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우크라이나의 고난과 전쟁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3.02.27 09:00 | 최종 수정 2023.02.27 10:32 의견 0

Freedom is not about having unshackled hands, Freedom is about having unshackled minds. --Volodymy Zelensky, A Message from Ukraine, P3

자유는 단순히 두 손이 묶여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자유는 생각이 얽매어 있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에서 온 메시지> 중에서

유럽의 관문이자 빵바구니인 우크라이나는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동양과 서양의 충돌과 교류의 완충지대였다. 비옥한 흑토로 전 세계 밀 수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축복받은 땅이지만, 8세기부터 러시아의 일부로 편입되어 지배를 받았다. 11세기 Yaroslav(야로슬라브, 1015~1054) 현제(賢帝)대공은 동방정교를 받아들이고, 법전을 정비하고 교육을 증진하여 키이우 공국의 황금기를 이루었다. 13세기부터 몽고의 지배를 받으며 킵치크 칸국(1243~1502)의 땅이 되었다.

또한 리투아니아와 폴란드 지배를 받기도 했으며, 18세기부터 러시아에 병합되었다.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위한 투쟁은 1648년에 용감한 Cosasack(코자크)의 최고 지도자 Hetman(헤트만)에 추대된인 흐멜니츠키(1596~1657)가 폴란드 상비군을 궤멸시키고 폴란드왕 카시미르 2세와 Zboriv(즈보리브) 조약을 체결하여 우크라니아 국가를 세웠다. 그러나 폴란드에 대항하기는 어려워졌고, 계속된 폴란드의 위협에 벗어나고자 1653년에 러시아 차르 Aleksei(알렉세이)에 의탁하여 Pereyaslav Council(폐레야슬라브 회의)을 통해 러시아 차르의 휘하로 들어갔다. 이는 후일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합병에 근거로 작용했다.

우크라이나는 1914년 제1차 세계대전과 1917년 볼셰비키혁명을 계기로 독립을 추진했으나 좌절되었고, 레닌은 온화정책을 사용하여 우크라이나에 언어 사용과 출판을 허용했다. 1929년 스탈린의 철저한 우크라이나 말살정책으로 탄압을 받았고, 공업화정책과 농촌집단화 추진으로 곡물의 생산이 급락하여 1931~1933년 사이에 500만명 이상이 대기근으로 사망했다. 1991년 소비에트연합이 해체되면서 우크라이나는 명실공히 독립국으로 탄생되었다. 그러나 부동항이 필요한 러시아가 2014년 3월에 돈바스 등 크림반도를 장악하고, 2022년2월에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여 아직도 전쟁이 진행 중에 있다.

◆ <The Gates of Europe; A history of Ukraine(유럽의 문; 우크라이나의 역사, 2016)>

현재 하버드대 역사학과 석좌교수이자 동 대학 우크라이나연구소 소장인 Serhii Plokhy(세르히 플로히, 1957~ )는 동유럽 지성사·문화사와 국제사 분야의 많은 저서를 냈다. 특히 <유럽의 문; 우크라이나의 역사>는 숱한 고난을 이겨낸 우크라이나의 저력을 이해할 수 있는 역사서이다.

In December, as Ukrainian citizens went to the polls en masse to vote for their independence, they also consigned the mighty Soviet Union to the dustbin of history. The events in Ukraine then had major international repercussions and did indeed change the course of history: the Soviet Union was dissolved one week after the Ukrainian referendum. --Pxix

1991년 12월 우크라이나 시민들은 독립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에 대거 참여해 강대국 소련을 역사의 쓰레기통에 집어넣었다.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상당한 국제적 반향을 가져왔고, 실제로 역사의 진행방향을 변경시켰다. 우크라이나 국민투표 일주일 뒤에 소련은 해체되었다.

Europ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Ukrainian story, as Ukraine is part of the European one. Located at the western edge of the Eurasian steppe, Ukraine has been a gateway to Europe for many centuries. Sometimes, when the “gates” were closed as a result of wars and conflicts, Ukraine helped stop foreign invasions east and west. --Pxxi

유럽은 우크라이나의 중요한 한 부분이고, 우크라이나는 유럽의 한 부분이다. 유라시아 스텝의 서쪽 가장 자리에 위치한 우크라이나는 오랫동안 유럽으로 통하는 문이었다. 가끔은 이 문이 전쟁이나 갈등의 결과로 닫혔다. 우크라이나는 동과 서로부터 외적의 침입을 막아주었다.

