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오스만제국 600년의 역사와 문화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12.25 20:08 | 최종 수정 2022.12.25 20:13 의견 0

The Ottoman Empire was one of the greatest, most extensive, and longest-lasting empires in the history of the world. It included most of the territories of the eastern Roman Empire and held portions of the northern Balkans and north Black Sea coast, areas that Byzantium had never ruled. Nor were these holdings ephemeral--the Ottoman Empire was born before 1300 and endured until World War Ⅰ. --Donald Quataert, The Ottoman Empire, P3

오스만제국은 역사상 가장 강력하고 가장 넓고 가장 오랫동안 지속했던 제국이다. 오스만 제국은 동로마제국의 영토 대부분을 아울렀으며, 발칸반도 북부와 흑해 북안 등 비잔티움이 통치한 적이 없는 지역까지 점령했다. 또 이러한 영토 소유는 단기간에 끝난 것이 아니라 서기 1300년 전에 건국하여 제1차 세계대전 때까지 지속되었다. --도널드 쿼터드 <오스만제국사> 중에서

1299년에서 1922년까지 623년간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일부를 통치한 가장 크고 넓으며 오랫동안 존재했던 제국이 바로 오스만제국이다. 오스만제국의 술탄은 이슬람의 칼리프였고, 유목민의 지도자인 대칸이었으며, 동로마제국의 후계자인 황제이기도 했다. 오스만제국은 몽골+이슬람+로마라는 중층적 보편성을 실현한 제국이었다. 또한 오스만 제국은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대륙을 잇는 교차로라는 지정학적 중요성 외에도 그 역사 내내 보여준 타종교와 타민족들에 대한 관용적인 통치 때문에 오늘날에도 우리가 배워야할 교훈을 주고 있다.

이슬람의 법제부터 이교도를 포용하는 유연성을 품고 있었기 때문에 기독교도를 통치하는 별개의 속성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오스만제국은 무슬림 외에 기독교인, 유대인, 정교회 신자 등과 튀르크인 외에 아르메니아인, 쿠르드인, 아랍인 등 여러 집단들의 엄청난 다양성이 공존하며 상호간에 교류하면서 지탱해온 사회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으로 오스만제국은 파산했으며, 국민국가로의 이행도 실패했다. 결국에는 투르크의 국가인 터키로 쪼그라들면서 22개 국가들이 파편처럼 파생했다. 여기에서 발칸과 중동 문제가 기원했다.


◆ <The Ottoman Empire 1700~1922(오스만제국사, 2005)>

미국 뉴욕의 빙엄턴대학교 역사학과 Donald Quataert(도널드 쿼터트, 1941~2011) 교수는 오스만제국사의 저명한 전문가였다. 본서를 통해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대륙을 잇는 교차로인 오스만제국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The Ottoman empire succeeded because it incorporated the energies of the vastly varied peoples it encountered, quickly transcending its root in the Turkish nomadic migration from central Asia to the middle East. --P2

오스만제국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중앙아시아에서 중동으로 이주한 튀르크 유목민들이 자신의 뿌리를 빠르게 뛰어넘어 그들이 조우했던 매우 다양한 민족의 에너지를 융합했기 때문이었다.

In hindsight, we can see that after 1683 the Ottomans never again threatened central Europe. They did, however, stay in occupation of southeast Europe for 200 more years, dominating the modern-day states of Bulgaria, Serbia, Greece, Rumania, and others. (…) Most parts of modern-day Turkey, Syria, Lebanon, Iraq, Israel, Palestine, Jordan and Saudi Arabia remained part of the empire until World WarⅠ. --P2

돌이켜보면 우리는 1683년 이후 오스만제국이 다시는 중부 유럽을 위협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오스만인들은 그 후 200년 동안 현재의 불가리아, 세르비아, 그리스, 루마니아 등을 지배하며 동남 유럽을 차지했다. (…) 현재의 터키,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의 대부분이 제1차 세계대전까지 제국의 일부로 남았다.

Ultimately, the Ottoman system should be seen as a highly effective blend of influences deriving from Byzantium, the Turkish nomads, and the Balkan states, as well as the Islamic world. --P4

궁극적으로, 오스만 체제는 이슬람 세계뿐만 아니라 비잔티움, 튀르크 유목민들, 발칸 국가들의 영향을 매우 효과적으로 혼합된 것으로 보아도 된다.

