은 마야와 중앙아메리카를 지배했다. 이 기간 동안 아스텍 사람들은 마야인들의 책과 문서를 파괴하고, 아스텍을 정당한 지배자로 묘사하는 거짓 역사와 새로운 책들로 대체했다. 하지만 이제는 다시 아스텍 책들이 코르테스와 그의 성직자들에 의해 파기된 것이다.

As of 2009, the National Library held more than 7 million volumes, with approximately 15 percent of the collection consisting of foreign books and materials. --P219

2009년까지 한국의 국립도서관은 장서 700만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약 15퍼센트가 외국 도서와 자료로 이루어져 있다.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NIL), located in Beijing, is the fifth-largest library in the world and the largest in Asia, with more than 23 million volumes. --P264

베이징에 있는 중국국립도서관(NLC)은 2천3백만 권의 장서를 보유한 세계에서 5번째로 크고 아시아에서 가장 큰 도서관이다.

The holdings include 1.5 million volumes, with 40,000 rare books. The SIL system offers a wide array of digital resources. The catalog is part of the Smithsonian Institution Research Information(SIRIS), of which 1.89 million records of text, images, video, and sounds files from across the Smithsonian Institution can be searched. --P303

스미소니언 인스튜션 도서관(SIL)의 장서는 희귀도서 4만권을 포함하여 총 150만 권이다. 이 도서관 시스템은 광범위한 디지털 자료를 제공한다. 도서목록은 전국의 SIL에서 검색할 수 있는 텍스트, 영상, 비디오, 소리파일 등 189만개의 기록을 가진 소미소니언 검색정보시스템(SIRIS)의 일부이다.

◆ <The Library; A Catalogue of Wonders(도서관; 경이로운 목록, 2017)>

호주 멜버른 출신의 Stuart Kells(스튜어트 켈스, 1972~ )는 희귀본 연구자이자 출판역사가로, 출판문화의 다양한 측면들을 소개하는 책을 써오고 있다. 이 책은 모든 애서가들이 꿈꾸며 그려온 도서관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We learned that libraries are much more than mere accumulations of books. Every library has an atmosphere, even a spirit. Every visit to library is an encounter with the ethereal phenomena of coherence, beauty, and taste. --Pxi

우리는 도서관이 단순히 책을 축적하는 그 이상이라는 점을 알게 되었다. 모든 도서관에는 분위기가 있으며, 심지어 영혼도 있다. 도서관을 방문할 때마다 일관되고 아름다우며 취향을 엿보는 황홀한 현상과 조우였다.

Around 1200 B.C. Rameses Ⅱ assembled a great library of books that included all the principal book materials available in the Nile Valley. More than ten types of books were represented, among them volumes made from papyrus, palm leaves, bone, bark, ivory, lines, and stone. --P19

기원전 1200년경에 람세스2세는 나일계곡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주요한 책 재료를 포함하여 방대한 도서관 장서를 수집했다. 10종 이상의 책이 전시되었고, 그 중에는 파피루스와 야자나무잎, 뼈, 나무껍질, 상아, 리넨, 돌로 만든 책들도 있었다.

The library adopted an admirably inclusive and international ambition: to assemble books from all the known countries and in all the languages. --P25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알려진 모든 국가와 모든 언어로 돤 책들을 수집한다는 감탄스러울 만큼 포괄적이고 국제적인 야망을 채택했다.

To expand the great library's famous collections, the authorities at Alexandria adopted a famous policy. Whenever a ship arrived at the city's port with scrolls on board, the scrolls were taken to the library for copying. When the copying was finished, the new facsimiles were returned to the ship, and the originals stayed in the library. Books obtained in this ways were identified in the catalogue as “from the ships.” --P27

위대한 도서관의 유명한 장서를 확충하기 위해 알렉산드리아 당국은 유명한 정책을 채택했다. 두루마리 책을 실은 배가 도시의 항구에 정박할 때마다 두루마리는 복사를 위해 도서관으로 가져왔다. 복사를 마치면 새로운 복사본은 배로 돌려주고 원본은 도서관에 보관했다. 이런 방식으로 획득한 책들은 ‘배에서 얻은’ 책으로 목록에 분류되었다.

In the Middle Ages, most of Europe's libraries were attached to cathedrals and monasteries, and most ecclesiastical and monastic books were codices. --P39

중세시대에는 대부분의 유럽 도서관이 성당과 수도원에 딸려 있었고, 대부분 교회와 수도원의 장서는 코덱스(필사본) 형태였다.

The Renaissance saw a revival of private libraries. From the mid-fifteenth century, Italian citizens of means began to have small studies built into their homes. --P48

르네상스 시대에는 개인도서관의 부활이 목격되었다. 15세기 중반부터 돈 많은 이탈리아인들은 자신들의 집에 작은 서재를 만들기 시작했다.

In Korea, as early as the fourteenth century, individual characters were cast in metal. When technology reached Europe, a young engraver and gem-cutter refined it even further. In so doing, he kicked off a revolution in the shape and size of libraries, and the shape and size of world culture. --P81

한국에서는 14세기 초에 각각의 글자들이 금속으로 주조되었다. 이 기술이 유럽에 도달했을 때 젊은 금세공사가 이를 개량했다. 이렇게 하여 도서관의 형태와 크기에, 그리고 세계문학의 형태와 규모에 혁명을 일으켰다.

