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중세는 암흑시대가 아니었다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8.22 09:39 의견 0

Of all the features of that wonderful human structure, the Roman Empire, the most striking, and also the most essential, was its Mediterranean character. Although in the East it was Greek, and in the West, Latin, its Mediterranean character gave it a unity which impressed itself upon the provinces as a whole. --Henri Pirenne, Mohammed and Charlemagne, P17

인간이 빚어낸 경이로운 구조물인 로마제국의 모든 특성 가운데 가장 강렬하면서 또한 가장 본질적인 것이 ‘지중해성’이다. 동쪽의 그리스 문화권과 서쪽의 라틴 문화권으로 갈라지지만, 지중해에 속한다는 그 특성이 제국의 모든 주(province)들을 하나의 통일성으로 묶어주었다. --알리 피렌느 <모하메드와 샤를마뉴> 중에서

학창시절에 중세는 ‘암흑시대’라고 배웠다. 아주 잘못 배운 것이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증세는 끝없는 공포와 종교에 대한 광신주의, 이교에 대한 편협성, 그리고 만연했던 역병과 빈곤 및 대량 학살로 인해 문화적이고 물질적으로 쇠퇴한 시대로 떠올릴 수 있다. 중세에 대한 왜곡된 논리와 편견을 집대성했던 19세기 독일 역사가들의 견해가 일본의 역사가들에게 수용되었다.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암흑의 시대’라는 표현이 우리나라의 교과서에까지 실리면서 중세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중세는 어느 시기 못지않게 사회가 살아 숨 쉬며 역동적으로 발달하여 찬란한 문화를 이룩한 시기였다. 중세는 ‘대조’의 시대였다. 빈자와 부자, 도시와 시골, 빛과 어둠과 같이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것들이 공존했고, 중세는 그 두 극단을 오가면서 역사를 만들어갔다. 이동과 침입이 끝나고, 이슬람 세력의 팽창이 주춤해져 유럽은 안정기에 들어서면서 이후 13세기까지 부흥기를 맞이한다. 중세는 르네상스와 계몽주의를 잉태하여 근세에게 문을 열어준 시대였다.

◆ <The Autumn of The Middle Ages(중세의 가을, 1919)>

_중세는 문명이 완숙한 단계에 오른 가을이었다

네덜란드 역사학자 요한 하위징아(1872~1945)는 이 책에서 중세가 전성기를 지나 노쇠해지고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단계인 14~15세기를 ‘가을’이라고 규정했다. 전성기를 지나 쇠락해가는 시대라는 의미와, 르네상스를 거쳐 ‘근대로 나아가는 시대’라는 의미로 ‘가을’인 것이다.

Just as the contrast between summer and winter was stronger then than in our present lives, so was the difference between light and dark, quiet and noise. The modern city hardly knows pure darkness or true silence anymore, nor does it know the effect of a single small light or that of a lonely distant shout. --P2
중세에는 여름과 겨울의 대비가 지금보다 훨씬 더 강력했던 것처럼 빛과 어둠, 정적과 소음의 차이도 아주 강했다. 현대의 도시는 그와 같은 순수한 어둠과 진정한 정적을 더 이상 알지 못하며, 단 하나의 자그마한 불빛이나 먼 곳에서 소리치는 외로운 고함소리의 효과를 알지 못한다.

The period of genuine feudality and the flourishing of knighthood ended during the thirteenth century. What follows is the urban-princely period of the medieval era, during which the dominant factors in state and society are the commercial power of the bourgeoisie and, based on it, the monetary powers of the princes. --P61

진정한 봉건주의의 시대와 기사도의 번영은 13세기 중에 끝났다. 그 후에는 중세의 도시적·군주적 시대가 도래했고, 이 시대 동안 국가와 사회의 지배적 요인은 부르주아의 상업적 힘이었으며, 그 힘을 바탕으로 한 군주들의 화폐 권력이었다.

Ecclesiastical thought of the late Middle Ages knew only two extremes: the lament over perishability, over the end of power, glory, and joy, over the decay of beauty, and, on the other hand, jubilation over the saved soul in its state of bliss. --P172

중세 후기의 교회 사상은 두 가지 극단만 알고 있었다. 하나는 사라져 없어짐과 권력, 영광, 즐거움의 종말, 아름다움의 부패에 대한 탄식이고, 다른 하나는 축복의 상태에서 구제된 영혼의 환희이다.

The life of medieval Christendom is permeated in all aspects by religious images. There is nothing and no action that not put in a religious understanding of all things in a tremendous outpouring of faith. --P174

중세 기독교권의 생활은 모든 면에서 종교적 이미지가 스며들어 있었다. 그리스도와 신앙과 관계를 맺지 않는 사물이나 행위는 없었다. 믿음의 엄청난 믿음의 분출로 모든 것을 종교적으로 이해를 하지 않는 행동과 사항은 없었다.