Both Ukrainians and Russians claim Yaroslav the Wise as one of their eminent medieval rulers, and his image appears on the banknotes of both countries. The Ukrainian bill depicts Yaroslav with a Ulrainian –style moustache in the tradition of Prince Sviatosla slav and the Ukrinian Cossacks. --P42

야로슬라우 현제(賢帝)가 자신들의 뛰어난 중세 지도자라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국 모두 주장하고 있고, 그의 이미지는 양국 화폐에 나타난다. 우크라이나 지폐는 스바토슬라우 공과 우크라이나 코자크 전통에 따라 우크라이나식의 콧수염을 한 야로슬라우의 모습을 담았다.

The Cossack received the right to reside in —effectively, to rule over—the three eastern palatinates of the commonwealth. Those were palatinates of Kylv, Bratslv, and Chernihiv, which constituted the territory of the new Cossack state, known in history as the Hetmanate. A good part of the Hetmanate happened to be in the steppelands that Polish and French cartographers of earlier decades had called “Ukraine.” --P101

코자크는 폴란드의 세 동부 주에 거주하고 실제로 통치할 권리를 얻어냈다. 역사에 헤트만령으로 기록될 새로운 코자크 국가를 형성한 세 주는 키이우, 브라트슬라우, 체르니하우 주였다. 헤트만령의 상당 부분은 폴란드와 프랑스 지도 제작자들이 수십 년 전에 ‘우크라이나’라고 부른 스텝 지역이었다.

THE TURNING POINT i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hmelnytsky Revolt took place on January 8, 1654, in the town of Pereiaslav. On that day, Bohdan Khmelnytsky and a hastily gathered group of Cossack officers swore allegiance to the new sovereign of Ukraine, Tsar Aleksei Romanov of Muscovy. The long and complex history of Russo-Ukraine relations had begun. --P105

흐멜니츠키 반란의 국제화에서 전환점은 1654년 1월 8일 페레야슬라우 도시에서 발생했다. 그날 보흐단 흐멜니츠키와 급하게 소집된 코자크 장교집단은 우크라이나의 새로운 주군인 모스크바 공국의 알렉세이 로마노프에게 충성을 맹세했다. 길고도 복잡한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가 시작된 것이다.

THE BOLSHEVIK COUP in Petrograd, subsequently known as the October Revolution, had a major impact on the developments in Ukraine. In direct response to the coup, the Central Rada proclaimed the Ukrainian People’s Republic—a state in its own right, but one that would remain in federal union with Russia. --P207

이후 10월혁명으로 알려진 페트로그라드의 볼셰비키혁명은 우크라이나에서의 사태 진전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볼셰비키 쿠데타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으로 중앙 라다는 우크라이나 국민공화국 출범을 선언했다. 이것은 독자적 국가였지만, 러시아와 연방적 연합을 유지하기로 되어 있었다.

As for Ukraine, its claim to independence has always had a European orientation, which is one consequence of Ukraine’s experience as a country located on the East-West divide between Orthodoxy and Catholicism, central European and Eurasian empires,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practices they brought with them. --P353

우크라이나의 경우 독립에 대한 주장은 항상 유럽 지향적이었다. 이것은 우크라이나가 정교회와 가톨릭, 중유럽 제국과 유라시아 제국의 동-서 경계점에서 겪어온 경험의 결과이고, 또한 이런 상황이 가져온 정치적 및 사회적 관행의 결과이다.

Russian invasion breached not only the Russo-Ukrainian treaty of 1977 but also the Budapest memorandum of 1994, which had offered Ukraine security assurance in exchange for giving up its nuclear weapons and acceding to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as a nonnuclear state. --P354

러시아의 침공은 1997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우호조약을 파기했을 뿐만 아니라 1994년 부다페스트 의정서도 파괴했다. 이 의정서에서 우크라이나는 핵무기를 포기하고 핵확산금지조약에 가입하는 대가로 안전을 보장받았다.

Whatever the outcome of the current Ukraine Crisis, on its resolution depends not only the future of Ukraine but also that of relations between Europe’s east and west—Russia and the European Union— and thus the future of Europe as a whole. --P354

현재의 우크라이나 위기의 결과가 어찌 되건 이 위기의 해결에 우크라이나의 미래뿐만 아니라 유럽의 동·서부, 즉 러시아와 유럽연합 관계의 미래, 그리고 결국 유럽 전체의 미래가 달려있다.

