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그리스와 로마 신화 이야기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10.03 09:00 의견 0

Many children on both sides of the Atlantic grew up, as I did, on classic collections of the Greek mythos by four enduringly popular Americans. Two were nineteenth-century writers: Nathaniel Hawthorne, who gave us A Wonder Book for Girls and Boys(1851) and its sequel, Tanglewood Tales(1853); and Thomas Bulfinch, whose The Age of Fable(1855), later incorporated into the compendious Bulfinch’s Mythology(1881), has run through dozens and dozens of editions in its 160 years of life. The twentieth century was dominated by the matchless Edith Hamilton’s Mythology: Timeless Tales Of Gods and Heroes(1942), which is still happily in print, and by Bernard Evslin’s evergreen Heroes, Gods and monsters of the Greek Mythos(1976). --Stephen Fry, Mythos, P408

대서양 양쪽 대륙에 사는 수많은 아이들이 나처럼 꾸준히 인기 있는 네 명의 미국 작가가 쓴 그리스 고전 신화집을 읽으며 자랐다. 두 사람은 19세기 작가였다. 너새니얼 호손은 <원더북(1853)>과 그 속편 <탱글우드 저택 이야기(1855)>을 저술했고, 토머스 벌핀치의 <신화의 시대(1855)>와 나중에 간결하게 통합된 <신화(1881)>는 160년 동안 수십 개의 판본으로 출판되었다. 20세기는 경쟁자가 없는 이디스 해밀턴 여사의 <신화: 신과 영웅의 영원한 이야기(1942)>는 지금도 여전히 출판되고 있고, 버나드 에브슬린의 명작 <그리스 신화의 영웅들(1976)>이 지배하기도 했다. -스티븐 프라이어 <그리스 신화> 중에서

◆ <Bulfinch's Greek and Roman Mythology; The Age of Fable(벌핀치의 그리스 로마 신화; 신화의 시대, 1855)>

미국 출신의 작가 Thomas Bulfinch(토머스 벌핀치: 1796~1867)는 신화 3부작—신화의 시대, 기사도 시대, 샤롤마뉴 대제의 전설—을 발표하여 명성을 얻었다. 벌핀치가 사업에 실패하고 은행원으로 근무하며 역사, 문화, 예술을 공부한 끝에 58세에 쓴 <The Age of fable(신화의 시대)>가 성공하며 작가로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The Greeks believed the earth to be flat and circular, their own country occupying the middle of it, the central point being either Mount Olympus, the abode of the gods, or Delphi, so famous for its oracle. --P1

그리스인들은 지구가 평평하고 둥글게 생겼다고 믿었다. 자신의 나라는 중앙을 차지했으며, 그 중심점에는 올림포스 산이나 신탁으로 유명한 델포이 또는 신의 성전이 있다고 믿었다.

Jupiter, or Jove(Zeus), though called the father of gods and men, had himself a beginning. Saturn(Cronos) was his father, and Rhea(Ops), his mother. Saturn and Rhea were of the race of Titans, who were the children of Earth and Heaven, which sprang from Chaos. --P4

주피터, 조브(제우스)는 신들과 인간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자신도 조상이 있었다. 새턴(크로노스)가 아버지고 레아(옵스)가 어머니였다. 새턴과 레아는 티탄 신족에 속했다. 티탄 족은 땅과 하늘의 자식이었고, 카오스(혼돈)에서 땅과 하늘이 나왔다.

Earth, sea, and air were all mixed up together; so the earth was not solid, sea was not fluid, and the air was not transparent. God and Nature at last interposed, and put an end to this discord, separating earth from sea, and heaven from both. The fiery part, being the lightest, sprang up, and formed the skies; the air was next in weight and place. The earth, being heavier, sank below; and the water took the lowest place. and buoyed up the earth. --P10

땅, 바다, 공기가 모두 함께 섞였다. 그래서 땅은 단단하지 않고, 바다는 유동적이지 않았고, 공기는 투명하지 않았다. 신과 자연이 마침내 개입하여 이 불화를 종식시키고 땅과 바다 및 하늘을 나누었다. 불붙는 부분이 가장 가벼워 솟아올라 하늘을 형성했다. 공기는 무게와 장소에서 다음이었다. 땅은 더 무거워 가라앉았다. 그리고 물은 가장 낮은 자리를 차지해 땅을 부양했다.

Minerva, the goddess of wisdom, was the daughter of Jupiter. She was said to have leaped forth from his brain, mature, and in complete armour. She presided over the useful and ornamental arts, both those of men— such as agriculture and navigation—and those of women, -- spinning, weaving, and needlework. She was also a warlike divinity. --P86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는 주피터의 딸이었다. 그녀는 주피터의 두뇌에서 뛰쳐나왔고, 성숙했으며, 완전한 갑옷을 입었다고 한다. 그녀는 남성이 하는 농업과 항해, 여성이 하는 방적, 직조, 바느질과 같은 유용하고 장식적인 예술을 관장했다. 그녀는 또한 호전적인 신이었다.

