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유럽을 600년간 지배한 합스부르크 제국 –2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3.03.20 09:00 의견 0

◆ <The Austrian Mind; An Intellectual and Social History, 1848-1938(오스트리아 정신; 지성과 사회사, 1983)>

메사추세츠대학교 역사학 교수를 역임한 William M. Johnston(윌리엄 존스턴, 1936~ )은 합스부르크와 오스트리아의 정신사와 문화사를 해박하게 해명한 본서를 통해 정신사 분야의 연구에서 독보적인 명성을 얻었다. 합스부르크 제국이 배출한 70여 명의 저명한 인물을 소개하고 있다.

"THE GAY APOCALYPSE"—so Hermann Broch called the period from 1848 to 1918 within the Habsburg Empire and, above all, at Vienna, where old and new attitudes interacted with unequaled fecundity. It was in Austria and its successor states that many, perhaps even most, of the seminal thinkers of the twentieth century emerged: Freud, Brentano, Husserl, Buber, Wittgenstein, Lukàcs, and countless others. -- P1

‘유쾌한 종말’은 헤르만 브로흐가 합스부르크 제국과 무엇보다 옛날과 현대의 풍조가 전례 없이 풍부하게 교감한 빈에서 1848년 1918년 사이의 기간을 부른 말이다. 오스트리아와 후속 국가들에서 20세기에 두각을 나타낸 가장 많은 사상가를 배출했다. 프로이트, 브렌타노, 후설, 부버, 비트겐슈타인, 루카치를 비롯한 수많은 사상가들이다.

Franz Joseph I, emperor of Austria, king of Hungary, and inheritor of some twenty other titles, symbolized more than he achieved. Reigning from December, 1848 to November, 1916, longer than any other European monarch, Frnaz Joseph became a living embodiment of the will to survive. --P33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오스트리아 황제이자 헝가리 왕, 그리고 20여 개 작위의 상속자이며, 그의 업적보다 더 많은 것을 상징했다. 프란츠 요제프는 유럽의 다른 어떤 군주보다 오랜 기간인 1848년 12월부터 1916년 11월까지 통치했으며, 생존의지의 살아있는 화신이었다.

The BUREAUCRACY that Maria Theresa and JosephⅡ had created infiltrated every corner of Austrian life. Ostensibly the administration’s mission was extend uniformity throughout the empire, Westernizing the non-German peoples and regimenting everyone to obey edicts of the crown. Emblems of uniformity blanketed the empire: every court-house, post office, and railroad station bore a yellow shield emblazoned with a double-headed black eagle. --P45

테레지아와 요제프2세가 만든 관료체제는 오스트리아 생활의 모든 구석까지 침투했다. 표면상으로 행정의 목표는 비독일민족을 서구화하고, 모두가 왕의 칙명에 따르도록 편제하여 온 제국에 일체성을 확장하는 것이었다. 획일성의 상징이 제국을 덮었다. 모든 법원, 우체국, 역에는 검은 쌍두독수리가 그려진 노란 방패 문장이 걸려 있었다.

The demise of intellectual Vienna is a major reason why post-1945 Europe has produced so few innovative thinkers. Epigones of Freud, Neurath, Wittgenstein, Buber, and Kelsen only commemorate all that has vanished. --P75

빈 지성의 몰락이 1945년 이후로 유럽이 혁신적인 사상가를 거의 배출하지 못한 주된 이유이다. 프로이트, 노라이트, 비트겐슈타인, 부버, 켈젠의 추종자들은 사라진 과거의 모든 것을 기념할 뿐이다.

Schumpeter never achieved his potential. Like another student of Böhm-Bawerk, Otto Bauer, with whom he collaborated in the coalition ministry of 1919, Schumpeter felt the collapse of 1918 as an amputation. Both men never adjusted to the loss of the empire. If it had survived, they might have worked together, counteracting each other's vagaries to construct lasting reforms. --P84

슘페터는 그의 잠재력을 결코 달성할 수 없었다. 그는 1919년 연합내각에서 협력했던 뵘-바베르크의 다른 제자 오토 바유어와 마찬가지로 1918년의 붕괴를 절단으로 느꼈다. 두 사람은 제국의 멸망에 결코 순응할 수 없었다. 제국이 계속 존재했더라면 그들은 함께 일하고 서로의 가재(機才)에 대응하며 지속적인 개혁을 이뤄냈을 것이다.