◆ Ukraine; What everyone needs to know(우크라이나; 누구나 알아야 할 내용, 2020)

우크라이나 출신의 캐나다 역사학자 Serhy Yekelchyk(세르히 예켈치크, 1966~ )는 캐나다 명문대학인 빅토리아대학교 독일 및 슬라브학과 교수이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저서이다.

Ukraine is thus “sandwiched” between Russia and the member countries of the Western political and military alliance. In the south, Ukrainian territory is washed by the Black Sea, which links Ukraine to Turkey and Bulgaria and, beyond the Straits, to the Mediterranean world. --P13

따라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서방 정치 및 군사 동맹의 회원국 사이에 ‘샌드위치’로 끼어있다. 남쪽에서 우크라이나 영토는 흑해와 접하여 우크라이나를 터키와 불가리아, 해협 너머 지중해 세계와 연결한다.

Ukraine is Europe’s second-largest country after Russia. Spanning 603,700 square kilometers, or 233,100 square miles(including the Crimea), it is a bit larger than France and approximately the size of Germany and Great Britain combined. --P13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다음으로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나라이다. 603,700 평방킬로미터 또는 233,100 평방마일(크림반도 포함)에 걸쳐 있으며, 프랑스보다 약간 크고 대략 독일과 영국을 합친 크기이다.

When the Soviet Union collapsed in 1991, its 15 constituent republics became independent states. As the two most populous republics of the USSR, Russia and Ukraine legally seceded from the Soviet federation, which ceased to exist as a result. --P26

1991년 소련이 붕괴될 때 소련의 15개 위성국가들이 독립국가가 되었다. 소련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두 공화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소비에트연방에서 합법적으로 탈퇴했으며, 그 결과 소비에트연방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The “reunification” of Ukraine with Russia was the official term for the 1654 Pereiaslav Treaty; the term was prescribed for obligatory use in Soviet historical works and public discourse by the Communist Party's Central Committee in 1954. The concept of the treaty as a “restoration” of a single nation's ancient unity resonates to this day with Russians in particular, and for good reason. --P30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통일’은 1654년 페레야슬라브 조약의 공식 용어였다. 이 용어는 1954년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의해 소련의 역사작업과 공개담화에서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규정되었다. 단일국가의 고대 통합에 대한 ‘복원’이라는 조약의 개념은 오늘날 특히 러시아인들에게 아주 좋은 이유로 반향을 일으킨다.

Then, on December 5, 1994, the United States, Russia, and Britain signed the Budapest Memorandum on Security Assurances, which France and China also endorsed in separate official statements. In recognition of Ukraine’s voluntary surrender of its nuclear weapons, the five major nuclear powers promised to “respect Ukraine’s independence and sovereignty and the existing borders of Ukraine.” On the same day, Ukraine acceded to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P60

그 후 1994년 12월 5일 미국, 러시아, 영국은 안보 보장에 관한 부다페스트 각서에 서명했으며, 프랑스와 중국도 별도의 공식성명을 통해 승인했다. 우크라이나의 자발적인 핵무기 포기를 인정하면서 5대 핵보유국은 “우크라이나의 독립과 주권, 우크라이나의 기존 국경을 존중”하겠다고 약속했다. 같은 날 우크라이나는 핵확산방지조약에 가입했다.

Viewed from a longer historical perspective, it is clear that the crisis in Ukraine is only masquerading as ethnic strife. It is a conflict over what type of a state and society will develop in the post-Soviet political space, and a part of Putin’s challenge to the unipolar world order that emerged after the Cold War. As such, the conflict can only be resolved in a wider international framework. --P182

긴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우크라이나의 위기는 민족적 투쟁으로 가장하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 충돌은 어떤 유형의 국가와 사회가 소비에트 이후의 정치적 공간에서 발전할 것인지와 냉전 이후에 발생한 극단적 세계질서에 대한 푸틴의 도전 일부에 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분쟁은 더 넓은 국제적인 체계에서 해결될 수 있다.

◆ <A Message from Ukraine(우크라니아에서 온 메시지, 2022)>

우크라이나 대통령인 Volodymyr Zelensky(볼로디미르 젤렌스키, 1978~ )가 행한 16개의 연설문을 모은 책이다. 젤렌스키는 2019년 5월에 제6대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당선되어 러시아와의 전쟁을 이끌고 있다. 러시아의 우쿠라이나 침공에 대한 부당성을 잘 천명하고 있다.

