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러시아혁명의 원인과 결과 -1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11.14 09:00 의견 0

In short, the history of the Short Twentieth Century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the Russian revolution and i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Not least because it proved to be the saviour of liberal capitalism, both by enabling the West to win the Second World War against Hitler’s Germany and by providing the incentive for capitalism to reform itself and —pradoxically— through the Soviet Union’s apparent immunity to the Great Depression, the incentive to abandon the belief in free market orthodoxy. --Eric Hobsbawm, The Age of Extremes, P84

20세기의 역사는 러시아혁명과 그것의 직간접적 결과 없이는 이해할 수 없다. 이는 특히 러시아혁명이 서방으로 하여금 제2차 세계대전에서 히틀러 독일을 이길 수 있게 해주고, 자본주의로 하여금 스스로를 개혁하도록 동기를 제공하며-역설적이게도-대공황에 대한 소련의 명백한 면역을 통해 자유시장이라는 정통교리에 대한 믿음을 버리도록 고무함으로써 자유주의적 자본주의의 구세주인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에릭 홉스봄, <극단의 시대> 중에서

1905년에 벌어진 일본과의 전쟁에서 패한 러시아는 대기근을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수도인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자 로마노프왕조의 황제 니콜라이 2세에 의한 무력탄압으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피의 일요일’ 사건이 일어난다.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러시아는 오랜 전쟁과 기근으로 대중들이 거리에 나서면서 1917년 2월 혁명이 일어나자 황제는 발포를 명령했지만 군인들이 이를 거부하고 혁명에 합류한다.

혁명의 여파로 황제는 퇴위하고 임시정부가 발족된다. 오랜 망명 생활을 한 마르크스주의자 레닌은 독일의 후원으로 러시아에 도착해 볼셰비키혁명을 일으켰다. 국방위원장 트로츠키는 볼셰비키를 지지하는 적군(Red army)으로 하여금 임시정부가 머무는 겨울왕국을 습격해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넘기라”며 백군(white army)을 물리치고 권력을 차지했다. 1917년 10월, 레닌에 의한 볼셰비키혁명으로 소비에트 정권이 탄생한 것이다.

이러한 러시아혁명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미국의 대표적인 러시아혁명사 권위자인 리차드 파이프는 러시아혁명이 레닌이 일으킨 볼셰비키 쿠데타였다고 주장한다. 한편 수정주의 역사학자들은 볼셰비키혁명이 밑으로부터 대중의 지지를 받은 혁명이라고 정의한다. 100년이 지난 러시아혁명을 하나의 ‘순환(Cycle)’으로 보아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러시아혁명에 대한 대표적인 저서들을 3회에 걸쳐 소개한다.

◆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러시아혁명사, 1932)>

유대인 출신의 러시아 혁명가 Leo Trotsky(레온 트로츠키. 1879~1940)는 볼셰비키혁명의 2인자였으나 레닌 사후에 스탈린에 의해 직책에서 쫓겨났고 1927년에는 출당되었다. 1929년에는 터키로 추방되었지만 거기에서 <러시아혁명사>를 집필했다. 이후 프랑스, 노르웨이 등지에서 망명 생활을 했으며, 마지막 망명지인 멕시코에서 1940년 8월에 스탈린이 보낸 암살자에 의해 살해되었다. 본서는 본문만 873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저서이며, 다루는 시기는 1917년 2월부터 10월까지 8개월의 기간이다.

The fundamental and most stable feature of Russian history is the slow tempo of her development, with the economic backwardness, primitiveness of social forms, and low level of culture resulting from it. --P1

러시아 역사에서 근본적이면서 가장 안정적인 특징은 러시아 발전이 매우 느린 속도였고, 이로 인한 경제적 후진성, 사회형태의 원시성, 문화수준의 낙후성이다.

From criticism the masses pass over to action. Their indignation finds expression first of all in food disturbances, sometimes rising to the height of local riots. Women, old men and boys, in the market or on the open square, feel bolder and more independent than the workers on military duty in the factories. --P30

대중은 비판으로부터 시작해 행동으로 나아간다. 이들의 분노는 처음에는 식량부족에 대한 소란으로 표출되었고, 때로는 지역 폭동의 극치로 이어졌다. 시장이나 광장에서 여성, 노인, 청소년들이 공장에서 군 복무를 이행하는 노동자보다 대담하고 독립적으로 투쟁했다.

Lenin was not an accidental element in the historic development, but a product of the whole past of Russian history. He was embedded in it with deepest roots. Along with the vanguard of the workers, he had lived through their struggle in the course of the preceding quarter century. The “accident” was not his interference in the events. --P239

레닌은 역사 발전의 우연적인 요인이 아니라 러시아 역사 전체의 산물이었다. 레닌은 역사에 깊은 뿌리를 박고 있었다. 그가 노동자의 전위와 함께하며 지난 25년 동안 노동자의 투쟁을 통해 혁명에 개입한 것은 ‘우연’이 아니었다.

