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러시아혁명의 원인과 결과 -2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11.21 09:00 의견 0

◆ <Ten Days That Shook the World(세계를 뒤흔든 10일, 1917)>

미국 언론인 John Reed(존 리드, 1887~1920)가 볼셰비키혁명을 직접 보고 기록한 수기인 본서는 ‘세계 3대 르포’로 선정되었다. 장티푸스에 걸려 젊은 나이에 요절했으며, 모스크바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이 책에서 러시아혁명의 상황을 생생하게 기술하였으며, 부록으로 당시에 배포된 자료가 많이 실려 있다. 스탈린 시대에 러시아에서 이 책은 금서였다.

In the struggle my sympathies were not neutral. But in telling the story of those great days I have tried to see events with the eye of a conscientious reporter, interested in setting down the truth. --P13

투쟁의 과정에서 내 감정은 중립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 중요한 날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나는 꼼꼼한 취재기자의 눈으로 사건들을 보려 했고, 또한 진실만을 기록하는 데 주력했다.

The power of the Soviets is not a democratic power, but a dictatorship—and not the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but against the proletariat. All those who have felt or know how to feel revolutionary enthusiasm must join now for the defense of the Revolution. --P149

소비에트 정권은 민주주의 정권이 아니라 독재 정권이다. 게다가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아니라 프롤레타리아에 반하는 독재이다. 혁명의 열정을 가진 모든 사람들은 혁명을 방어하기 위해 단결해야 한다.

The question is very plain. On one side are Kerensky, Kaledin, Kornilov, the Menshevik, Socialist Revolutionaries, Cadets, Dumas, officers. (…) They tell us that their objects are good. On the other sides are workers, the soldiers and sailors, the poorest peasants. The Government is your hands. You are the masters. Great Russia belongs to you. Will you give it back? --P157

문제는 매우 명백하다. 한편에는 케렌스키, 칼레딘, 코르닐로프, 멘셰비키, 사회혁명당, 생도, 두마, 장교들이 있다. (…) 그들은 자신들의 목적이 옳다는 것을 말한다. 다른 편에는 노동자, 병사, 수병, 빈농들이 있다. 정부는 여러분의 것이다. 여러분이 주인이다. 위대한 러시아는 여러분의 것이다. 그것을 그들에게 다시 넘겨주겠는가?

I suddenly realized that the devout Russian people no longer needed priests to pray them into heaven On earth they were building a kingdom more bright than any heaven had to offer, and for which it was a glory to die. --P230

나는 문득 깨달았다. 신앙심 깊던 러시아인들에게 자신들을 천국으로 보내달라고 기도해 줄 성직자가 더는 필요하지 않게 된 것이다. 지상에서 이들은 그 어떤 천국보다도 밝게 빛나는 나라를 세우려 한다. 그것을 위해 죽는 것은 영광이다.

Not by compromise with the propertied classes, or with the other political leaders; not by conciliating the old Government mechanism, did the Bolshevik conquer the power. Not by the organized violence of a small clique. If the masses all over Russia had not been ready for insurrection it must have failed. The only reason for Bolshevik success lay in their accomplishing the vast and simple desires of the most profound strata of the people. --P254

유산 계급이나 다른 정당 지도자들과 타협해서 된 것이 아니었다.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한 것은 낡은 정부 기구와 화해함으로써 된 것도 아니었다. 소수 분파의 조직적 폭력을 통해 된 것도 아니었다. 러시아 대중이 봉기를 대비하지 않았다면 볼셰비키는 틀림없이 실패했을 것이다. 볼셰비키가 성공할 수 있었던 유일한 이유는 기층 민중의 거대하고도 단순한 욕구를 그들이 현실화해 주었다는 데 있다.

The Soviets are the most perfect representatives of the people of the workers in the factories and mines, of the workers in the fields. Anybody who attempts to destroy the Soviets is guilty of an anti-democratic and counter-revolutionary act. --P260

소비에트는 공장과 광산의 노동자들, 밭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을 가장 완벽하게 대변하는 기구이다. 소비에트를 파괴하려 시도하는 어떤 누구도 반민주적이고 반혁명적인 행동이다.

There is now only one master of the Russian land: the union of the workers, soldier, and peasants. --P269

이제 러시아 땅에는 단 하나의 주인만이 존재한다. 그것은 노동자, 병사, 농민의 연합이다.

