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불교는 만유의 종교이다-1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10.24 09:30 | 최종 수정 2022.10.24 09:42 의견 0

But Buddhism in China kept open house. Here its founder’s austere journey to perfection shattered into clouds of myth and godlings, and was often subsumed by folk cosmology. In several shrines the ceilings teemed with Hindu angels and lotus flowers, while among them flew nine–headed dragons and all the Taoist pantheon:winged ghosts and horses, human-headed birds and airborne immortals. --Colin Thubron, Shadow of the Silk Road, P89

그러나 중국의 불교는 개방적이었다. 여기서 그 창시자의 완성을 향한 엄격한 여행은 신들과 신비의 구름 속으로 흩어졌으며, 종종 민간신앙을 흡수하기도 했다. 몇몇 성소의 경우에는 천장에 힌두교의 신들과 연꽃이 가득 그려져 있었고, 심지어 머리가 아홉 개인 용과 도교의 온갖 신들─날개 달린 유령과 말, 인간의 머리를 한 새들, 그리고 하늘을 나는 신선─이 날아다녔다. -콜린 더블런 <실크로드의 그늘> 중에서

인도에서 태어난 Siddhattha Gotama(싯타르타 고타마, BC560~BC480)에 의해 창립된 불교는 개인의 해탈을 목적으로 수행하는 종교이었다. 인도에서 1500년간 번창하다가 주변 국가로 전파된 불교는 남방의 소승불교(태국, 미안마, 스리랑카 등), 인도의 금강승 불교, 티벳과 몽고 및 부탄 등지의 밀교, 중국과 한국, 일본의 대승불교 등으로 분파했다. 대승불교라 해도 중국, 일본, 한국이 거의 다르다. 특히 한국 불교는 우리나라의 고유의 토속종교인 샤머니즘(만신)을 받아들여 절의 가장 높은 곳에 산신각이나 용왕각 또는 삼성각(산신, 칠성, 독성)을 지어서 샤머니즘과 융합되었다. 지금도 불교 사찰에서 거행하는 예불은 거의 대부분 한국의 샤머니즘에서 나온 의식이다. 예컨대 백중, 중양절, 동지, 7일재, 49일재, 초하루재, 천도재 등 모두 다 샤머니즘의 영향이다. 이처럼 불교는 교리의 근본적 정수(精髓)를 보존하면서 전파된 나라의 문화와 융합하여 변화하였기 때문에 모든 이념이나 관습을 포용하는 만유의 종교가 된 것이다. 불교에 대한 여러 이론과 사상을 소개한다.

◆ <Buddhism; Its essence and development(불교; 본질과 발전, 1959)>

독일인으로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Edward Conze(에드워드 콘즈, 1904~1979)는 일본에서 선불교 스승인 스즈키(Suzuki)에게 가르침을 받은 불교번역가이자 불경을 서양에 소개한 개척자이었다.

What is known as 'Buddhism' is a part of the common human heritage of wisdom, by which men have succeeded in overcoming this world, and in gaining immortality, or a deathless life. --P11

우리가 알고 있는 불교는 지혜에 관한 인류 공동 유산의 일부이다. 불교의 지혜로 사람들은 유한한 이 세계를 극복하고 불멸 또는 불사의 삶을 얻게 되었다.

Buddha's last injunction to his disciples ran: All conditioned things are impermanent. Work out your salvation with diligence. In their long history, the Buddhists have never lost this practical bent. --P16

붓다가 제자들에게 남긴 마지막 지침은 “모든 조건 지어진 것들 영원하지 않다. 부지런히 해탈을 위해 정진하라”이다. 불교의 오랜 역사에서 이런 실천적 성향을 결코 잃지 않았다.

The Buddhist community is the oldest institution of mankind. It has survived longer than any other institution, except the kindred sect of the Jains. --P25

불교 공동체인 승가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제도이다. 자이나교의 종파를 제외하고는 다른 어느 제도보다 더 오래 유지되었다.

But, on the other hand, we are told that Nirvana is permanent, stable, imperishable, immovable, ageless, deathless, unborn, and unbecome, that it is power, bliss and happiness, the secure refuge, the shelter, and the place of unassailable safety; that it is the real Truth and the supreme Reality; that it is the Good, the supreme goal and the one and only consummation of our life, the eternal, hidden and incomprehensible Peace.--P40

그러나 다른 한편 열반은 영구적이고 안정적이며, 불멸이고 부동이고 영원하고 불사하고 불생이고 불변이어서 그것은 힘이며 지복이자 행복이며 안전한 귀의처이고 대피처이며, 난공불락의 요새라고 말한다. 열반은 진정한 진리이고 최고의 실재이며, 선이고 최고의 목표이고, 바로 우리 인생의 단 하나의 완성, 영원하고 신비하고 헤아릴 수 없는 평화이다.

