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불교는 만유의 종교이다-2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10.31 00:23 | 최종 수정 2022.10.31 04:02 의견 0

Buddhism is the most colossal examples in the history of applied metaphysics. Christianity took the opposite road. It has always been religion seeking a metaphysics, in contrast to Buddhism which is a metaphysic generating a religion. --Alfred Whitedhead, Religion in the making, P40
불교는 응용된 형이상학의 역사에 있어서 가장 위대한 사례이다. 기독교는 반대의 길을 선택했다. 기독교는 항상 불교와 반대로 형이상학을 추구하는 종교이다. 불교는 종교를 창안(기능)하는 형이상학적 철학이다. -알프레드 화이트헤드 <형성하는 종교> 중에서

◆ <What the Buddha Thought(붓다의 생각은 무엇인가, 2009)>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불교학센터 학장인 Richard Gombrich(리처드 곰브리치, 1937~ ) 교수는 저명한 불교학자로 다수를 저서를 저술했다. 본서는 초기 경전을 바탕으로 붓다의 사유를 밝혀 붓다가 모든 세대를 뛰어넘어 위대한 독창적 사상가임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는 위대한 미술사가인 어른스트 곰브리치(1909~2001)의 아들이다.

Though the Buddha used metaphor extensively, he did not found his arguments upon it like earlier thinkers: his capacity for abstraction was an intellectual breakthrough. His ethicizing older ideas of rebirth and human action(karma) was also a breakthrough for civilization. His theory of karma is logically central to his though. Karma is a process, not a thing; moreover, it is neither random nor wholly determined. --Pvii

붓다가 비유를 광범위하게 사용했지만, 자신의 논거를 초기 사상가처럼 비유에 두지는 않았다. 붓다의 추상 능력은 지적 도약이었다. 윤회와 인간의 행위(karma, 業)에 대한 오랜 사유는 또한 문명에 대한 위대한 발전이었다. 붓다의 업설(業說)은 논리적으로 붓다 사상의 중심이다. 업은 과정이지 존재가 아니다. 나아가 업은 우연적인 것도, 완전히 결정된 것도 아니다.

Ranking people in an order of merit is a pursuit fit only for parlour games. but I maintain that the Buddha belongs in the same class as Plato and Aristotle, the giants who created the tradition of western philosophy. --P1

성과 순위에 따라 사람의 등급을 매기는 것은 응접실 게임에 적합한 탐구이지만, 나는 붓다가 서양철학 전통을 창시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와 동등한 수준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While I shall show in this book that I agree that the Buddha held the goal of the religious life to be an experience which language has no power to express, I strongly disagree with interpretations of his teachings, which are of course expressed in language, as being mystical in the vulgar sense of defying normal logic. --P3

나는 이 책에서 붓다가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경험을 종교적 생활의 목표로 삼았다는 점에 동의한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그러나 언어로 표현된 붓다의 가르침을 정상적인 논리에 반하는 저열한 신비주의로 해석하는 데 강력히 반대한다.

Naturally, I am not disputing that as the founder of a religion the Buddha can be classed with Moses, Jesus, or Mohammed. But let us not thereby exclude him from the category of thinkers like Plato, Aristotle and Hume. --P4

붓다를 종교의 창시자로 모세나 예수, 혹은 마호메트와 마찬가지로 분류하는 것에 당연히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그러나 붓다를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흄과 같은 사상가의 범주로부터 배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The Buddha’s great innovation. we have seen, was to make ethical value dependent not on what is overt but on intention. In due course Jain doctrine came to accommodate meritorious action and to envisage karma that would cause one to have a good rebirth, i.e., in heaven or in a favourable position on earth. --P59

앞서 확인하였듯이, 붓다의 위대한 개혁은 윤리적 가치가 외적 요소가 아닌 의지에 의존하게 만든 것이다. 순차적으로 자이나의 교리는 선한 행위를 수용하게 되었고, 업(業)으로 천상 혹은 지상에서 좀 더 나은 지위에서 윤회한다는 것을 직시하게 되었다.

We must not allow then to detract attention from the positive message: that the Buddha declared love, compassion, empathic joy and equanimity to be direct routes to nirvana, the supreme bliss and the escape from rebirth. --P90

우리는 긍정적인 메시지에서 집중을 분산해서는 안 된다. 붓다는 사랑, 연민, 공감의 기쁨, 평정이 열반에, 최상의 지복에, 그리고 윤회로부터 해방에 이르는 직접적인 방도임을 천명하였다.