Religious emotions always tended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lively images. The mentality of the time believed it had come to understand a mystery once it had placed it before its eyes. Therefore, this need to worship the inexpressible through visible signs resulted in the constant creation of new images. --P234

중세 사람들은 늘 종교적 감동을 생동감 있는 이미지로 바꾸려던 경향이 있었다. 중세의 정신력은 신비를 눈으로 목격해야만 비로소 이해하게 된다고 믿었다. 그리하여 가시적 표상을 통해 형언할 수 없는 것을 숭배하려고 이러한 욕구는 끊임없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Art was still integral part of life during that age. Life was shaped by strong forms and held together and measured by the sacraments of the church, the annual sequence of festivals, and the divisions of the day. The labors and joys of life all had their fixed forms: religion, knighthood, and courtly Minne provided the most important of these forms. Art had the task of embellishing the forms in which life was lived with beauty. --P296

예술은 중세 동안에 삶에서 여전히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삶은 강력한 형식에 의해 형성되고 교회의 성체성사, 일련의 연례축제, 하루의 시간 구분에 따라 사람들은 함께 모이고 규정되었다. 모든 삶의 노동과 기쁨은 일정한 형식을 가졌다. 중교, 기사도, 궁정연애도 이런 형식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었다. 예술은 삶이 아름다움과 함께 살아가는 형식을 장식하는 임무를 맡았다.

The Renaissance only arrives when the “tone of life” is changing, when ebb tide of the deadly denial of life has given way to a new flood and a stiff, fresh breeze is blowing: it arrives only when the joyful insight(or was it an illusion?) has ripened that all the glories of the ancient world, of which for so long men had seen themselves the reflection, could be reclaimed. --P396

르네상스는 ‘삶의 가락’이 바뀔 때, 치명적인 삶의 부정의 썰물이 새로운 밀물에 길을 내주면서 상쾌한 산들바람이 불기 시작할 때만 찾아온다. 르네상스는 즐거운 통찰(혹은 환상?)이 무르익어서 그토록 오랫동안 사람이 스스로 반추해 온 고대의 영광을 재생할 수 있을 때만 도래한다.

◆ <Medieval Cities(중세도시, 1939)>

_중세도시의 공기가 자유를 만들었다

벨기에 출신의 프랑스 아날학파의 거장인 역사학자 앙리 피렌느(1862~1935)가 1916년 3월 독일 점령군에 체포되어 1918년 11월 1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32개월간 독일의 몇 개 수용소를 전전하는 동안 집필한 책이다. 저자는 중세도시는 봉건적 질서에 얽매인 주변의 농촌과는 완전히 다른 세계였고, 왕이나 영주들의 간섭을 받지 않는 상인들을 중심으로 하는 자율적인 공동체라고 주장한다.

But now, all of a sudden, the very lands where civilization had been born were torn away; the Cult of the Prophet was substituted for the Christian Faith, Moslem law for Roman Law, the Arab tongue for the Greek and the Latin tongue. --P25

그러나 이제 갑자기 문명이 탄생했던 바로 그 지역은 산산이 갈라져버렸다. 기독교 신앙은 예언자 마호메트의 숭배로, 로마법은 이슬람법으로, 그리스어와 라틴어는 아랍어로 대체되었다.

The Mediterranean had been a Roman lake; it now became, for the most part, a Moslem lake. From this time on it separated, instead of uniting, the East and the West of Europe. The tie which was still binding the Byzantine Empire to the Germanic kingdom of the West was broken. --P25

지중해는 로마의 호수였으나 이제 지중해는 대부분 모슬렘의 호수가 되어버렸다. 이때부터 지중해는 유럽의 동부와 서부를 통합하는 대신에 분리시켰다. 동부의 비잔틴 제국과 서부의 게르만 왕국들을 연결시켜 주던 유대는 단절되었다.

By the tenth century the activity of the port had already attained extraordinary proportions. And with the extension of trade, the love of gain became irresistible. No scruple had any weight with the Venetians. Their religion was a religion of business men. It mattered little to them that the Moslems were the enemies of Christ, if business with them was profitable. --P86

10세기에 이르면 베니스 항구의 활동은 이미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무역의 확대와 더불어 이득욕구도 강력해졌다. 베니스인들은 이득을 위해서는 어떠한 양심도 꺼리지 않았다. 그들의 종교는 사업가의 종교였다, 이슬람교도와 교역이 이윤이 많다면 베니스인들에게 이슬람교도가 종교적으로 그리스도의 적이라는 것은 전혀 중요치 않았다.

The cities of the Middle Ages present a very different picture. Commerce and industry made them what they were. They did not cease to grow under that influence. At no era in history is there so marked a contrast as that which their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country. Neverbefore had there existed, it seems, a class of men so specifically and strictly urban as was the medieval bourgeoisie. --P132

중세도시는 매우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상업과 산업은 중세도시의 모습을 형성했다. 중세도시는 상업과 산업의 영향 하에서 성장을 멈추지 않았다. 역사상 그 어느 시대에도 중세처럼 도시의 사회경제적 조직이 농촌의 사회경제적 조직과 그렇게 대조를 보인 적이 없었다. 중세 이전에는 중세 부르주아지처럼 그렇게 구체적이고 엄격하게 도시적인 계층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 같다.

