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러시아혁명의 원인과 결과 -3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11.28 02:35 의견 0

A People's Tragedy is an attempt to synthesize this reappraisal and to push the argument one stage further. It attempts to show, as its title indicates, that what began as a people's revolution contained the seeds of its own degeneration into violence and dictatorship. The same social forces which brought about the triumph of the Bolshevik regime became its main victim. -- Orlando Figes, A People’s Tragedy, PXii

민중의 비극은 이러한 재평가를 종합하고 논쟁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려는 시도이다. 책 제목이 나타내듯이 인민의 혁명으로 시작한 것이 그 내부에 폭력과 독재의 씨앗을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볼셰비키 정권이 승리하도록 했던 바로 그 사회세력이 주된 희생자들이었다. -올랜드 파이지스 <인민의 비극> 서문에서

◆ <The Russia Revolution(러시아혁명, 1990)>

폴란드 출신의 미국 이민자 Richard Pipes(리처드 파이프스, 1923~2018)는 하버드대학교 교수였다. 그는 러시아혁명사의 권위자로서 대표적인 공산주의 비판자였다. 그는 러시아혁명이 레닌이 이끈 볼셰비키의 쿠데타였고, 레닌의 전제적 지배가 스탈린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러시아에서 공산주의가 득세한 것은 대중 봉기의 결과가 아니었다. 그것은 민주주의를 선전하는 구호 뒤에 숨어서 정권을 잡은 소수당이 위로부터 강제로 부과하여 실현된 쿠데타였다. 본서는 18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본문만 842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양이다.

The first phase of the Russian Revolution in the narrow sense of the world(corresponding to the constitutional phase of the French Revolution, 1789–92) begun with the violence of 1905. This was brought under control by a combination of concession and repression, but violence resumed on an even grander scale after a hiatus of twelve years, in February 1917, culminating in the Bolshevik coup d’etat of October. --Pxxi

세계의 좁은 관점에서 러시아혁명의 첫 단계(1789~1792년 프랑스혁명의 입헌 단계에 해당)는 1905년의 폭력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양보와 억압의 결합으로 통제되었지만, 폭력은 12년의 공백기 후인 1917년 2월에 대규모로 진행되면서 10월 쿠데타로 절정에 달했다.

The Russian Revolution was made neither by the forces of nature nor by anonymous masses but by identifiable men pursuing their own advantages. Although it had spontaneous aspects, in the main it was the result of deliberate action. --Pxxiv

러시아혁명은 자연의 힘이나 익명의 대중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식별 가능한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비록 즉흥적인 면이 있지만, 주로 고의적인 행동의 결과였다.

The Winter Palace was not taken by assault: the image of a column of storming workers, soldiers, and sailors as depicted in Eisenstein’s film Days of October is pure invention, an attempt to give Russia its own Fall of the Bastille. In reality, the Winter Palace was overrun by mobs after it had ceased to defend itself. The total casualties were five killed and several wounded, most of them victims of stray bullets. --P495

겨울궁전은 공격에 의해 점령되지 않았다. 소련의 영화감독 예이젠시테인의 영화 <10월의 날들>에 묘사된 돌진하는 노동자, 군인, 선원의 종대형 이미지는 순전히 발명품이며, 러시아에 바스티유 함락의 이미지를 제공하려는 시도이다. 실제로 겨울궁전은 방어를 중단한 후 폭도들에게 점령당했다. 총 사상자는 5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대부분은 유탄에 의한 희생자였다.

The vast majority of Russia’s inhabitants at the time had no inking of what had happened. Normally, the soviets, which since February had acted as co-regent, assumed full power. This hardly seemed a revolutionary event: it was rather a logical extension of the principle of “dual power’ introduced during the first days of the February Revolution. --P504

1917년 당시에 러시아 거주민의 대다수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전혀 눈치 채지 못했다. 일반적으로 소비에트가 2월부터 공동 섭정으로 활동하며 전권을 장악했다. 이것은 거의 혁명적인 사건으로 보이지 않았다. 그것은 오히려 2월혁명의 첫날에 도입된 ‘이중권력’의 원칙을 논리적으로 확장한 것이었다.

Those who have lived through it were exposed to a complete reevalution of all values: whatever had been good and rewarded was now evil and punished. The traditional virtues of faith in God, charity, tolerance, patriotism, and thrift were denounced by the new regime as unacceptable legacies of a doomed civilization. Killing and robbing, slander and lying were good, if committed for the sake of a proper cause as defined by the new regime.--P841

혁명을 통해 살았던 사람들은 모든 가치의 완전한 재평가에 노출되었다. 선하고 보상받는 것이 무엇이든 이제는 악이고 처벌받았다. 신에 대한 믿음, 자선, 관용, 애국심, 검약과 같은 전통적인 미덕은 새 정권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멸망한 문명의 유산으로 비난받았다. 살인과 약탈, 비방과 거짓말은 새 정권이 정의한 정당한 이유를 위해 거행됐다면 선한 것이었다.