As the dynasty abandoned fratricide, it also shifted away from survival of the fittest to succession by the oldest male of family. this practice(called ekberiyet) began in 1617 and prevailed to the end of the empire. --P92

왕조에서 형제 살해를 포기하자, 적자생존의 원칙에서 왕실의 남자 최고령자 계승으로 원칙이 바뀌었다. 이 원칙(‘에크베리에트’라고 불린다)은 1671년에 시작되어 제국의 종말에 이르기까지 적용되었다.

In the ottoman world, the coffee house served as the pre-eminent public male space. Coffee houses initially appeared in Istanbul with coffee in 1555, entering via Aleppo and Damascus from Arabia, the source of the first coffee, mocha. --P160

오스만 세계에서 커피점은 탁월한 남성 공공장소가 되었다. 커피점은 이스탄불에서 커피와 함께 1555년에 등장했으며, 맨 처음 커피 공급지였던 아라비아의 모카에서 알레포와 다마스쿠스를 거쳐 들어왔다.

We also need to understand the unimportance, until after world WarⅠ, of Arab, Turkish, and Kurdish, nationalisms on the territories that remained under Ottoman sovereignty. Here, too, the basic point deserves reiteration: most ottoman Muslims of whatever ethnicity remained fundamentally content with Ottoman rule and did not actively seek separation. --P190

우리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까지 오스만 치하에 남았던 영토들에서 아랍, 튀르크, 쿠르드 민족주의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도 근본적인 요점을 반복할 가치가 있다. 어떤 종족에 속하든 오스만 무슬림들은 오스만 통치 아래 근본적으로 만족했으며, 적극적으로 분리를 추구하지 않았다.

Here, western Europeans falsely treat Turkey as the only Ottoman successors state, rather than one among many. In part this posture derives from several factors: the origins of the Ottoman Empire in Anatolia and the Turkish migrations into that area; from the fact that, in the end, Anatolia remained the most populous area left in the empire, with ethnic Turks as the largest single group. --P199

여기서 서유럽인들은 터키를 오스만 국가의 여러 계승국가 가운데 하나가 아니라 유일한 하나의 계승국가로 잘못 다룬다. 부분적으로 이러한 입장은 여러 요인에서 기인한다. 오스만제국이 아나톨리아에서 기원하여 튀르크인들이 아나톨리아로 이주했고, 결국 아나톨리아가 제국 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 되어 그 안에서 튀르크 종족이 가장 큰 단일집단이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 것이다.

◆ <A God's Shadow(신의 그늘, 2020)>

미국 예일대학교 역사학과장인 Alan Mikhail(앨런 미카일, 1979~ ) 교수는 Sultan Salem(술탄 셀림1세, 재위 1512~1520)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셀렘은 바예지트의 넷째아들로 태어나 통솔력과 군사적 탁월함 등을 바탕으로 제국의 왕위를 거머쥐었다. 그는 오스만의 영토를 세 배나 더 확장하고 제국의 통치구조를 완성하여, 이후 400년간이나 지속된 제국의 기틀을 마련했다.

For half a century before 1492, and for centuries afterward, the Ottoman Empire stood as the most powerful state on earth: the largest empire in the Mediterranean since ancient Rome, and the most enduring in the history of Islam. --P2

1492년 이전의 50년 동안에, 그리고 이후 몇 세기 동안에 오스만제국은 이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국가로 군림했다. 고대 로마 이래로 지중해에서 가장 거대한 제국이었고, 이슬람교 역사상 가장 오래 지속된 제국이었다.

As we chronicle Selim and his age, a bold new world history emerges, one that overturn shibboleths that have held sway for a millennium. Whether politicians, pundits, and traditional historians like it or not, the world we inhabit is very much an Ottoman one. That is a story only Selim can tell. --P12

셀림과 그의 시대에 대한 연대기를 기록하면서 대담한 새로운 세계사가 등장할 것이다. 이 새로운 역사는 지난 1천 년 동안 지배해온 진부한 통설을 뒤집을 것이다. 정치인, 전문가, 그리고 전통적인 역사학자가 좋아하든 말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은 오스만제국이 형성해놓은 것이다. 이것은 셀림만이 말할 수 있는 이야기다.