Though there are variants in the Canon, by far the commonest form of this chain has twelve links: ignorance > volitions > consciouness > name and form > six sense of bases >contact > feeling > thirst > clinging > becoming > birth > decay and death(+ grief, lamentation, sorrow, etc) --P132

경전 내에는 변형이 있지만 가장 공통적인 연기(緣起)의 형태는 12가지 연결고리로 이루어져 있다. 무명(無明) → 행(行) → 식(識) → 명색(名色) → 육처(六處) → 촉(觸) → 수(受) → 애(愛) → 취(取) → 유(有) → 생(生) → 노사(老死)(+ 슬픔, 비탄, 비애 등).

Our world is what we experience, and it is a world of change, of becoming, of process. It is constructed, composed(Samkhata), by our cognizing apparatus. There is, however, just one thing that is not composed but does not exist in its own right, and that is nirvana. That does not just ‘appear’: it is. --P155

우리의 세계는 우리가 경험하는 것이며, 이는 변화, 형성, 과정의 세계이다. 그 세계는 우리의 인식기관에 의해 구성되며, 조건 지어져 있다. 그러나 구성된 것이 아닌 것이 단 하나 있는데, 그것은 스스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것이 열반이다. 열반은 단지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열반은 있다.

Thus the belief that one should aspire to salvation as, or through the aid of, a bodhisattva is the hallmark or defining characteristic of the Mahayana. A bodhisattva transfers merit to other beings. --P199

따라서 보살로써, 혹은 보살의 도움을 통해 해탈을 추구해야 한다는 믿음은 대승불교의 대표적 혹은 결정적 특징이다. 보살은 공덕을 다른 이들에게 이전한다.

◆ <Buddhism in China(중국 불교, 1972)>

중국인 출신으로 하와이대학교의 불교학자인 Kenneth Ch'en(케네스 첸, 1907~1993) 교수는 <Buddhism in China(중국 불교)>에서 불교가 중국인들의 문화에 미친 영향과, 불교와 도교와 유교에 끼친 내용과 융합을 중국 역사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Life is suffering; this suffering has a cause, which is craving for existence and sensual pleasures; this suffering can be suppressed; the way to suppress suffering is the practice of the noble eightfold path, which consists of right view, right intentions, right speech, right action,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concentration. --P6

삶은 괴로움이다. 이 괴로움에는 원인이 있으며, 그것은 존재 및 감각적 쾌락에 대한 갈망이다(集). 이 괴로움을 없앨 수 있다(滅). 그 길은 정견(正見), 정사(正思),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의 팔정도(八正道)를 행하는 것이다(道).

In the eyes of the Han Chinese, Buddhism was but another aspect of Taoism, since its practices and tenets were akin to those of the Taoists. To the Taoists, Buddhism was a new method of obtaining immortality. They felt that the Buddhist nirvana was no different from the Taoist salvation, the arhat like the Taoist chen-jen, or pure man. --P50

한대(漢代) 중국인의 눈에는 불교는 도교의 또 다른 측면이었다. 그것은 수행 방법과 교리가 도교와 유사하였기 때문이었다. 도교인들에게 불교는 불사(不死)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길이었다. 그들은 불교의 열반을 도교적 구원과 같은 것으로 보았으며, 아라한(阿羅漢)을 도교의 진인(眞人)과 동일시하였다.

To become the Buddha meant not being attached to the myriad things, just as the sage or perfect man of the Neo-Taoists had no desires and was not ensnared by things of the world. --P63

불타가 된다는 것은 신도가(新道家)의 성인이나 진인이 아무런 욕망도 없으며, 만물에 의해 유혹당하지 않는 것처럼 만물에 집착하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했다.

Consequently, the leaders of the Communists also do not think it is opportune to use force to wipe out Buddhism, for fear that such a violent action might lead to serious repercussion among the people. The Communists also claim that as the educational and cultural levels of the masses are elevated, and as more scientific knowledge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physical world and of society is disseminated, then belief in Buddhism will naturally decline and eventually disappear without the authorities taking any direct action against the religion. --P461

결과적으로 공산주의 지도자들도 무력을 사용하여 불교를 말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폭력적인 행동이 인민들에게 심각한 반향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공산주의자들은 또한 대중의 교육 및 문화 수준이 향상되고, 물리적 세계와 사회의 본질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더 많이 보급됨에 따라 당국이 종교에 대한 아무런 직접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불교에 대한 믿음은 자연스럽게 쇠퇴하고 결국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Neo-Confucianism was not the only system affected by Buddhism; Taoism was also subjected to its all-pervading influence, During the Han Dynasty Buddhism was able to gain a foothold on Chinese soil by allying its closely with Taoism and borrowing from it, but in later centuries it was the Taoist turn to borrow from Buddhism. --P473

신유교(성리학)는 불교의 영향을 받은 유일한 제도가 아니었다. 도교 또한 광범위한 영향을 받았다. 한(漢) 왕조 동안 불교는 도교와 긴밀히 동맹하고, 도교에서 차용하여 중국 땅에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지만, 후세기에 이르러 불교에서 차용하는 것은 도교의 차례였다.