When the Buddhist faith spread to China, Japan, and Tibet, the Great vehicle ousted and almost completely obliterated the Hinayna, which is now preserved in Ceylon, Burma, Cambodia and Siam only. --P122

불교신앙이 중국, 일본, 티베트 등으로 전파된 때에는 대승불교가 소승불교를 몰아내 거의 완전히 소멸시켰고, 현재 소승불교는 스리랑카, 미얀마, 캄보디아, 태국 등에만 남아 있다.

Between those two limits the world is imprisoned. The holy men, transcend this limitation. Avoiding both extremes, the Tathagata teaches a Dharma in the middle between them, where alone the truth can be found. This Dharma is now called emptiness. The Absolute is emptiness and all things also are empty. In their emptiness Nirvana and this world coincide, they are no longer different but the same. --P132

세상은 이 양 극단 사이에 갇혀 있다. 성자는 이 극단을 초월한다. 여래는 양 극단을 벗어나 중도에서 법(法)을 설하신다. 진리는 중도에서만 찾을 수 있다. 이 중도의 법을 이제는 공(空)이라 부른다. 절대 존재는 공이고 제법(諸法) 또한 공이다. 그러한 공 안에서는 열반(涅槃)과 생사가 동시에 일어난다. 이 둘은 더 이상 다르지 않고 동일하다.

The Buddha is the secret reality in all things, their heart, the living and central truth in them. We ourselves are not strange elements external to it, and all we have to do is to realise that we ourselves are the Buddha and the cosmos. --P188

붓다는 모든 만물의 비밀스런 실재요, 그들 속에 살아 있는 마음이고 중심 진리이다. 우리 자신도 외부의 이상한 요소가 아니다. 그리고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가 바로 붓다이며 우주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As the bankruptcy of our civilization becomes even more patent, many more people will be drawn to the wisdom of the past, and some of them to its Buddhist form. It remains to be seen when and where Europeans garbed in the saffron robe will make their first appearance. --P212

서양문명의 파국이 점점 더 명백해지고 있으므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과거의 지혜에 이끌리고, 그들 중 일부는 불교사상에 끌리게 될 것이다. 이제는 황색 가사를 걸친 유럽인들이 언제 어디서 처음 등장하게 될지 두고 볼 것이다.

◆ <Buddhist Thought(불교사상, 2000)>

저자 Paul Williams(폴 윌리엄스, 1950~ )는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교수로서 불교학센터(Center for Buddhist Studies) 연구소장이며, 인도의 후기 중관(中觀) 사상 연구자이다. 본서는 인도 초기 불교의 인식과 존재론 및 최근의 탄트라 불교에 대한 해설을 담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 <Mahayana Buddhism(대승불교,1989)>가 있다.

They form the Dharma, the content of the Buddha’s teaching. Buddhism is built on the absolute objectivity of truth, and Buddhists claim that the Dharma (their Dharma) is that absolutely objective truth. --P7

이런 것들이 붓다의 가르침의 내용인 다르마(法)를 구성한다. 불교는 진리의 절대적 객관성에 근거하여 확립되었으며, 불교도는 다르마(法)가 절대적 객관적 진리라고 주장한다.

That which is the very core of the universe, that which is unchanging even when all things—‘the seasons and the turning year’ —change, is Brahman (in origin, the ‘priestly power’), the Universal Essence. That which is the true, unchanging, core of oneself, that constant which is always being referred to when one says ‘I’, that which lies beyond all bodily and mental changes, is the Self, the atman, the Personal Essence. --P10

우주의 핵심이며 모든 현상과 사물-계절과 해가 바뀌는 것-이 변할 때에도 변하지 않는 것은 브라흐만(기원은 ‘사제의 힘’), 즉 우주적 본질이다. 진리이고 변하지 않으며 자신의 정수(精髓)이고 나라고 할 때 항상 언급되는 불변의 것, 그리고 모든 육체적, 정신적 변화를 초월한 것이 개체적 본질, 아트만, 자아(自我)이다.

For Buddhists ‘schism’ is nothing to do with doctrinal disagreements as such, but is the result of divergence in monastic rule. --P98

불교에 있어서 ‘교단분열’은 교리적 불일치와는 무관하며, 종단 계율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라는 것이다.

Buddhism is thus an orthopraxy rather than orthodoxy. What is important is harmony of behaviour, not harmony of doctrines. --P99

따라서 불교는 정통성이라기보다는 정통적 행위이다. 중요한 것은 교리의 조화가 아니라 행위의 조화이다.

The first theme is that of the very peak, the perfection(paramita), of wisdom(prajña). Its content is emptiness(sunyata). And its context is the path and practices of a bodhisattva, one whose aim is not just enlightenment(obtained by arhats), but Perfect Buddhahood for the benefit of all sentient beings. --P133

그 첫 번째 주제는 바로 <반야경>의 절정인 반야바라밀(지혜의 완성)이다. 이것의 내용은 공(空)이다. 공의 문맥은 보살의 길이며 실천이고, 보살이 추구하는 목적은 단순한 깨달음의 성취(아라한의 도달함에 의해 성취되는)가 아니라 모든 중생의 완전한 성불(成佛)이다.

