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must be kept in mind that Christianity came to Russia from Byzantium, not from Rome. Although at the time this distinction did not have its later significance and although the break betwee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hurches occurred only in 1054, the Russian allegiance to Byzantium determined or helped to determine much of the subsequent history of the century. It meant that Russia remained outside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is in turn not only deprived Russia of what that Church itself had to offer, but also contributed in a major way to the relative isolation of Russia from the rest of Europe and its Latin civilization. -- Nicholas Riasanovsky, A History of Russia, P36

기독교가 로마가 아니라 비잔티움으로부터 러시아에 전래된 점을 기억해야 한다. 비록 당시에도 이런 차이가 나중에 인식된 중요성을 가지지 않았지만, 그리고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사이의 분열은 1054년에야 발생되었지만, 러시아가 비잔티움에 충성을 바친 것은 러시아의 이후의 역사의 많은 부분을 결정짓거나, 결정짓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그것은 러시아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외부에 남아 있었음을 의미했으며, 반대로 러시아가 가톨릭 교회 자체가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을 박탈했을 뿐만 아니라 나머지 유럽 및 라틴 문명으로부터 상대적 고립에 주된 원인으로 기여했다. --니콜라스 랴자놉스키 <러시아 역사> 중에서

러시아는 지리적으로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있기 때문에 유럽은 러시아를 아시아로, 반면에 아시아는 러시아를 유럽으로 보았다. 사실 러시아는 한 번도 단일국가인 적이 없으며, 그 국민 역시 단일민족인 경우가 없었다. 러시아는 슬라브인, 터키인, 몽골인, 핀란드인, 폴란드인, 유대인 등 여러 민족이 합쳐서 이루어진 나라였다. 러시아는 9세기경에 키예프 루시로 출발하였으나 1240년 몽골의 침입을 받아 240년간 지배를 받으며 유럽으로 편입하지 못했다. 유럽에서 진행된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및 산업혁명의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몽골의 수탈 구조인 농노제도를 유산으로 남긴 '몽골-타타르의 멍에(Mongol-Tatar Yoke)'라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로마노프 제정 러시아는 농노제(農奴制)로 기틀을 잡았으나 결국에 농노제의 모순으로 파생된 볼셰비키 혁명으로 멸망하게 된다.

몽골의 지배를 벗어난 이반3세 대제, 네덜란드, 영국 등 16개월간 해외에 유학하며 해군을 창설하고 부동항(不凍港)을 만들며, 수도를 습지대(濕地帶)인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옮기고 서구화를 추구한 표트르 대제, 독일 출신으로 남성편력이 심했던 예카테리나 여제, 개혁을 추진했으나 실패한 알렉산드리아 1세 등을 거치며 러시아혁명 이후로 스탈린과 푸틴으로 이어오고 있다. 러시아 역사는 키에프 시대, 몽골의 지배한 타타르 시대,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 표트르의 로마노프 재정러시아, 소비에트 러시아, 포스트 소비에트 러시아(러시아 연방) 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 <A History of Russia(러시아 역사, 1993, 5판)>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교수였던 Nicholas Riasanovsky(니콜라스 랴자놉스키, 1923~2011)가 1963년 저술한 러시아 역사 교과서는 그의 사후에 제자이자 예일대학교 교수였던 Mark Steinberg(마크 스타인버그, 1953~ )가 증보해 오고 있다, 현재 9판이 2018년에 출간되었다. 가장 대표적인 러시아 표준 역사 교과서이며 본문만 600페이지가 넘는다.

The location of Russia on its two continents has had a profound impact on Russian history. The southern Russian steppe in particular served for centuries as the highway for Asian nomads to burst into Europe. Mongol devastation was for the Russian only the most notable incident in a long series, and it was followed by over two hundred years of Mongol rule. --P9

러시아가 두 대륙에 걸쳐 있었다는 점은 러시아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러시아 남부의 스텝 지대는 오랫동안 아시아 계통의 유목민들이 유럽으로 난입하는 고속도로 역할을 했다. 몽골의 파괴행위는 러시아인들에게는 장기간에 거쳐 단지 가장 현저한 사건에 불과했는데, 그 이후에는 200년 이상의 몽골 통치기가 있었다.