The city of the Middle Ages, as it existed in the twelfth century, was a commercial and industrial commune living in the shelter of a fortified enclosure and enjoying a law, as administration and a jurisprudence of exception which made of it a collective, privileged personality. --P212

12세기에 존재했던 중세도시는 상업적이고 산업적 공동체이며, 요새화된 성벽의 보호에서 생활하고, 집단적이고 특권적인 성격을 만든 예외의 사법과 행정으로서 법을 향유했다.

Upon closer inspection, however, it does not take long to discover that city life really did make its own contribution to the moral capital of the Middle Ages. To be sure, its intellectual culture was dominated by practical considerations which before the period of the Renaissance, kept in from putting forth any independent effort. --P231

그러나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시생활이 실제로 중세의 정신적 자산에 기여했음을 발견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확실히 중세도시의 지적 문화는 르네상스 시대 이전까지는 어떤 독립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 실용적인 고려에 의해 지배되었다.

Both lay and mystic at the same time, the burghers of the Middle Ages were thus singularly well prepared for the role which they were to play in the two great future movements of ideas: the Renaissance, the child of the lay mind, and the Reformation, toward which religious mysticism was leading. --P234

세속적이면서 동시에 신비주의적이었던 중세 부르주아지는 미래의 두 사상운동, 즉 세속정신의 자식인 르네상스와 종교적 신비주의가 인도한 종교개혁에서 그들이 행할 역할을 특별히 준비하고 있었다.

◆ <The Middle Ages(중세, 2015)>

_중세는 혁신과 격동의 시대였다

Johannes Fried(조하네스 프리드, 1942~ )는 독일 출신의 역사학자로 중세사 전문가이다. 저자는 본서를 통해 서기 500년에서 1500년 사이의 1000년에 걸쳐 정치, 사회, 종교, 경제, 과학 발전을 살펴보고 중세가 혁신과 격동의 시대이며, 지식의 활발한 확장이 이루어진 시대라고 설명한다.

This event truly did herald a turning point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In its aftermath, Europeans began systematically to explore the entire Earth, to investigate its peoples and their ways of life, and to plumb its manifold riches. --P286

십자군전쟁이란 사건은 진정으로 세계화 과정의 전환점을 예고했다. 그 여파로 유럽인들은 지구 전체를 체계적으로 탐험하고, 그 민족과 그들의 생활방식을 조사하고, 다양한 부를 조사하기 시작했다.

As the Mongol advanced into Europe, scholars were obliged as it were, to rediscover the Earth, task that they approached, rationally and systematically, with great curiosity, with the advantage of thoroughgoing scholastic education, and with admirable tenacity. --P 350

1240~1242년의 몽골 침략으로 몽골이 유럽으로 진출함에 따라 학자들은 철저한 학문적 교육의 이점과 놀라운 집요함과 큰 호기심을 가지고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한 과제인 지구를 재발견할 수밖에 없었다.

This Middle Ages was eminently creative. It discovered and trod the path into the wider world, and in so doing became the springboard from which the world advanced to the modern era. --P526

이 중세시대는 매우 창의적이었다. 더 넓은 세상으로 가는 길을 발견하고 개척함으로써 세계가 근대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었다.

◆ 중세는 역동적이며 창조적이고 격변하는 시대였다

역사학계의 일반적 견해에 따라 5~15세기까지를 중세로 보나 역사학자 피렌느는 유럽의 중세가 8세기에야 시작되었다고 본다. 피렌느의 관점을 둘러싼 논란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중세는 전반적으로 종교가 모든 일상을 지배한 시기였다. 이슬람의 확장에 대한 대항으로 십자군전쟁이 일어나 동서의 문화교류도 있었고, 커피 등 아랍문화가 유럽에 확장되었다. 그리스도 교리가 지배하여 고대의 철학이 신학의 시녀로도 전락했으나 중세는 서구 학문의 요람인 대학이 발전하고, 고대철학을 계승한 스콜라 철학이 기독교의 교리를 이론적으로 증명하려는 신앙과 인간 이성의 조화를 목표로 삼았다. 또한 로마 문화와 게르만 문화가 융합되어 새로운 문화를 이룩하기도 했다.

중세도시는 왕이나 영주들의 간섭을 받지 않고 상인들을 중심으로 하는 자율적인 공동체였다. 부를 축적한 일부 상인 가문은 이익을 넘어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 예술가를 후원했다. 중세도시와 평민들은 금전적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봉건군주들로부터 자유를 얻어냈으며, 이런 토대 위에서 근대의 여명기인 르네상스를 맞이할 수 있었다.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Sapiens(사피엔스)>를 통해 인류는 인지혁명, 농업혁명, 과학혁명을 거쳤으나 인간의 유전자인 감정과 욕구의 DNA는 진화하지 않았기 때문에 옛날이나 지금이나 인류가 살아가는 방식은 비슷하다고 했다. 이처럼 중세는 과거나 현세의 사람들과 다름없는 생활을 하였으며, 결코 근대의 계몽주의를 강조하기 위해 창안한 ‘암흑시대’ 중세는 존재하지 않았다. 결국 중세시대는 겨울이 아니라 분명히 저물어 가지만 마지막으로 그 아름다운 붉은 노을을 남기는 가을처럼 아름다운 시대였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