◆ <Buddha(붓다, 2001)>

영국 출신의 세계적인 비교종교학자인 Karen Armstrong(카렌 암스트롱,1944~ ) 여사는 기독교, 이슬람, 불교에 관한 여러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자자는 소크라테스, 예수, 붓다, 마호메트, 공자와 노자 등 정신의 선각자들이 출현했던 기원전 800~200년의 축의 시대를 조명하며 <Pali cannon(팔리어 경전)>을 근거로 붓다의 일대기를 소개하고 있다.

By discovering this truth, he had become enlightened and had experienced a profound inner transformation: he had won peace and immunity in the midst of life’s suffering. Gotma had thus become a Buddha, an Enlightened or Awakened One. Any time of his disciples could achieve the same enlightenment if he or she followed this method. --Pxii

고타마는 이 진리를 발견함으로써 깨달음을 얻었으며, 심오한 내적 변화를 경험했다. 삶의 괴로움 한가운데서 평화와 면역을 얻은 것이다. 고타마는 붓다 즉 ‘깨달은 자’ 또는 “깨어난 자”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언제라도 그의 제자가 이 방법을 따른다면 똑같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It followed that understanding the Buddha's life, which is to an extent fused with his teaching, can help us all to understand the human predicament. --Pxxi

따라서 붓다의 가르침과 융합된 붓다의 삶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 모두에게 있어 인간의 곤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Like Jesus, Muhammad, and Socrates, the Buddha was teaching men and women how to transcend the world and its suffering, how to reach beyond human pettiness and expediency and discover an absolute value. All were trying to make human beings more conscious of themselves and awaken them to their full potential. --Pxxiv

붓다는 예수, 마호메트, 소크라테스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에게 세상과 그 괴로움을 초월하는 방법, 인간의 편협함과 편의주의를 넘어서서 절대적 가치를 발견하는 방법을 가르쳤다. 이들은 모두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좀 더 의식하고, 자신의 완전한 잠재력에 눈을 뜨게 하려고 노력했다.

Western people often describe Indian thought as negative and nihilistic. Not so. It was breathtakingly optimistic and Gotama shared this hope to the full. --P9

서양 사람들은 인도 사상이 부정적이고 허무적이라고 종종 묘사한다. 사실은 그렇지 않다. 인도 사상은 놀랄 만큼 낙관적이며, 고타마는 최고 한도로 이런 희망을 공유했다.

Gotama would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most typical of the luminaries of the Axial Age, alongside the great Hebrew prophets of the eighth, seventh and sixth centuries; Confucius and Lao Tzu, who reformed the religious traditions of China in the sixth and fifth centuries; the sixth-century Iranian sage Zoroaster. --P11

고타마는 축의 시대의 선각자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가장 전형적인 인물이 되었다. 동시대에 기원전 8~6세기의 위대한 헤브라이 예언자들이 있다. 기원전 6세기와 5세기에 중국의 종교적 전통을 개혁한 공자와 노자가 있다. 기원전 6세기에 이란의 현자 조르아스터가 등장했다.

Buddhism was not a doctrine for a privileged elite; it was a religion for “the people,” for “the many(bahujana).” In practice, it appealed mostly to the upper classes and to intellectuals, but in principle it was open to anybody, and nobody, whatever his or her caste, was exclude.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somebody had envisaged a religious program that was not confined to a single group, but was intended for the whole of humanity. --P120

불교는 특권을 가진 엘리트를 위한 교리가 아니었다. ‘민중’을 위한 종교이며, ‘다수(비후자나)’를 위한 종교였다. 실제로는 주로 상층계급과 지식인들에게 호소력이 강했지만, 원칙적으로 누구에게나 열려 있었다. 불교는 카스트가 무엇이건 누구도 배척하지 않았다. 역사상 처음으로 누군가가 하나의 집단에 국한하지 않고 인류 전체를 대상으로 종교적 기획을 구상했다.

But he had gone beyond any state known to human beings whose minds are still dominated by sense experience. While the gods rejoiced, the earth shook and those bhikkhus who had not yet achieved enlightenment wept, the Buddha experienced an extinction that was, paradoxically, the supreme state of being and the final goal of humanity. --P187

그러나 붓다는 감각경험에 의해 지배되는 마음을 지닌 인간들에게 알려진 모든 경지를 넘어선 곳으로 가버렸다. 신들이 기뻐하고, 땅이 떨고, 아직 깨달음을 얻지 못한 빅쿠(비구)들이 우는 가운데 붓다는 소멸을 경험했다. 이것은 역설적으로 존재의 최고 상태이자 인간의 마지막 목표였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