In 1380 the prince of Moscow Dmitrii succeeded in defeating the Mongols in a major battle on the field of Kulikovo. Although the Mongols managed to stage a comeback, their invincibility had been destroyed and their rule greatly weakened, still, another century passed before the Mongol yoke was finally overthrown. --P71

1380년 모스크바의 드미트리 공은 콜리코보 평원에서 벌어진 중요한 전투에서 몽골인들을 물리치는 데에 성공했다. 비록 몽골인들은 복귀는 했지만, 불패 신화가 깨어졌고 통치력도 크게 약화되었다. 그렇지만 ‘몽골의 멍에’가 최종적으로 벗겨지기까지는 또 다른 100년이 지나가야 했다.

Ivan IV was the first Muscovite ruler to be crowned tsar, to have this action approved by the Eastern patriarchs, and to use the title regularly and officially both in governing his land and in conducting foreign relation. In calling himself also "autocrat" he emphasized his complete power at home as well as the fact that he was a sovereign, not a dependent, monarch. --P143

이반4세는 차르로 대관식을 한 최초의 모스크바국 통치자로, 이 행동을 동방정교회의 총주교들로부터 승인받았으며, 국가를 통치하고 외교활동을 수행할 때에 이 칭호를 정기적으로나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자신을 ‘전제군주’로 부르면서, 자신이 의존적인 군주가 아니라 절대권력을 가진 군주라는 사실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완전한 권력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Serfdom was the mainstay of Muscovite agriculture. Serf labor supported the gentry and the entire structure of the state. As we saw earlier, certain types of peasant bondages originated in the days of Kieve, and had undergone centuries of evolution before the times of Ivan the Terrible and Tsar Alexis. Originally, it would seem, peasant dependence on the landlords began through contracts. --P185

농노제는 모스크바국 농업의 기반이었다. 농노의 노동력은 귀족과 국가 전체의 구조를 지탱해주었다. 우리가 살펴봤듯이, 특정 형태의 농민 예속은 키예프 시기에 기원하며, 폭군 이반 뇌제(雷帝)와 차르 알렉세이 시대 이전에 수 세기 동안 진화했다. 원래 지주에 대한 농민의 의존은 계약을 통해 시작되었다.

Peter The Great's reign began a new epoch in Russian history, known variously as the Imperial Age because of the new designation of ruler and land, the St. Petersburg Era because of the new capital, or the All-Russian Period because the state came to include more and more peoples other than the Great Russians, that is, the old Muscovites. --P213

표트르대제의 통치기는 러시아 역사에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이 시대는 통치자와 영토에 대한 새로운 명칭 때문에 제국 시대, 새로운 수도 때문에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대, 혹은 국가가 대러시아인들, 즉 과거의 모스크바국 사람들과는 다른 민족들을 점점 더 많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전러시아 시대 등으로 다양하게 알려져 있다.

The catastrophic French defeat can be ascribed to a number of factors: the fighting spirit of the Russian army, Kutuzov's wise decisions, Napoleon's crucial mistakes, Alexander's determination to continue the war, the winter, and others. But the breakdown of the transportation and supply of the Grand Armée should rank high among the reasons for its collapse. --P313

프랑스의 파국적인 패배는 여러 요인에 기인한다. 러시아군의 전투정신, 러시아 장군 쿠트조프의 현명한 결정, 나폴레옹의 중대한 실수, 전쟁을 지속하려는 알렉산드리아의 결단, 겨울 등 많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대군의 붕괴에 대한 이유 중에서 아주 중요한 것은 수송과 보급 체계의 붕괴이다.

Russian history came increasingly to be dominated by a struggle between the government Right and the radical Left, with the moderates and liberals in the middle powerless to influence the fundamental course of events. --P380

러시아 역사는 정부적인 우파와 급진적인 좌파 사이의 투쟁에 의해서 점차 지배되었다. 온건파와 자유주의자들은 사태의 기본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중간지대에 있었다.

Whereas the initial impact of the Bolshevik revolution, coupled with famine and other catastrophes, did much to level Russian society, smashing the rigid class structure of imperial Russia and even destroying entire classes, before long social differentiation began to grow again. --P574

기근 및 다른 재앙과 더불어 볼셰비키 혁명이 일으킨 최초의 충격은 제정 러시아의 단단한 계급구조를 분쇄하고, 심지어 모든 계급을 파괴함으로써 러시아 사회를 평준화하는 데에 많은 역할을 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사회적 분화는 다시 증대되기 시작했다.