Revolution take place according to certain law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masses in action are aware of the laws of revolution, but it does mean that the changes in mass consciousness are not accidental, but are subject to an objective necessity which is capable of theoretic explanation, and thus makes both prophecy and leadership possible. --P352

혁명은 법칙에 따라 일어난다. 이 말은 혁명 대중이 혁명의 법칙들을 인식한다는 뜻이 아니다. 다만 대중의 의식에서 변화는 우연적이 아니라 설명 가능한 객관적 필연에 종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로 이 때문에 대중의 의식은 예측과 리더십이 가능하다.

Armed insurrection stands in the same relation to revolution that revolution as a whole does to evolution. It is the critical point when accumulating quality turns with an explosion into quality. But insurrection itself again is not a homogeneous and individual act: it too has its critical points, its inner crises and acceleration. --P819

무장봉기는 전체적으로 혁명이 진화에서 하는 역할과 같이 혁명에서 동일한 관계에 있다. 봉기는 축적된 양이 폭발하여 질로 전환될 때 결정적인 순간이다. 그러나 봉기 자체는 동질적이거나 일체적이지 않다. 봉기에도 역시 결정적인 순간, 내적 위기와 가속화가 있다.

The October Revolution laid the foundation of a new culture taking everybody into consideration, and for that very reason immediately acquiring international significance. --P872

10월 혁명은 모든 사람을 고려하는 새로운 문화의 기초를 놓았다. 바로 이 이유 때문에 즉시 국제적 의의를 획득한 것이다.

◆ <The Bolshevik Revolution(볼셰비키혁명, 1953)>

E.H. Carr(E.H. 카, 1892~1982)는 영국의 외교관으로, 주 러시아 영국대사관 등에서 근무하며 러시아혁명사에 천착(穿鑿), 총 14권에 달하는 <러시아사>의 금자탑을 이루었다. <볼셰비키혁명>은 3권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인용문은 모두 1권에서 발췌했다.

The Slavophils believed that Russia, backward no doubt but full of youthful vigor and in this respect superior to the already decaying west, had a peculiar destiny of her own to accomplish which would enable her to rise above the characteristic evils of western civilization. --P8

슬라브주의자들은 러시아가 확실히 뒤떨어지긴 했지만 젊고 활기에 넘쳐 있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 이미 쇠퇴해 가고 있는 서구보다 우위에 있으며, 또한 달성해야 할 자신의 특수한 운명을 지니고 있어 이는 서구 문명의 특수한 병폐를 넘어서 솟아오를 것이라고 확신했다.

The Bolsheviks were the men of action, engaged in the organization of revolution by legal or illegal means; Lenin, the spokesman and creator of Bolshevism, was from the first, in contrast to the Mensheviks, less interested in revolutionary theory than in revolutionary practice. --P39

볼셰비키는 행동하는 사람들이었고, 합법적이거나 불법적인 수단으로 혁명 조직에 참여했다. 레닌은 볼셰비즘의 대변인이자 창조자로서 처음부터 멘셰비키와는 대조적이었고, 혁명적 이론보다는 혁명적 실천에 관심이 적었다.

The Mensheviks came to stand for a series of ideas familiar in the practice of western European socialism -- a legal opposition, progress through reform rather than revolution, compromise and cooperation with other parliamentary practice, economic agitation through trade unions. Menshevism was firmly rooted in western thought and western tradition( and, after all, Marx was a westerner). --P40

멘셰비키는 서유럽 사회주의의 실천에 친숙한-합법적인 저항, 혁명보다는 개혁에 의한 진보, 노동조합에 의한 경제적 선동-일련의 사고를 옹호하게 되었다. 멘셰비즘은 세구의 사상과 전통에 확고한 뿌리를 내렸다(그리고 결국 마르크스도 서구인이었다).

One reason why history so rarely repeats itself is that the dramatic personae at the second performance have prior knowledge of the denouement. The Marxist scheme of revolution required the bourgeoisie to overthrow the feudal order as a prelude to its own overthrow by the proletariat. The weakness of the scheme was that, once it had penetrated the bourgeois consciousness, it could no longer be carried out. --P42

왜 역사는 반복되는 일이 거의 없는가라는 데 대한 한 가지 이유로 들 수 있는 것은 재연(再演)에서는 등장인물들이 대단원을 미리 알고 있다는 점이다. 혁명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계획은 부르주아들에게 프롤레타리아에 의한 부르주아 체제의 궁극적 타도의 서막으로서 봉건체제의 타도를 요구했다. 이 계획의 약점은 부르주아들이 한번 그 흐름을 알아버리면 이미 그것은 실행될 수 없다는 점이었다.