◆ <An Introduction to Zen Buddhism(선불교 개론, 1964)>

선불교(禪佛敎)의 대가인 D.T. Suzuki(스즈키, 1870~1966) 박사는 대승불교(Mahayana Buddhism), 특히 일본의 선불교(Zen Buddhism)를 서방세계에 알린 인물이며, 또한 동·서의 철학과 종교사상을 잇는 가교역할을 한 인물로 유명하다.

Zen purposes to discipline the mind itself, to make its own master, through an insight into its proper nature. This getting into the real nature of one’s own mind or soul is the fundamental object of Zen Buddhism. --P10

선의 목적은 마음 자체를 훈련하고, 마음의 고유한 본성에 대한 통찰을 통해 자신의 주인을 만드는 것이다. 자신의 마음이나 영혼의 진정한 본성에 들어가는 것이 선불교의 근본 목적이다.

Zen is a unique product of the Oriental mind and its uniqueness consists, so far as its practical aspects goes, in its methoddical training of the mind in order to mature it to the state of satori, when all its secrets are revealed. --P69

선(禪)은 동양 정신의 독특한 산물이며, 그 독창성은 실천적 측면이 진행되면서 모든 비밀이 드러날 때 사토리(悟り, 깨달음)의 상태로 성숙시키기 위해 정신을 체계적으로 훈련하는 데 있다.

◆ <Why Buddhism is True(불교는 왜 진실한가, 2018)>

미국의 진화심리학자 Robert Wright(로버트 라이트, 1957~ )는 진화심리학으로 보는 불교의 명상과 깨달음을 통해 인간이 행복하고, 좀 더 좋은 사람으로 만드는 길을 탐색한다.

But Buddhist meditation, along with its underlying philosophy, addresses that predicament in a strikingly direct and comprehensive way. Buddhism offers an explicit diagnosis of the problem and a cure. And the cure, when it works, brings not just happiness but clarity of vision. --P14

불교 명상은 그 바탕에 깔린 철학과 더불어 인간이 처한 곤경을 놀랍도록 직접적이고 포괄적인 방식으로 해결한다. 불교는 문제를 명료하게 진단하고 처방을 제공한다. 이 처방은 행복을 가져다줄 뿐 아니라 명료한 시야를 가져다준다.

These two ideas, emptiness and not-self, are two of the most arcane, most crazy-sounding, and most fundamental ideas in Buddhist philosophy. --P255

공(空)과 무아(無我)는 불교 철학에서 가장 신비롭고 불합리해 보이는 동시에 가장 근본적인 사상이기도 하다.

In other words, the dharma is at once the truth about the way things are and the truth about how it makes sense to behave in light of the way things are. It is both description and prescription. It is the truth and the way. --P263

다시 말해 다르마(法)는 사물이 존재하는 방식에 관한 진실인 동시에 사물의 존재방식에 비추어 행동하는 것이 왜 타당한가에 관한 진실이기도 하다. 다르마는 사물의 존재방식에 관한 설명인 동시에 우리의 행복을 위한 처방이다. 사물의 존재방식에 관한 진실이자 우리가 걸어야 하는 길이다.

◆ 불교는 계속하여 진화하는 종교이다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목적으로 출발하여 1500년간 번창하다 몽골이 인도를 침입하여 승복을 입은 승려들을 몰살하며 멸망했다. 하지만 주변 국가로 전파된 불교는 그 나라마다 문화와 관습을 포용하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진화해 오고 있다. 불교는 중국의 유교 및 도교와 영향을 주고받으며 서로 융합했다. 한국 불교는 샤머니즘을 많이 받아들이고, 중국처럼 유교에서 교육방법이나 사제관계를 답습했다. 일본 불교는 선불교에서 발전했다고 한다.

불교는 20세기 최고의 철학자인 Whitehead(화이트헤드)가 <형성하는 종교>에서 말한 것처럼 형이상학이 만든 종교이고, 가장 합리적인 종교로서 가장 위대한 종교이다. 불교는 시대가 변화하는 추세에 따라 변화하는 시대를 포용하며 형성되는 종교로서, 유일신을 믿지 않고 Dogma(독단)에 빠지지 않는 세계의 모든 관습과 이념 및 철학을 포용할 수 있는 만유의 종교인 것이다. 이처럼 불교는 해탈이라는 본연의 목적을 유지한 채 21세기에 변화하는 세계적 추세에 순응하면서 살아남을 종교라 생각된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