Kelsen stands as heir to a tradition within Austrian Jurisprudence, which running through Josef Ungar, Adolf Menzel, and George Jellinek united legal positivism with philosophical dualism, the whole enlivened by vast erudition. Like Pribram, Kelsen invited musinterpretation by waging polemics against both right and left. --P98

켈젠은 오스트리아 법학 내부에서 전통의 상속자로 자리 잡고 조셉 웅거, 아돌프 멘첼, 조지 엘리네크에 이르는 오스트리아 법학에 법실증주의와 철학적인 이원론을 통합시켰다. 프리브람과 마찬가지로 켈젠은 우파에서도 좌파에서도 반대하는 논쟁에 관여하면서 그릇된 해석에 자극을 주었다.

Despite neglect of fundamental reform, Austrian Socialists cultivated an almost religious sense of mission. Younger intellectuals chose to believe that idea could better society and that the empire could be rebuilt from within. --P102

오스트리아 사회주의자들이 기본적인 개혁을 소홀히 했다 할지라도 대부분은 종교적 사명감을 배양했다. 젊은 지성인들은 사회를 개선할 수 있다는 이념을 믿었고, 제국이 내부로부터 재건될 수 있다고 믿었다.

Vienna was more than capital of the Habsburg Empire, it was a state of mind. Two attitudes interacted in the outlook of most Viennese: lightheated enjoyment of the arts, or aestheticism, and indifference to political and social reform, or therapeutic nihilism. --P116

빈은 합스부르크 제국의 수도 이상의 도시였으며, 제국정신의 상태였다. 두 가지 입장이 대부분 빈 사람의 관점에서 상호작용했다. 하나는 예술의 가벼운 향유와 유미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정치적·사회적 개혁안에 대한 무관심 또는 치유허무주의이다.

Vienna's favorite entertainment was undoubtedly music. In homes music-making was so popular that a law forbade playing an instrument after 11:00 P.M. Many families staged musicals on Sunday afternoon inviting young musicians to perform. --P132

빈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오락은 틀림없이 음악이었다. 특히 가정에서의 실내악 연주는 23시 이후에는 금지하는 규율을 만들어야 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많은 가정이 일요일 오후에는 젊은 음악가들을 초청해 연주회를 열기도 했다.

Between 1920 and 1938 an astonishing number of Austrian intellectuals committed suicide. Crown Prince Rudolf was but the best known of a dozen prominent men who chose to terminate unbearable anguish. --P174

1860년에서 1938년 사이에 놀랄 정도로 많은 수의 오스트리아 지식인들이 자살을 했다. 황태자 루돌프는 견딜 수 없는 고통을 자살로 종식하고자 결심했던 수많은 저명인사 중 가장 잘 알려진 사람일 뿐이다.

SIGMUND FREUD has become a father-figure to contemporary man. To probe the roots of his ideas is to expose one's own consciousness, and to criticize him is to slay the father. This journey into self-knowledge is both aided and impeded by the vast literature, primary and secondary, by and about Freud and his followers. --P221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동시대인에게 아버지의 형상이 되었다. 그의 사유의 뿌리를 추적하는 것은 그의 의식을 밝혀내는 것이고, 그를 비판하는 일은 부친을 살해하는 것이다. 자기 지식으로의 긴 여정은 프로이트와 그의 추종들에 의한 1차적이고 2차적인 방대한 문헌에 의해 도움 받으며 동시에 방해도 받았다.

Until the late eighteenth century, Hungary had been governed in Latin. The nobility spoke French or German in addition to Latin, leaving peasants and servants to converse in Magyar. In may, 1784, Joseph Ⅱsubstituted German for Latin as the language of administration. --P345

18세기 말까지 헝가리의 관용어는 라틴어였다. 귀족들은 라틴어 이외에 프랑스어나 독일어를 사용했고, 헝가리어는 농부나 하인들이 사용했다. 요제프2세는 1784년 관용어인 라틴어를 독일어로 대체했다.

In philosophy, logical positivism and linguistic analysis spread from Vienna to every English-speaking university. Brentano opened new perspectives in epistemology. psychology, and ethics, while Husserl’s phenomenology has become a discipline into itself. In legal theory, Kelsen’s positivism reformulated problems of his field, while in economic theory, Menger and his students collaborated in founding marginal analysis. In social theory, Lukacs and Mannhein instituted the discipline that the latter called sociology of knowledge. --P400

철학에 있어서 논리적 실증주의와 언어분석은 빈으로부터 모든 영어권 대학들로 파급되었다. 브렌타노는 인식론, 심리학, 윤리학에 새로운 관점을 연 반면에, 후설의 현상학은 독자적인 학파를 형성했다. 법이론에 있어서 켈젠의 실증주의는 그 영역의 문제들을 새롭게 만들었고, 경제이론에 있어서 멩거와 그 제자들은 한계이용분석을 정립하는 데 협력했으며. 사회이론에 있어서 루카치와 만하임은 지식사회학이라 명명한 분야를 도입했다.