◆ <The Bolsheviks Come to Power(볼셰비키 권력을 잡다, 2017)>

미국 인디아나대학교 Alexander Rabinowich(알렉산더 라비노비치, 1934~ ) 교수는 러시아혁명 연구에 평생을 바친 러시아혁명사의 대가이다. 처음에는 대다수 역사학자처럼 10월혁명을 쿠데타로 보는 보수적 견해의 소유자였다. 그러나 수많은 1차 사료를 분석하며 러시아 10월혁명을 평등을 목표로 삼은 진정한 대중 혁명으로 보게 됐다. 볼셰비키의 10월혁명을 다룬 최상의 연구서라는 명성을 얻은 이 책은 소련에서 최초로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While Lenin seems to have known of the German money there is no evidence that his policies or those of party were in any way influenced by it. Ultimately, this ai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utcome of the revolution. As for the July events, the charge that the uprising was instigated by Lenin in cooperation with the Germans was obviously groundless. --P14

레닌은 독일 자금을 알고 있었던 듯하지만, 그의 정책이나 당 정책에 어떤 식으로든 독일 자금의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는 없다. 결국, 이 지원금은 혁명의 결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7월 사태로 말하자면, 레닌이 독일과 협력해서 봉기를 부추겼다는 혐의는 명백한 근거가 없다.

Commented Rabochaia gazeta: “…We are also indebted to the system of repression —chaotic, hasty, at times ridiculous and senseless—which. (…) clothed the Bolsheviks in a halo of suffering, destroying the impact which the criminal action of July 3-5 had had on the worker and soldier masses.” --P93

<라보치아 가제트:노동자 신문>은 다음과 같이 평했다. “…볼셰비키의 승리는 볼셰비키에게 순교자의 후광을 덮어주고 노동자, 병사, 대중 사이에 남아있을 7월 3~5일의 범죄행위의 인상을 지워버린 (…) 허둥대고 때때로 서툴고 무지했던 혼란 투성이 탄압체계 덕분이기도 했다.”

Only a strong, popularly based government, Lenin contended, would be capable of smashing the resistance of the capitalists, displaying truly supreme courage and determination in the exercise of power, and securing the enthusiastic, selfless, and heroic support of the masses both in the army and among the peasants. Immediately transferring power to the soviets, he insisted, was the only way to make further progress gradual, peaceful, and smooth. --P172

레닌은 대중에 기반을 둔 강한 정부만이 최고 수준의 용기와 결단성을 발휘해서 자본가의 저항을 분쇄하고 권력을 행사하고 군대와 농민의 열렬하고 사심 없는 영웅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으리라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권력을 지체 없이 소비에트로 이전하는 것만이 진보를 점진적으로 평화적으로 마찰 없이 이룩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역설했다.

Accounts of the October revolution by writers in the Soviet Union, seeking to maximize Lenin’s role in the Bolshevik seizure of power at the expense of Trotsky’s, convey the impression that under the latter’s influence, the party exaggerated Kerensky’s strength and underestimated that of the left, and passively awaited a vote of the Congress of Soviets to create a revolutionary government. This interpretation is, of course, seriously distorted. --P266

소련 저술가의 10월혁명 서술은 볼셰비키의 권력 장악 과정에서 트로츠키를 희생시켜 레닌의 역할을 최대한 드높이려 하고, 트로츠키의 영향 아래서 당이 케렌스키의 힘을 과장하며 좌파의 힘을 과소평가했고, 혁명 정부를 창출하려는 소비에트 의회의 투표를 수동적으로 기다렸다는 인상을 전하려 한다. 이 해석은 물론 심한 왜곡이다

That in the space of eight months the Bolsheviks reached a position from which they were able to assume power was due as well to the special effort which the party devoted to winning the support of military troops in the rear and at the front, only the Bolsheviks seem to have perceived the necessarily crucial significance of the armed forces in the struggle for power. --P311

8개월이라는 기간에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을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 것은 전후방 부대의 지지를 얻는 데 당이 쏟은 특별한 노력 덕분이다. 오직 볼셰비키만이 권력투쟁에서 군대가 필연적인 결정적인 의의를 인식한 듯하다.

◆ <The Russian Revolution(러시아혁명, 2001)>

미국 시카고대학교 명예교수인 Sheila Fitzpatrick(쉴라 피츠패트릭, 1941~ ) 여사는 러시아혁명 연구에 대한 수정주의 학자로서, 러시아혁명을 아래로부터의 혁명으로 규정하며, 연구 범위를 사회와 문화로까지 그 지평을 넓혔다.