In the early morning of October 25, 1917, The Bolshevik forces went into action. The key-points in the city were occupied; the member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were prisoners or fugitives; in the afternoon Lenin announced to a meeting of the Petrograd Soviet the triumph of "the workers" and peasants' revolution; in the evening the second All-Russian Congress of Soviets, proclaimed the transfer of all power throughout Russian to Soviets of Worker', soldiers' and Peasants' Deputies. --P99

1917년 10월 25일 이른 아침 볼셰비키 부대는 행동을 취했다. 도시의 주요 거점이 점령되었다. 임시정부 요인들은 체포되거나 도망갔다. 오후가 되자 레닌은 페테르부르크 소비에트 회의에서 ‘노동자·농민 혁명’의 승리를 선언했다. 그리고 저녁이 되자 제2차 전 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서 러시아의 모든 권력을 노동자·병사·농민대표 소비에트로 이전한다고 선포했다.

And Lenin himself epigrammatically added: So long as the state exists there is no freedom; when freedom exists there will be no state. --P242

그리고 레닌은 자신이 만든 경구에 덧붙였다. 국가가 존재하는 한 자유란 없다. 자유가 존재하게 된다면 국가란 없을 것이다.

◆ <Revolutionary Russia(혁명의 러시아, 2014)>

영국 런던대학교 Orlando Figes(올랜도 파이지스, 1959~ ) 교수는 러시아 현대사에 대한 가장 정통한 역사학자로, 떠오르는 별이자 신예이다. <러시아 이야기> 등 다수의 러시아 관련 저서가 있다. 본서는 러시아혁명 100년을 하나의 단일한 사이클로 조명하고 있다.

It was not Marxism that made Lenin a revolutionary but Lenin who made Marxism revolutionary. --P21

마르크스주의가 레닌을 혁명가로 만든 것이 아니라, 레닌이 마르크스주의를 혁명적으로 만들었다.

For one of the most basic misconceptions about the October Revolution is that Bolsheviks were swept to power on a tide of mass support for the Party. They were not. The October insurrection was a coup d’etat, actively supported by a small minority of the population, but it took place in the midst of a social revolution, which was focused on the popular ideal of Soviet power. --P91

왜냐하면 10월 혁명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오해의 하나가 볼셰비키가 당에 대한 대중 지지의 물결을 타고 권력을 잡았다는 주장 때문이다.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 10월 혁명은 소수 주민의 적극적인 지지를 받았던 쿠데타였다. 그러나 그것이 소비에트 권력에 대한 민중의 이상에 집중되어 있던 사회혁명의 한복판에서 일어났을 뿐이다.

The Great October Socialist Revolution, as it became known in the Soviet Union, was in fact such a small-scale action, being in reality no more than a coup, that it passed unnoticed by the vast majority of the inhabitants of Petrograd. Theatres, restaurants and tram cars functioned much as normal while the Bolsheviks came to power. --P96

소련에서 알려지게 된 ‘위대한 10월 사회주의 혁명’은 페트로그라드 주민 대다수가 알아차리지 못했을 정도로 사실은 소규모 행동이며, 실제로 쿠데타에 불과했다.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는 동안 극장, 식당, 시내 궤도전차는 정상적으로 운행되었다.

The establishment of Soviet power was often accompanied by the confiscation of ‘bourgeois’ property. Lenin encouraged local Bolshevik leaders to organize the ‘looting of the looters’ as a form of social justice by revenge. Soviet officials, bearing flimsy warrants, would go round bourgeois houses confiscating valuables and money ‘for the revolution’. --P102

소비에트 권력의 확립은 종종 ‘부르주아’ 재산의 몰수를 수반했다. 레닌은 지역의 볼셰비키 지도자들에게 복수에 의한 사회정의 실현의 형태로서 ‘약탈자들에 대한 약탈’을 조직하도록 독려했다. 소비에트 관리들은 엉성한 체포영장을 소지하고 ‘혁명을 위해’ 돈과 귀중품을 압수하면서 부르주아 집을 돌아다녔다.

By 1920, 5.4 million people worked for the government. There were twice as many officials as there were workers in Soviet Russia, and these officials were the main social base of the new regime. This was not a Dictatorship of the Proletariat but a Dictatorship of the Bureaucracy. --P114

1920년 무렵, 540만 명의 사람이 정부를 위해 일했다. 소비에트 러시아에서 공무원의 수는 노동자의 수보다 두 배가 더 많았고, 이 공무원들이 새로운 정부의 중심적인 사회적 기반이었다. 이것은 프롤레타리아의 독재가 아니라 관료체제의 독재 통치였다.

It will take many decades for the Russians to be cured of the social traumas and pathologies of the Communist regime. Politically the revolution may be dead, but it has an afterlife in the mentalities of the people swept up in its violent cycle of one hundred years. --P296

러시아인들이 공산주의 체제의 사회적 트라우마와 병리를 치유하는 데에는 수십 년이 걸릴 것이다. 정치적으로 혁명은 죽었는지 모른다. 하지만 혁명은 100년 동안의 그 폭력적인 사이클 속에 휩쓸린 사람들의 정신 속에서 사후의 삶을 가지고 있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