For twenty years, no country has produced a philosopher or social theorist to rival in innovative power Freud, Husserl, Wittgenstein, Kelsen, or Neurath. Although, all things considered, most Europeans and Americans may be better off than were their ancestors fifty years ago, anyone who has savored Austrian creative thought must find its loss irreparable. --P401

지난 20여 년 동안 혁신적 영향력에 있어서 프로이트, 후설, 비트겐슈타인, 켈젠, 또는 노이라트에 필적할 만한 철학자나 사회이론가를 배출한 나라는 없다.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오늘날 대부분 유럽인과 미국인은 50년 전 그들의 조상보다 더 좋은 상황이지만 오스트리아의 창조적 사고를 음미할 사람이라면 누구나 오스트리아의 소멸을 되돌이킬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 <The Habsburg Empire A New History(새로운 합스부르크 제국사, 2018)>

이탈리아 피렌체에 있는 EUI에서 19세기와 20세기 역사학 교수인 Pieter M. Judson(피터 저드슨, 1966~ )은 본서를 통해 합스부르크 제국이 18세기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통일된 제국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From 1804 to 1867 the state was known as the Austrian Empire. After the settlement of 1867 the new dual monarchy was called Austrian-Hungary. --Pix

1804년부터 1867년까지 이 국가는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알려졌다. 1867년 대타협 이후로 새로운 이중 왕조(王朝)는 오스트리아-헝가리로 불렸다.

Central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new empire were critical to project great power status and effectively withstand the military attacks of its many enemi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is Habsburg state—like other developing states in Europe —had to capable of inspiring an emotional attachment among its peoples by encouraging them to link their individual or group interests to imperial interests. --P5

새로운 제국의 중앙집권화와 통일은 강대국 지위를 계획하고 많은 적들의 군사공격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 데 중요했다. 그러나 동시에 유럽의 다른 개발도상국과 마찬가지로 합스부르크가 제국은 개인 또는 집단의 이익을 제국의 이익과 연결하도록 장려하여 국민들 사이에 정서적 애착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했다.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the Habsburg extended the promise of legal civic equality to men and women of all social classes in the various law codes it proclaimed, culminating with the Civil Code of 1811 that applied to much of the empire. --P7

19세기 초에 합스부르크 제국은 공표한 다양한 법전을 통해 모든 사회계층의 남성과 여성에게 법적인 시민평등의 약속을 확대했으며, 제국의 대부분에 적용되는 1811년 민법을 제정하며 절정에 달했다.

The reform of primary, secondary, and university educational systems across the empire in the 1850s also reinforced the potential benefits a unified empire could bring to several populations. --P8

1850년대에 제국 전역에 걸친 초등·중등 및 대학 교육시스템의 개혁은 또한 통일된 제국이 여러 인구들에게 가져올 수 있는 잠재적인 혜택을 강화했다.

Following Rudolf’s death in 1291, it was not until 1452 that another Habsburg, Frederick III(1415~1493) was elected Holy Roman emperor. During his lifetime Frederick managed to have his son Maximilian I(1459~1519) elected his successor as emperor, establishing a practice that kept the imperial title in the family(with only one short exception in the eighteenth century) until the dissolution of the Holy Roman Empire 1806. --P21

1291년에 루돌프1세가 죽고 나서 1452년이 되어서야 또 다른 합스부르크 제국의 프리드리히 3세(1415~1493)가 신성로마 황제로 선출되었다. 프리드리히3세는 그의 생애 동안 그의 아들 막시밀리안1세(1459~1519)가 그의 후계자 황제로 선출하도록 하여 1806년 신성로마제국이 해체될 때까지(18세기에 단 한 번의 짧은 예외를 제외하고) 황제 칭호를 유지하는 관행을 확립했다.