At the foundation of Gorbachev’s reforming lay the need to escape the economic cul de sac, which had become increasingly and unmistakably apparent by the end of the Brezhnev regime. --P591

고르바초프 개혁의 토대에는 경제적 곤경을 벗어날 필요성에 놓여 있으며, 이는 브레즈네프 정권의 말기에 점점 더 틀림없이 명확해졌다.

◆ <Russia; a short history(러시아; 간결한 역사, 2017)>

미국 뉴욕대학교 역사학 교수였던 Abraham Ascher(에이브러햄 애셔,1928~ )는 40년 이상 러시아 역사를 가르친 전문가이다. 본서를 통해 1,000년의 역사를 인물과 사건 중심으로 선후 영향과 결과를 설명하는 러시아 역사 입문서이다. 러시아는 지배하기에는 너무 나약하고 지배당하기에는 너무 강한 나라였다. 역사가 국가지도자에 의해 항상 바뀌고 미화되고 편집된 국가라고 주장한다.

The Slavophiles were profoundly religious and revered Russian Orthodoxy, a faith they considered to be much more spiritual than Western Christendom, which they disdained as allegedly under the thrall of cold rationalism. They also disdained Western conceptions of law as destructive of the social bonds that hold society together. --P2

슬라브주의자들은 완전히 종교적이었고, 러시아정교회를 숭배했다. 정교회 신앙이 서양의 기독교 신앙보다 더 영성이 깊다고 굳게 믿었고, 서양의 기독교는 냉정한 합리주의의 노예라고 경멸했다. 사회를 결속시키는 사회적 유대감을 파괴하는 서양의 법 개념도 거부했다.

Whatever the differences over the origins of Russia, all historians now agree that the Kievan state or Kievan Rus, which emerged in the ninth century and existed for some four centuries, was the first large and powerful Slavic state and that it strongly influenced the course of Russian history. --P7

러시아 기원에 대해서 차이점이 무엇이건 간에, 이제 모든 역사가들은 9세기에 출현해서 약 400년 동안 존재했던 키예프 국가 또는 키예프 루시가 최초의 거대하고 강력한 슬라브 국가였으며, 그리고 키예프 국가가 러시아의 역사 과정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 동의한다.

It was of critical importance that Russian Christianity came not from Rome but from Byzantium, where the church was clearly subordinate to the secular ruler. --P9

러시아의 기독교가 로마 가톨릭에서 전래된 것이 아니라 비잔틴 정교회에서 전해졌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비잔틴에서는 교회가 속세의 통치자에 완전히 종속되었다.

The following are some of the Mongol practices that left their mark on Russia: the obligation placed on the nobility to serve the state; the right of the ruler to confiscate the estate of a nobleman pronounced guilty of a treason; the imposition on townpeople as well as peasants of a tiaglo(literally 'burden' or taxes); the introduction of such harsh judicial practices as capital and corporal punishment. --P23

다음은 러시아에 흔적을 남긴 몽골 관행의 일부이다. 귀족들이 국가에 봉사해야 할 의무, 반역죄로 선고받은 귀족의 재산을 몰수할 수 있는 통치자의 권리, 도시민과 농민들에 부과된 타이글로(직역하면 ’부담‘ 또는 ’세금‘) 제도, 사형과 육체적 형벌과 같은 가혹한 사법관행의 도입 등이다.

On 11 July 1613, Michael was formally crowned in the Uspenskii Sobor, thus initiating a dynasty that was to rule Russia for three hundred years. --P54

1613년 7월 11일에 미하일은 우스펜스키 성당에서 공식적으로 즉위했다. 이렇게 해서 러시아를 300여 년 동안이나 치세하게 될 로마노프 왕조가 탄생한 것이다.

Unlike a slave, however, the Russian serf retained a measure of civil individuality. He was a taxpayer, he was entitled to a plot of land, he could not be arbitrarily converted into a household worker, and he could not be deprived of his personal belongings ‘by violence’. --P56

하지만 노예와는 달리 러시아 농노들은 시민적 특성의 규준을 유지했다. 농노는 납세자이고 약간의 땅을 소유할 권리가 있었으며, 자의적으로 가사노동자로 전환될 수 없었고, ‘폭행으로’ 개인재산을 박탈당할 수 없었다.