It is estimated that, before the printing press, there were 50,000 books in the whole of Europe. Fifty years after Gutenberg’s first Bible, the number of books exceeded 8 million, the number of editions 28,000. An efficient printer could produce in one day what a competent scribe could accomplish in six months. --P 84

인쇄기가 발명되기 전에는 유럽 전역에 대략 5만 권의 책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구텐베르크의 첫 번째 성서 이후 40년간 책의 수는 800만 권을 넘어섰고, 판수는 약 2만8천 권에 달했다. 실력 좋은 인쇄업자는 필경사가 6개월에 걸쳐 완성할 작업을 하루 만에 생산할 수 있었다.

There are other reasons, too, why digital conservation can be unsatisfactory. Many aspects of books are alien to digitization: indicators of provenance, marginalia, bindings, paper, watermarks, edition variants, the feel of impressed type, and the physical experience—including the smell—of handling a book. --P260

디지털로 보존하는 방법이 만족스러울 수 없는 다른 이유도 있다. 책의 다양한 측면들이 디지털화에 생소하다. 출처정보, 여백에 쓴 메모, 표지, 종이, 투명무늬, 판 변형, 감동을 주는 서체의 느낌, 냄새를 포함해 책을 다루는 신체적 경험 등이다.

◆ <The Library Book(도서관 책, 2019)>

미국의 작가인 Susan Orlean(수전 올리언, 1955~ )은 1986년 4월 29일 아침에 발생한 LA 공공도서관 화재로 40만 권의 책을 한 줌의 재로 만들고, 70만 권의 책을 훼손한 사건을 추적한다.

The Central Library fire was not a minor matter, nor a cigarette smoldering in a trash can that would have gone without mention. It was a huge, furious fire that burned for more than seven hours and reached temperatures of 2000 degrees; it was so fierce that almost every firefighter in Los Angels was called upon to fight it. More than one million books were burned or damaged. --P15

로스앤젤레스 중앙도서관 화재는 작은 사건이 아니었다. 언급할 것도 없이 담배꽁초가 쓰레기통에서 연기를 피우는 것도 아니었다. 7시간 넘게 활활 타올라 온도가 2,000도(섭씨 1,100도)에 이른 거대하고 맹렬한 화재였다. 불길이 너무나 치열해 로스앤젤레스시의 거의 모든 소방관이 진압을 위해 출동했다. 100만 권이 넘는 책이 불타거나 훼손되었다.

Libraries were a solace in the Depression. They were warm and dry and useful and free; they provided a place for people to be together in a desolate time. --P195

도서관들은 대공황 시기에 하나의 안식처였다. 따뜻하고 건조하고 유용하며 자유로운 곳이었다. 도서관은 그 황량한 시대에 사람들이 함께 있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다.

The Library’s commitment to being open to all is an overwhelming challenge. For many people, the library may be the only place they have to be in close quarters with disturbed or profoundly dirty people, and that can be uncomfortable. But a library can’t be the institution we hope for it to be unless it is open to everyone. --P245

모든 사람에게 도서관을 개방한다는 도서관의 헌신은 압도적인 도전이다. 많은 사람에게 도서관은 불안정하거나 심하게 지저분한 사람과 좁은 구역에 같이 있어야 하는 유일한 장소이고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도서관이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지 않는다면 우리가 기대하는 기관의 역할은 할 수 없다.

Restoring the Central Library collection was the largest book-drying project ever undertaken. Approximately 700,000 books—75,000 cubic feet of material —were wet or smoky or, in many cases, both. Up until the library, the largest book-drying project involved just 100,000 books. --P263

중앙도서관의 소장품을 복구하는 작업은 지금까지 시도된 최대 규모의 도서 건조 프로젝트였다. 약 70만 권의 책-약 7만5,000평방피트의 자료-이 물에 젖거나 연기에 그을리거나, 많은 경우 두 가지에 해당되었다. 그때까지 최대 규모의 도서 건조 프로젝트는 단 10만 권의 책이 포함되었다.

◆ 도서관은 동반자이자 소통의 장소이다

도서관은 한 나라의 미래를 볼 수 있는 징표라고 한다. 문자가 시작된 고대 알렉산드리아의 점토 도서관부터 현대의 전자책과 데이터를 사용하는 디지털 도서관까지, 도서관은 지식과 정보의 보고이자 사람의 소통의 장소로서 가장 중요한 시설이었다.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아 세계 각국은 미래에 대한 투자와 국가경쟁력의 확보를 위해서 디지털 도서관 건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보관하고 대출해 주는 기능을 벗어나 지식정보화 사회에 부합되게 정보와 자료를 수집, 분석, 가공, 이용할 수 있는 창조적 공간이 되었다. 정보의 격차는 빈부와 권력의 격차를 초래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일반 대중에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관은 필수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일반 국민이 책을 읽는 기간이 100년이 넘는 문화국가는 전 세계에서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 등이다. 2019년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공공도서관 수는 OECD 국가 중 최하위에 속하며, 주요국가의 공공도서관 1개당 서비스 인구 숫자는 영국 15,465명, 미국 35,622명, 일본 38,807명인 반면 한국은 47,287명으로 영국의 4배 수준이고, 서울시는 56,449명에 이르러 도서관 숫자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정부에서 공공도서관 건립에 많은 투자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책은 인생에서 가장 오랫동안 변함없는 친구이자 동반자이다. 이런 좋은 벗을 언제나 제공하는 도서관이 인생을 살찌우는 동반자이자 소통의 장소인 이유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