From this small territory the first Habsburg to achieve political fame, Count Rudolf IV(1218—1291), was elected German king and Holy Roman emperor in 1273. At the time—and until its collapse in 1806—the Holy Roman Empire was a loose confederation of large and small sovereign political state, stretching from the Italian peninsula in the south to Jutland in the north, and from contemporary France in the west to today’s Poland in the east. --P20

이 작은 영토에서 정치적 명성을 얻은 최초의 합스부르크가인 루돌프4세 백작(1218-1291)은 1273년 독일 왕과 신성로마 황제로 선출되었다. 이때부터 1806년의 멸망까지 신성로마제국은 남쪽으로는 이탈리아반도에서 북쪽으로는 유틀란트 지방, 서쪽으로는 현대 프랑스에서, 동쪽으로는 오늘날의 폴란드까지 뻗어 있는 크고 작은 정치적 주권국가의 연합체였다.

Eventually, their conquest of Hungary gave the Habsburgs an opportunity to redraw somewhat the constitutional balance of power between themselves and Hungary’s powerful nobility. In 1687, in recognition of Habsburg efforts to liberal Hungary, the diet conceded to the Habsburgs a hereditary right of succession to the throne. --P42

결국에 합스부르크 제국의 헝가리 정복은 합스부르크와 강력한 헝가리 귀족 사이에 헌법적 힘의 균형을 다시 그리는 기회를 제공했다. 1687년에 헝가리를 자유화하려는 합스부르크의 노력을 인정하여 의회는 합스부르크 왕가에 왕위계승에 대한 세습권을 인정했다.

The vision of what the Habsburg state might be, however, remained alive in several parts of society. Among the peasantry, especially Galicia, the Habsburg state still symbolized hope for full emancipation from the depredations of the landed estate owner and his administration. --P154

그러나 합스부르크 국가가 하려고 한 미래상은 사회의 여러 부분에 생생하게 남아 있었다. 특히 갈리치아 소작농 사이에 합스부르크 국가는 토지 소유주와 그의 행정적 약탈로부터 완전한 해방에 대한 희망을 상징했다.

The Habsburgs no longer ruled in Central Europe. Their empire was the first of the great continental empires to vanish from the map of Europe, its territory taken over by three new states(Czechoslovakia, Poland, Yugoslavia) and four existing states(Austria,Hungary, Italy, and Romania), all of which saw themselves as nation-states. --P442

합스부르크 왕가는 더 이상 중부 유럽을 통치하지 않았다. 그들의 제국은 유럽 지도에서 사라진 최초의 가장 큰 제국이었으며, 그 영토는 3개의 새로운 국가(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유고슬라비아)와 4개의 기존 국가(오스트리아, 헝가리, 이탈리아, 루마니아)에 의해 점령되었다. 그들은 모두 자신을 민족국가로 보았다.

◆ 합스부르크 제국의 영향은 아직도 살아있다

유럽을 650년 지배한 합스부르크 제국의 멸망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큰 요인은 근친혼으로 인한 유전병으로 황제의 후계자에 대한 불안정, 그리고 여러 민족의 느슨한 연합체로 유지되어 18세기부터 일어난 민족주의에 대한 적절한 대응의 실패로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합스부르크 제국에 대한 독일과 이탈리아의 분쟁은 새로운 민족주의 논의를 가능케 했고, 결국 전쟁으로 이어진다. 제1차 세계대전에 독일과 연합하여 패전하고 7개국으로 분할되며 완전한 해체를 초래했다.

합스부르크 제국이 배출한 기라성 같은 인재들은 20세기에 두각을 나타내어 세계에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프로이트와 아들러 등의 심리학, 라이프니츠, 후설, 슐릭, 노이라이트, 비트켄슈타인, 칼 포퍼 등 철학, 루카치, 곰브리치, 하우저의 문학, 켈젠, 예링, 에를리히의 법학, 멩거, 미제스, 슘페터, 하이에크 등 경제학, 부버, 만하임의 사회학, 클림트, 실레의 미술, 모자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슈트라우스, 말리, 쉰베르크. 브루크너, 몰프 등의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엄청난 인재를 배출하여 오스트리아 학파를 형성한 것이다.

합스부르크 제국은 예술인을 후원하고 예술품을 모아 빈 박물관에 보관하였다. 수많은 걸작품이 지금도 세계인의 관심을 받고 있다. 다민족과 다문화를 아울러서 통합을 지향한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싹튼 다양하고 혁신적이며 자유로운 사상과 예술사조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다양한 변종을 만들어 내며 진화해 오고 있다. 21세기가 추구해야 할 문화적 지표로서 합스부르크 제국의 통합과 융합 사상은 이질적이면서 폭넓고 깊은 문화를 배양하는 토양이라고 생각된다. 합스부르크의 정신은 살아 쉼 쉬며 오늘날 현대인에게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