Within a day of his return Peter shocked his Muscovite subjects by personally cutting off the beards of leading nobles as well as the long sleeves of their surcoats. Somewhat later he issued decrees requiring everyone except peasants and clergymen to appear clean-shaven and wear Hungarian and German dress on pain of having to pay an annual tax. Another measure that disturbed the people was the Westernization of the Russian calendar. --P66

표트르 대제는 러시아로 돌아온 지 하루 만에 손수 지도급 귀족들의 수염을 자르고 겉옷의 긴 소매를 잘라내어 신하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며칠 후 그는 몇 가지 칙령을 발표했다. 농민과 성직자를 제외한 모든 국민은 말끔히 면도하고 헝가리식 또는 독일식 복장을 입어야 하며, 이를 어기면 연간 세금을 부과한다는 내용이었다. 국민을 당혹스럽게 한 또 하나의 조치는 러시아 달력을 서구화한 것이었다.

But it would be a mistake to dismiss her as a sovereign whose only interest was private pleasure. Nor would it be accurate to regard her as a self-centered woman who merely used men to satisfy her carnal needs. To be sure, from 1752 until her death she had no fewer than twenty-one lovers, generally men in the prime of life within impressive physiques. It is also true that the older she grew, the younger were the men she chose. --P77

하지만 예카테리나를 개인적인 쾌락에만 관심을 가진 군주로 일축하는 것은 잘못이다. 또한 그녀가 단지 자신의 성욕을 채우기 위해 남자들을 이용한 자기중심적인 여인으로 간주하는 것도 정확하지 않다. 확실히 1752년부터 그녀가 사망할 때까지 적어도 21명의 애인들이 있었는데, 대체로 훌륭한 신체조건을 갖춘 전성기의 남성들이었다. 그녀가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점점 더 어린 남자를 골랐다는 것도 사실이었다.

In the long run,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 during Nicholas’s reign was the emergence of the Russian intelligentsia, a group that came to exercise enormous influence on the course of Russian history. --P111

장기적으로 니콜라이1세의 치세기간 중에 가장 중요한 발전은 바로 러시아 인텔리켄치아의 출현이다. 그들은 러시아 역사 과정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한 집단이었다.

Rarely in the history of any country has one man cast so long a shadow as V.I. Lenin has over Russia. The basic contours of the communist system fashioned by Lenin remained intact for about seventy years. Not only was he indispensable in brining Bolshevism to power, but he created the ideology of Bolshevism.--P186

전 세계 역사에서 레닌이 러시아에 한 것처럼 한 사람이 오랫동안 자신의 그림자를 드리운 적이 없다. 레닌이 구상한 공산주의 체제의 기본적인 윤곽은 70년 동안 온전하게 유지되었다. 레닌은 볼셰비즘이 권력을 장악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뿐더러 볼셰비즘의 사상을 창조했다.

In contrast to the Western political tradition, in which power is based on rational ideas and institutions, the Byzantine tradition has always invested power with something sacred, irrational, and personal. The ruler was considered to be simultaneously the father of the nation, omnipresent, and not responsible to any other person or institution.--P278

권력이 합리적 사상과 제도에 기반을 둔 서양의 정치적 전통과는 반대로, 비잔틴의 전통은 권력에 항상 신성하고 비합리적이고 개인적인 어떤 것을 부여한다. 통치자는 동시에 국가의 아버지이며, 어디에나 존재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이나 제도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지 않는 존재로 간주된다.

Deep down, Putin appears to be a fervent believer in the greatness of Russia and well resort to all means at his disposal to revive the country as a superpower, even if that requires military action. Of course, in doing so, he is also vastly increasing his own power and stature, another goal to which he has devoted himself. --P300

깊은 곳에서 푸틴은 러시아의 위대함을 열렬히 믿고 있으며, 군사적 행동이 필요하더라도 국가를 초강대국으로 되살리기 위해 자신의 의지대로 모든 수단을 동원하는 것이다. 물론 그렇게 함으로써 그는 점점 더 자신의 힘과 위상, 그가 헌신해 온 또 다른 목표를 증가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