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은 23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기후환경, AI, 지식과 미래를 잇는 도서관’을 주제로 ‘2025 경기도서관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했다.

25일 개관하는 경기도서관을 기념해 마련된 행사에는 국내외 도서관 전문가, 학계 인사, 활동가, 도민 등 약 300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에 대응하는 도서관의 새로운 역할과 비전을 모색했다.

개막 리더스 포럼에서는 배우이자 기후 운동가 박진희, 이진형 데이터마케팅코리아 대표, 백은별 작가가 참여해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지식 플랫폼’으로서 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했다.

이어 기조강연에서 최재천 이화여대 교수(생명다양성재단 대표)는 “도서관이야말로 시민이 기후위기를 이해하고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열린 공간”이라고 강조했으며, 테 파에야 파링아타이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 차기 회장은 “지식 접근의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은 미래 도서관의 핵심 가치”라고 말했다.

오후 세션에서는 ‘기후·환경 도서관 실천: 공간, 운영, 기술’, ‘미래사회의 기술변화와 도서관의 대응’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국내외 사례를 공유하며 AI 시대의 독서력, 인간과 기술의 공존, 지속가능한 도서관 운영 전략 등을 폭넓게 논의했다.

오후석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장은 “이번 국제컨퍼런스는 단순한 학술 행사를 넘어, ‘사람·AI·지구가 공존하는 미래 도서관’의 비전을 제시한 자리”라며 “경기도서관이 국내외 도서관 네트워크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지속가능한 지식공동체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5 경기도서관 국제컨퍼런스 현장 스케치와 관련 상세 자료는 공식 누리집(2025glic.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