Paris, aided by Venus, persuaded her to elope with him, and carried her to Troy, whence arose the famous Trojan war, the theme of the greatest poems of antiquity, those of Homer and Virgil. --P170

파리스는 비너스의 도움으로 헬레네를 설득하여 함께 달아나 트로이로 가 버렸다. 이곳에서 호메르스와 베르길리우스가 쓴 고대의 가장 위대한 시의 소재가 된 트로이 전쟁이 일어났다.

All the theories which have been mentioned are true to a certain extent. It would therefore be more correct to say that the mythology of a nation has sprung from all these sources combined than any one in particular. We may add also that there are many myths which have arisen from the desire of man to account for those national phenomena which he cannot understand; --P243

언급된 모든 이론은 어느 정도 사실이다. 따라서 한 국가의 신화가 어느 특정한 것보다 이러한 모든 출처를 결합하여 생겨났다고 말하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우리는 또한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국가적 현상을 설명하려는 욕망에서 일어난 많은 신화가 있다고 덧붙일 수 있다.

◆ <Mythology; Timeless Tales of Gods and Heroes(신화; 신과 영웅의 영원한 이야기, 1942)>

독일 출신으로 미국에서 성장한 Edith Hamilton(이디스 해밀턴: 1867~1963) 여사는 7살 때부터 라틴어, 그리스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배웠으며, 1922년에 교사를 은퇴하고 집필활동을 시작했다. 대표작이 1942년에 출간한 <그리스 로마 신화(원제: Mythology)>이다. 본서는 7부로 구성되었으며, 신들, 사랑과 모험 이야기, 트로이 전쟁, 위대한 가문, 기타 신화들 등으로 되어 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해 가장 잘 정리된 책이다.

The Greeks made their gods in their own image. That had not entered the mind of man before. Until then, gods had had no semblance of reality. They were unlike all living things. --P5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의 형상대로 신들을 만들었다. 그것은 이전에는 사람의 마음에 들어오지 않았다. 그때까지 신은 현실의 외형이 없었다. 그들은 모든 생물과 달랐다.

Saint Paul said the invisible must be understood by the visible. That was not a Hebrew idea, it was Greek. In Greece alone in the ancient world people were preoccupied with the visible; they were finding the satisfaction of their desires in what was actually in the world around them. --P5

사도 바울은 보이지 않는 것은 보이는 것으로 이해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것은 히브리 사상이 아니라 그리스 사상이었다. 고대 세계에서 유일하게 그리스에서만 사람들은 보이는 것에 집착했다. 그들은 주변 세상에 실제 존재하는 것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만족시키는 방법을 찾았다.

He was the fulfillment of their search for beauty. They had no create some fantasy shaped in their own minds. All the art and all the thought of Greece centered in human being. --P6

인간은 미에 대한 그리스인 탐구의 실현이었다. 그들은 자신들 마음속에 형성된 환상을 창조하지 않았다. 그리스의 모든 예술과 사고는 인간에 중심을 두었다.

According to the most modern idea, a real myth has nothing to do with religion. It is an explanation of something in nature. --P10

최근 이론에 따르면, 실제 신화는 종교와 아무 상관이 없다. 신화는 단지 자연에 존재하는 어떤 사물에 대한 설명이다.

Myths are early science, the result of men's first trying to explain what they saw around them. --P10

신화는 고대 과학이며, 인간이 주변에서 본 것을 설명하고자 최초로 시도한 결과이다.

First there was Chaos, the vast immeasurable abyss, Outrageous as a sea, dark, wasteful, wild. These words are Milton’s, but they express with precision what the Greeks thought lay back of the very first beginning of things. --P76

태초에 끝을 헤아릴 수 없는 광활한 심연인 혼돈이 있었고, 바다처럼 난폭하고 어둡고 황량하며 거칠었다. 이 문구는 밀턴이 한 말이지만, 그리스인들이 만물의 시초의 배경에 있다고 생각한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표현해 주고 있다.

Within the palace Oedipus wildly sought for his wife that was his mother. He found her in her chamber. She was dead. When the truth broke upon her she had killed herself. Standing beside her he too turned his hand against himself, but not to end his life. He changed his light to darkness. He put out his eyes. The black world of blindness was a refuge; because to be there than to see with strange shamed eyes the old world that had been so bright. --P383

오이디푸스는 궁전 안에서 어머니이자 아내인 이오카스테를 열렬히 찾았다. 그리고 이오카스테의 방에서 그녀를 발견했다. 이오카스테는 이미 죽어 있었다. 모든 진실을 알게 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었다. 죽은 이오카스테 옆에 서서 오이디푸스는 역시 자신의 손을 몸에 댔지만 목숨을 끊지 못했다. 그는 빛을 암흑으로 바꾸었다. 자신의 눈을 찔러 실명했다.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암흑의 어두운 세계가 오이디푸스에게 피난처였다. 그토록 밝았던 옛날의 세상을 수치스러운 눈으로 보는 것보다 암흑의 세계가 더 편했던 것이다.