In the cases of the Russian Revolution, the start-point presents no problem: almost everyone takes it to be the ‘February Revolution’ of 1917, which led to the abdication of Emperor Nicholas Ⅱ and the form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P2

러시아혁명의 경우에 시작점은 이견이 없다. 거의 모두가 황제 니콜라이 2세의 퇴위와 임시정부를 수립한 1917년 2월 혁명을 그 시발점으로 본다.

By recruiting party numbers primarily from the working class for fifteen years after the October Revolution, the Bolsheviks did a great deal to substantiate their claim to be a worker’s party. They also created a broad channel for working-class upward mobility, since the recruitment of workers to party membership went hand in hand with the promotion of working-class Communists to white-collar administrative and managerial positions. --P11

10월혁명 이후 15년 동안 우선적으로 노동계급에서 당원을 모집하면서 볼셰비키는 자신들이 노동자 정당이라는 주장을 입증하려 했다. 또한 노동자 계급의 상향 이동을 위한 광범위한 통로를 만들었다. 노동자를 당원으로 모집하여 노동자계급 공산당원을 사무행정 관리직으로 승진시키는 것과 병행했기 때문이다.

The Bolsheviks also described their rule as ‘soviet power’. But this was never a very accurate description, in the first place because the October Revolution was essentially a party coup, not a soviet one, and in the second place because the new central government(chosen by the Bolsheviks Central Committee) had nothing to do with the soviets. --P88

볼셰비키는 자신들의 통치를 ‘소비에트 권력’으로도 묘사했다. 그러나 이는 정확한 설명이 아니다. 첫째로 10월혁명은 본질적으로 당의 쿠데타였지 소비에트의 쿠데타가 아니었다. 둘째로(볼셰비키 중앙위원회가 선택한) 중앙정부는 소비에트와 전혀 관련이 없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Cultural Revolution was to establish Communist and proletarian ‘hegemony’, which in practical terms meant both asserting party control over cultural life and opening up the administrative and professional elite to a new cohort of young Communists and workers. --P141

문화혁명의 목적은 공산당과 프롤레타리아트의 ‘주도권’ 확립이다. 이는 실질적 측면에서 당이 문화생활을 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젊은 공산당원과 노동자의 새로운 무리가 행정직과 전문직 엘리트가 되는 길을 여는 것이다.

The ruling Communist party was a legacy of the Revolution; so were the collective farms, the Five-and Seven Year Plans, chronic shortages of consumer goods, cultural isolation, Gulag, the division of the world into ‘socialist’ and ‘capitalist’ camps, and the assertion that the Soviet Union was ‘leader of the progressive forces of mankind’. --P170

집권 공산당은 혁명의 유산이었다. 집단농장, 5개년과 7개년 계획, 소비재의 만성 부족, 문화적 고립, 굴락(집단수용소),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진영으로 갈라진 세계, 소비에트연맹이 ‘인류 진보세력의 지도자’였다는 주장도 마찬가지다.

The Revolution gave Russia a meaning, a historical destiny. Through the revolution, Russia became a trailblazer, an international leader, a model and inspiration for ‘the progressive forces of the whole world’. --P171

혁명은 러시아에 의미와 역사적 운명을 부여했다. 혁명을 통해 러시아는 선구자이자 국제사회의 지도자, ‘전 세계의 진보적 세력’의 본보기와 영감이 되었다.

◆ 소비에트연합 해체 이후 수정주의 해석이 탄력을 받고 있다

1991년 소비에트연합의 해체 이후에 수십만에 이르는 비밀문서가 일부 해제되면서 서구의 역사학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러시아혁명이 노동자, 농민, 군인 등 민중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아래로부터의 혁명이라는 새로운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러시아혁명의 성공 요인을 볼셰비키가 대중의 요구를 민감하게 대응하며 파악하는 현실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토론과 논쟁이 거침없이 이뤄진 볼셰비키 내부의 민주적 논의구조 그리고 대다수 러시아인의 10월혁명의 당위성에 대한 지지에서 찾는다. 이는 종전의 러시아혁명은 볼셰비키의 권위적 위계와 레닌 및 트로츠키의 리더십에서 찾는 서구의 보수주의적 학계의 주장과, 레닌의 탁월한 지도력을 강조하는 구 소련의 관점을 모두 뒤집는 해석이다.

러시아혁명은 유라시아 대부분의 국가와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 북한, 한국, 일본에서 공산당이 창당되었고, 일본 제국주의에 대항하며 민족독립을 추진하는 이념적 지표가 되었으며, 여러 후진국가에서 사회주의적 근대화를 추진하는 근거가 되었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