Although the sultans of the empire were Muslims,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was not. Indeed, the Ottoman Empire was effectively the Mediterranean's most populous Christian state: the Ottoman sultan ruled over more Christian subjects than the Catholic pope. --P52

제국의 술탄들은 무슬림이었지만 대다수 인구는 무슬림이 아니었다. 실제로 오스만제국은 사실상 지중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기독교 국가였다. 오스만 술탄은 가톨릭 교황보다 더 많은 기독교 백성을 통치했다.

Since antiquity, the Middle East, with its global commercial and transport links, has served as the crucial conduit of plague between the mediterranean and Asia. Almost all of history's plague outbreaks, therefore, have a Middle Eastern story. --P324

고대로부터 중동은 글로벌 상업과 수송 연결로 때문에 지중해와 아시아 사이에서 역병의 결정적인 도관 역할을 했다. 따라서 거의 모든 역사에서 역병의 발생은 중동이 등장했다.

Trade and economic policies had alway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empire's geostrategy. They would be decisive factors, Selim knew, in any future military ventures. Having been the globe's middlemen for centuries, the Ottomans had now extended their sphere of influence with new territories on the Arabian peninsula that allowed them to project their power into the Indian Ocean. --P 327

교역과 경제 정책은 오스만제국의 전략적 지정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셀렘은 그런 정책들이 미래에 군사적 모범에서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는 걸 알았다. 몇 세기 동안 세계의 중개인이었던 오스만제국은 이제 아라비아반도에서 새로운 영토에 자국의 영향력 범위를 확장하여 인도양에 이르기까지 세력을 미칠 수 있게 했다.

Many Muslims today ignore the fact, or simply do not know, that Sultan Selim led a reformation in Islam almost half a millennium ago. Similarly, though the world's Protestants may not recognize or accept it, their history and success owe a major debt to the Ottoman Empire. --P384

오늘날 수많은 무슬림들은 술탄 셀렘이 거의 500년 전에 이슬람 개혁을 이끌었다는 사실을 무시하거나 단순히 알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오늘날의 개신교들은 그들의 역사와 성공이 오스만제국에 큰 빚을 지고 있다는 사실을 무시하거나 받아들이지 않는다.

Without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Ottomans in the history of the last five hundred years, we cannot hope to understand either the past or the present. The Ottomans stood, in 1492, at the very center of the known world. The Ottoman Empire made the world we know today. --P396

지난 500년 역사에서 오스만제국의 역할을 이해하지 않고 우리의 과거나 현재를 이해할 수 없다. 오스만제국은 온 세상의 중심에 있었다. 오스만제국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이 세상을 만들었다.

◆ <The Ottomans; A cultural legacy(오스만제국; 문화적 유산, 2022)

중동문화전문가이자 언론인인 Diana Darke(다이애나 커크, 1956~ ) 여사는 아랍계 영국인으로 옥스퍼드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여러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본서는 찬란한 오스만제국의 다양하고 화려한 140점의 사진을 수록하고, 오스만제국의 건축, 요리, 음악, 미술, 과학 및 의학 분야 등에서의 독특한 업적과 그들이 직면한 정치적 도전을 탐구한다.

The Ottomans ruled over an area more extensive than the Byzantines, and for a longer period than the Romans. Their empire was in many ways the successor to Byzantium, in the same way that the Byzantine Empire was the successor to Rome. All three empires were based in the Mediterranean and used long-lasting institutions to rule over a diverse assemblage of ethnicities, religions and cultures, therefore representing the very opposite of today's nation-state. --P9

오스만제국은 비잔틴제국보다 더 넓은 지역을, 로마보다 더 오랜 기간 동안 통치했다. 비잔틴제국이 로마의 후계자인 것과 마찬가지로 오스만제국은 여러 면에서 비잔티움의 계승자였다. 세 제국 모두 지중해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오래 지속되는 제도를 사용하여 민족, 종교 및 문화의 다양한 집합체를 다스렸으며, 오늘날의 국민국가의 정반대를 표상한다.