◆ <Mythos(그리스 신화, 2017)>

살아 있는 영국의 국보로 불리는 스티브 프라이(1957~ )는 영국의 작가, 배우, 영화감독, 만능 엔터테이너이다. 그리스 신화 3부작인 <Mythos(신화, 2017)>, <Heroes(영웅,2020)>, <Troy(트로이 전쟁, 2020)>는 생동감 있고 깊이 있으며, 유머와 지식을 버무려 재치 있게 21세기를 사는 현대인의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인기를 얻고 있다.

Whatever the truth, science today agrees that everything is destined to return to Chaos. It calls this inevitable fate entropy: part of the great cycle from Chaos to order and back again to Chaos. --P3

진실이 무엇이든 간에 오늘날의 과학계는 모든 것이 카오스로 돌아갈 운명이라는 데 동의한다. 이것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을 엔트로피라 부른다. 카오스에서 질서로, 그리고 다시 카오스로 돌아가는 거대한 순환의 일부인 것이다.

As the gods bred, so man bred. But the divine fire that was now as much a part of our nature as the gods meant that we shared with them the capacity not just for lust, copulation and reproduction, but the capacity for love. Love, as the Greeks understood, is complicated. --P156

신들이 번식하듯이 인간도 번식했다. 하지만 이제 신들과 마찬가지로 본성의 일부로 신성한 불을 가진 것은 인간도 욕망, 성교, 생식뿐만 아니라 사랑할 수 있는 능력도 신과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랑은 그리스인들에게 복잡한 개념이었다.

Painters, poets, and philosophers have seen many things in the myth of Sisyphus. They have seen an image of the absurdity of human life, the futility of effort, the remorseless cruelty of fate, the unconquerable power of gravity. But they have seen too something of mankind’s courage, resilience, fortitude, endurance and self-belief. They see something heroic in our refusal to submit. --P282

화가와 시인, 철학자는 시시포스의 신화에서 많은 것을 보았다. 인간 삶의 부조리, 노력의 헛됨, 운명의 무자비한 잔혹성, 정복할 수 없는 중력의 모습을 보았다. 그러나 그들은 인류의 용기, 탄력성, 불굴의 정신, 인내와 자기 믿음도 보았다. 그들은 우리의 순종을 거부하는 영웅적인 면모도 보았다.

So while they may have been far from perfect, the ancient Greeks seem to have developed the art of seeing life, the world and themselves with greater candour and unclouded clarity than is managed by most civilizations, including perhaps our own. --P405

고대 그리스인들은 완벽과는 거리가 멀었지만 그들은 아마도 우리 자신을 포함한 대부분 문명에 의해 관리하는 것보다 더 솔직하고 뚜렷한 명료함으로 인생, 세계, 자신을 바라보는 예술을 개발했던 것 같다.

◆ 그리스와 로마 신화는 서양의 본향으로 살아있는 이야기이다

<그리스 로마 신화>는 시대에 따라 여러 작가들이 글을 써서 새로운 해석을 했다. 그 중에 벌핀치와 해밀턴의 저술이 오랫동안 인기를 얻어왔다. 최근에 프라이의 3부작이 현대적 해석으로 출판되어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러나 개인적 경험으로 해밀턴의 <신화>가 가장 표준적인 신화집이라고 생각된다. <그리스와 로마 신화>는 서양 정신의 원형으로 서양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근간인 동시에 인간에 대한 보편적 이해를 위한 지침이라 할 수 있다. 신화에서 여러 신들도 인간처럼 갈등하고 싸우며 실수하고 역경과 고난을 통해 인내하며 고난의 시간을 경험한다.

이처럼 신화는 상징과 은유로 포장되어 인문학적 상상력을 풍부하게 하고, 여러 시련에 직면하는 인간에게 어려움을 극복하고 도전하는 희망을 제시한다. 그리스와 로마 신화의 다양한 신의 모습과 활동은 인간으로 하여금 지혜를 배우고, 절제, 용기, 정의와 인간간의 협력과 상생을 깨닫게 한다.

서양의 역사와 문화는 고대 그리스가 로마를 낳았고, 로마는 기독교 국가인 유럽을 낳았고, 기독교 국가인 유럽은 르네상스를 낳았고, 르네상스는 계몽주의 시대를 낳았고, 계몽주의 시대는 정치적 민주주의와 산업혁명을 낳았다. 산업과 민주주의는 현대문명을 창조하고 생존권, 자유권, 행복추구권을 구현했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서양 문화의 원형인 그리스와 로마 신화는 읽고 배워야 할 필요와 가치가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