My objective is the end of the war, the return of all the occupied Ukrainian territories and the outbreak of peace. But not the cost of our citizens’ lives, nor at the cost of freedom, nor at the cost of Ukraine’s right to choose its own path. That is why we need the support of the world. --P19

저의 목표는 전쟁을 끝내는 것이고, 점령당한 우크라이나 영토를 되찾는 것이고, 평화를 이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 민간인을 희생시키거나, 우크라이나의 장래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나 자유를 희생시키지 않겠습니다. 이것이 우리가 세계의 지원을 필요로 하는 이유입니다.

But Our main goal is peace in Ukraine and the safety of Ukrainians. To achieve this goal, we are prepared to have a dialogue with anyone—including with you —in any form and in any forum. --P53

그러나 우리의 주요 목표는 우크라이나의 평화와 우크라이나 국민의 안전입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귀하를 포함하여 누구와도 어떤 형식과 포럼에서든 대화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Russian troops do not distinguish between civilians and military. They don’t care ordinary infrastructure is. Everything is considered a target. --P76

러시안 군대는 민간인과 군인을 구분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일상적인 시설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모든 것을 공격의 목표물로 간주합니다.

What will bring the end of the war? We used to say “peace”. Now we say “victory”. --P86

전쟁을 끝내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입니까? 과거에 우리는 그것이‘평화’라고 했습니다. 이제 우리는 ‘승리“라고 말합니다.

We will meet the dawn together with the whole country. One day soon, loved ones will be together again. Our flag will fly over the occupied cities again. Our nation will be reunited and there will be peace again. --P110

우리 온 나라가 함께 통트는 새벽을 맞이할 것입니다. 조만간 어느 날, 사랑하는 이들이 다시 만나게 될 것입니다. 우리 국기가 점령당했던 도시들에 휘날릴 것입니다. 나라는 통일이 되고 평화가 돌아올 것입니다.

◆ 러시아는 유라시아에서 평화를 찾아야 번영한다

우크라이나는 애초에 러시아와 공동으로 국가와 역사를 공유했다. 16세기 용감한 전사(戰士)의 집단인 코자크의 최고지도자 Heltman(헬트만)인 흐멜니츠키의 독립자치국 성립이 국가의 기원이다. 폴란드 지배를 받은 서부지역(리비우, 오데샤, 키이우)은 가톨릭 신앙을 받아들여 친 유럽성향이고, 러시아의 지배를 받은 동쪽지역(헤르손, 도네츠크, 루간스크)은 친 러시아 성향이라 한 국가 두 문화 체제가 고착되었다. 19세기 독립을 추진했으나 좌절되고, 제2차 세계대전 때는 독일과 인접하여 가장 피해를 많이 보았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1994년 가장 많이 가진 핵무기를 포기하고 부다페스트 협정을 체결했으나 안전과 국토가 보장되지 않았고, 러시아는 부동항을 확보하기 2014년 크림반도를 장악하였다. 불안한 우크라이나는 EU와 NATO 가입을 추진한 것이 러시아에 2022년 2월 침공의 빌미를 제공하여 전쟁이 일어나 진행 중이다.

그러나 러시아 푸틴은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진 유라시아에서 평화만이 러시아가 부강해지는 길이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러시아인들이 푸틴이 장악한 언론과 정보로 인한 거짓 프로파간다에 속지 말고 국제정세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베트남 전쟁을 반대한 미국 청년들처럼 러시아인들이 먼저 전쟁을 반대해야 한다. 전 세계가 나서서 전쟁을 중지하도록 중재해야만 한다. 세계가 하나가 되는 유비쿼터스 세계에서 모두가 전쟁을 중지하도록 동참해야 한다.

우크라이나 민족시인 Taras Shevchenko(타라스 셰프첸코,1814~1861)는 ‘나의 유언(My testament)’이란 시에서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When I am dead, bury me, In my beloved Ukraine,

나 죽거든 부디 그리운 우크라이나 넓은 벌판에 나를 묻어주오.

지금 우크라이나 젊은이들은 160여년 전에 죽은 민족시인 셰프첸코의 ‘유언’을 되새기며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러시아에 온몸으로 일어나 저항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저항과 독립정신에 응원과 지지를 보낸다. 러시아의 군사와 경제 및 사회는 푸틴 전쟁의 깊고 고통스러운 상처를 오랫동안 감내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