Competition provides the deriver for new discoveries, and while it used to be a widely held view in the West that the Islamic golden age of science ended in 1258, when the Mongols under Hulagu destroyed Baghdad and its irrigation channels, the much-overlooked reality is that scientific activity continued under the Ottomans, sponsored by the Ottoman court. Their specialist fields were advanced mathematics, astronomy, philosophy, geography and chemistry. --P104

경쟁은 새로운 발견을 위한 파생물을 제공하며, 훌라구 휘하의 몽골인들이 바그다드와 그 관개 수로를 파괴한 1258년에 이슬람 과학의 황금기가 끝났다는 것이 서양에서 널리 받아들여지는 견해였다. 많이 간과되는 현실은 과학적 활동은 오스만 궁정이 후원하는 오스만인들 아래에서 계속되었다. 그들의 전문 분야는 고급 수학, 천문학, 철학, 지리 및 화학이었다.

The Ottomans were the first to maintain a permanent military band as part of their army: a tradition that started in 1299 when the Selijuk sultan is said to have presented Osman, the first Ottoman sultan, with a group of musicians to thank him for helping to fight their mutual enemies. --P159

오스만은 군대의 일부로 영구적인 군악대를 유지한 최초의 국가였다. 1299년에 시작된 이 전통은 셀리주크 술탄이 최초의 오스만 술탄인 오스만에게 자신들의 공동의 적과 싸우도록 도움을 준 것에 대해 감사하며 음악가 그룹을 선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All cultures borrow and rework elements from other cultures, but the Ottomans were unusually open to that front too. They were happy to acknowledge their civilization debt to their Seljuk and Roman forbears while holding true to their own tribal nomadic identity and also absorbing many new influences, especially from China, Iran, and the Arab and Byzantine worlds. --P272

모든 문화는 다른 문화로부터 성분을 차용하고 재가공하지만, 오스만제국은 유난히 그런 면에 개방적이었다. 그들은 자신의 부족 유목민 정체성을 유지하고, 특히 중국, 이란, 아랍 및 비잔틴 세계로부터 많은 새로운 영향을 흡수하면서 셀주크와 로마 선조에게 자신의 문명이 빚을 졌다는 것을 인지하고 기뻐했다.

◆ 오스만제국의 붕괴로 현재의 중동 분쟁과 갈등이 생겨났다

오스만제국은 1299년 오스만 1세가 건국한 이후에 모든 제국과 마찬가지로 성주괴공(成住壞空)의 과정을 걸어갔지만 623년이나 지속되며 고대로마 이래로 지중해에서 동서양을 아우르는 가장 거대한 제국이었다. 정복지의 기존 군주를 인정하고 재산과 생명, 그리고 문화와 전통을 유지해주는 대신에 조공도 받고 군사지원도 받는 포용정책이 오스만제국의 기본적이 대외정책이었다. 메호메드 2세는 술탄에 오르면 형제살인을 합법화하고 1453년 비잔티움(동로마제국)을 정복하여 콘스탄티노플을 이스탄불로 개명하고 수도로 삼았다, 이스탄불은 동양과 서양, 이슬람과 기독교, 흑해와 지중해가 만나는 도시로 성장했다.

셀림1세는 1516년 술탄과 칼리프 자리를 차지하여 1922년 멸망할 때까지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에 걸친 수니파 이슬람 세계를 완성했다. 그러나 오스마제국은 17세기에 들어와 내리막길로 접어들며 군부집단인 예니체리(Janissary)의 기득권 수호와 반란 및 권력남용이 드려나고 경제적으로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오스만 전통산업과 무역이 축소되었다. 강력한 유럽열강으로부터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싸고 품질 좋은 제품이 유입되어 오스만 제조업이 쇠락했다.

한편 발칸과 서아시아에서의 이해관계로 ‘동방문제’가 국제정치의 게임이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때 오스만제국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동맹국 편에 섰으나 패전국이 되면서 오랫동안 평화롭게 공존했던 아랍 공동체는 22개국으로 분할되었다. 1922년 이스탄불궁전을 마지막 오스만 술탄 메흐메트 6세가 떠나며 623년 이어진 오스만제국은 멸망했다. 1923년 터키공화국이 성립되면서 지금의 터키로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