The Russians and the people under their rule would no respite: those who experienced and survived the Revolution would never see the return of normalcy. The revolution was only the beginning of their sorrows. --P843

러시아인과 그들의 통치 아래 있는 사람들은 잠시도 쉬지 못했다. 혁명을 경험하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결코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을 보지 못할 것이다. 혁명은 그들 러시아인들의 슬픔의 시작에 불과했다.

◆ <The Russian Revolution 1917(러시아혁명 1917, 2004)>

미국 조지 메디슨대학교 러시아역사 교수인 Rex A. Wade(렉스 웨이드, 1934~ )는 러시아혁명이 위로부터의 볼셰비키 쿠데타가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진정한 대중적 혁명이라고 주장한다.

By the end of 1916 Russia had lost about 7,700,000 men, of them about 1,700,000 dead, over two million wounded, and about four million taken prisoner, not to mention up to a half-million civilians dead. Even the military high command, which had squandered lives recklessly, began to realize that Russia was approaching the end of what had earlier appeared to be an almost bottomless supply of manpower. --P17

1916년 말까지 러시아는 약 770만 명의 병사를 잃었고, 그중 약 170만 명이 사망하고, 200만 명이 넘는 부상자와 약 400만 명이 포로가 되었으며, 민간인 사망자는 최대 50만 명에 달했다. 무모하게 목숨을 앗아간 군 최고사령부조차 러시아가 이전에 거의 바닥이 없는 인력 공급에서 끝으로 다가왔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Many writers on the revolution have portrayed the workers as a passive and undifferentiated mass easily manipulated by the radicals and the Bolsheviks. They were far from that. They took an active role in the revolution through factory meetings and committees, through their various organizations, through their support for one party or another, and through the informal street and factory gate meetings that were common. --P97

혁명에 관한 많은 저술가들은 노동자들을 급진파와 볼셰비키가 쉽게 조종하는 수동적이고 차별이 없는 대중으로 묘사했다. 그들은 그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노동자들은 공장회의와 위원회, 다양한 조직, 당을 지지하는 방식, 매우 흔한 비공식적 거리회의와 공장문회의를 통해 혁명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The proclamation not only announced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overthrown and that the Congress of Soviets had taken power, but also laid out a basic program which would appeal to most people of Russian state. --P240

포고문은 임시정부가 전복되었고 소비에트 의회가 권력을 장악했다고 발표했을 뿐만 아니라 러시아 국가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호소할 기본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Lenin moved quickly to the land question, surprising the congress with a decree on land which written that morning. Action on the land question was absolutely essential to shore up popular support. The first part of the decree abolished landed proprietorship without compensation. --P242

레닌은 재빨리 토지 문제로 옮겨갔고, 그날 아침에 작성된 토지에 관한 포고문으로 의회를 놀라게 했다. 토지 문제에 대한 조치는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했다. 포고문의 첫 번째 부분은 보상 없이 토지소유권을 폐지한 것이었다.

Indeed, as it turned out, the October Revolution would begin as a defense of the Petrograd Soviet and the idea of Soviet power. --P212
실제로 10월혁명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 소비에트 권력의 이상을 보호하기 위해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The extensive popular support for Soviet power and Bolsheviks, Left SRs and other radicals in the fall of 1917 cannot doubted. --P298

1917년 가을에 소비에트 권력과 볼셰비키, 사회혁명당 좌파 및 기타 급진파에 대한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는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 <The Russian Revolution A New History(러시아혁명의 새로운 역사, 2017)>

미국 뉴욕의 바더드 대학교 역사학 교수인 Sean McMeekin(숀 맥미킨, 1974~ )은 러시아 전문가이다. 그의 최신작인 본서는 러시아혁명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1990년 이후 새로 공개된 문서들을 폭넓게 활용하고 있다. 그는 러일전쟁 이후 러시아는 후진적인 전제국가가 아니라 1914년 경에 경제가 회복되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차르의 운명적인 결정으로 러시아제국은 멸망하고 볼셰비키혁명이 일어난 과정을 추적한다.

The meaning of 1917, however, remains much contested, not least because two very different revolutions took place in Russia that fateful year. The February Revolution toppled the Russian monarchy and ushered in brief era of mixed liberal and socialist government, only to be superseded by the more radical October Revolution, which saw Lenin’s Bolshevik Party impose a Communist dictatorship and proclaim an open–ended world revolution against “capitalism” and “imperialism”. --Pxi

그러나 1917년의 의미는 많은 논란이 있으며, 운명적인 해에 러시아에서 매우 다른 두 가지 혁명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2월혁명은 러시아 군주제를 무너트리고 자유주의와 사회주의가 혼합된 정부의 짧은 시기를 열었지만, 보다 급진적임 10월혁명으로 대체되었다. 10월혁명은 레닌의 볼셰비키당이 공산주의 독재를 부과하고,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에 대해 개방형 세계 혁명을 선언했다.

On the Baltic front, German soldiers often ventured into no-man’s-land, begging Russians for bread(for which they bartered cigarettes). Although the prewar Russian soldiers’ ratio of 2 pounds of meat per week was steadily reduced between 1914 and 1916(and fresh meat gave to salted), the Russian army, compared to the ones it was fighting, was still very well fed, even if —owing to the tsar’s crackdown on vodaka production —alcohol was harder to come by on the Russian side of the front than on the Austro-German. --P73

발트해 전선에서 독일군은 종종 사람이 없는 지역으로 가서 러시아인에게 빵을 구걸했다(그들은 담배로 물물교환을 했다). 1914년과 1916년 사이에 전쟁 전 러시아 병사들의 주당 2파운드의 고기 비율이 꾸준히 감소했지만(신선한 고기는 염장되어 제공되었다), 러시아 군대는 전투 중인 부대와 비교하여 아직도 잘 먹었다. 비록 차르 정권의 보드카 생산에 대한 단속으로 인해 알코올은 오스트리아-독일보다 전선의 러시아 쪽에서 구하기가 더 어려웠다.

Food prices were skyrocketing. In Petrogard, people were lining up at four a.m. at bread shops, and waiting until nearly midday. Inflation was raging: a small piece of meat cost 500 rubles(the prewar equivalent of $250, or $25,000 today); butter was memory. --P209

식량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페트로그라드에서 사람들이 새벽 4시에 빵가게에 줄을 서서 거의 정오까지 기다렸다. 인플레이션은 격렬했다. 작은 고기 한 조각이 500루블(전쟁 전 250달러, 오늘날 25,000달러)이었다. 버터는 기억 속에나 있었다.

The convulsions of the Russian Revolution, the Red Terror, the Civil War, the peasant wars, and the Volga famine had cost the lives of some 25 million people across the territories of the former tsarist empire—a figure eighteen times higher than Russia’s losses in the world war from 1914 to 1917(1.3 to 1.4 million). --P343

러시아혁명, 적색테러, 내전, 농민전쟁, 볼가지역 기근의 격변은 이전 차르제국의 영토 전역에서 약 2,5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이 수치는 1914~1917년 세계대전에서 러시아가 입은 손실(130만~140만 명)보다 18배나 많다.

The Russians who followed Lenin in 1917 had good grounds for resenting the tsarist government that had plunged them into a terrible war for which they were unprepared, and they had little reason to expect that regime they were creating would unleash far greater terrors. They could not have known, the, what Communism truly meant. --P352

1917년에 레닌을 추종한 러시아인들은 자신들을 준비도 되지 않은 끔찍한 전쟁으로 몰아넣은 차르 정부에 분개하기에 충분한 근거가 있었고, 그들이 만들고 있는 정권이 훨씬 더 큰 테러를 유발할 것이라고 기대할 이유가 거의 없었다. 그들은 공산주의가 진정으로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없었다.

◆ 러시아혁명의 결과는 실패가 노정되어 있었다

러시아혁명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역사적 해석은 다양할 수밖에 없다. 러시아혁명은 결과적으로 실패로 끝났다. 역사는 결과가 과정을 규정짓기 때문에 결과를 기준으로 과정을 재구성하기 마련이다. 러시아혁명의 최종 결과는 1991년 소련의 붕괴였다. 혹자는 러시아혁명 과정에 외국(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의 개입, 전쟁, 기아(飢餓), 내전(內戰), 산업 파괴 등에 의해서 사회주의가 세워질 수 있는 기본적인 기반이 파괴되었기 때문에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볼셰비키혁명의 가장 중요한 실패 원인은 혁명의 기반인 민중을 떠나 소수의 권력 독점에 의한 새로운 차르정권(독재정권)이 수립되어 대중을 억압하고 탄압하며 감시하는 운영체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러시아는 혁명 전에 농업국으로 수많은 농산물을 수출할 수 있었지만, 볼셰비키정권이 들어서고 집단농업이 운영되며 항상 농산물이 부족하여 외국에 수입에 의존했다. 공산주의 경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서 서방과 경쟁하기 위한 군수산업은 앞섰으나 기반사업은 퇴색하여 국민의 삶은 궁핍해지고 물자가 항상 부족했다. 배급을 받기 위해 긴 줄을 서는 진풍경이 벌어지는 것이 볼셰비키정권의 실상이었다. 또한 볼셰비키정권은 영국 사학자 오랜드 파이지스가 <속삭이는 사회>에서 묘사한 것처럼 항상 감시를 받기 때문에 남을 의식하여 큰 소리도 말하지도 못하는 은밀히 속삭이는 사회였다.

단 1원(1센트)을 벌기 위해 100리를 걸어간다는 인간의 욕망을 억압하는 경제정책으로는 절대로 사회가 제대로 돌아가는 나라를 건설할 수 없다는 것이 러시아혁명의 실패로 증명되었다. 러시아혁명이 남긴 교훈은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간과 사회 및 나라를 악용하면 불행한 결과를 초래한다는 사실이다. 레닌과 스탈린주의 정책으로 100년간 소련과 유라시아에서 고통받으며 숨소리도 제대로 못 낸 사람들을 생각하면 러시아 혁명에서 배워야 할 교훈은 저절로 나타난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