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철학을 공부해야 할 이유와 목적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9.19 09:00 | 최종 수정 2022.09.19 17:45 의견 0

Philosophy, as I shall understand the word, is something intermediate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Like theology, it consists of speculations on matters as to which definite knowledge has, so far, been unascertainable; but like science, it appeals to human reason rather than to authority, whether that of tradition or that of revelation. All definite knowledge—so I should contend—belongs to science; all dogma as to what surpasses definite knowledge belongs to theology; But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there is No Man’s Land, exposed to attack from both sides; this No Man’s Land is philosophy. --Bertrand Russell,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Pxiii

내가 이해하려는 철학은 신학과 과학의 중간에 있는 학문이다. 철학은 신학과 마찬가지로 명확한 지식으로 규정하거나 확정하기 힘든 문제와 씨름하는 사변적인 측면을 포함한다. 그러나 철학은 과학과 마찬가지로 전통을 따르든 계시를 따르든 권위보다는 인간의 이성에 호소한다. 모든 명확한 지식은—내가 주장해야 하는—과학에 속하는 반면에 명확한 지식을 초월한 모든 교리는 신학에 속한다. 신학과 과학 사이에 자리 잡고 양측의 공격에 노출되어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 무인(無人) 지대가 바로 철학의 세계이다. --버트란트 러셀 <서양철학사> 중에서

철학은 세계와 인간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문제들을 이성적으로 탐구하여 인생을 살아가는 방식을 제공해주는 학문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서양철학은 그리스시대부터 과학과 구분이 되지 않았고,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적으로 다루며 분화하여 왔다. 지금도 철학은 비판철학(인식론, 논리학 등)과 사변적 철학(형이상학, 존재론, 우주론, 가치론 등)으로 구분되며 시대에 따라 고대철학, 중세철학, 근대철학, 현대철학으로 나누기도 한다. 철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는 사유과정을 익히고 확장하기 위해서이다. 사유과정을 통해 비판적이고 추론적인 사고를 형성하고, 사물을 정확히 인식하여 올바른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 <The Problems of Philosophy(철학의 문제들, 1912)>

영국에서 500년 만에 나왔다는 천재이자 철학자이고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Bertrand Russell(버트란트 러셀, 1872~1970)은 또한 수학자, 문학가이며 행동하는 지성의 상징이었다. <서양철학사>, <수학원리>, <행복의 정복> 등 수많은 저서가 있다. 본서는 오랜 세월에 걸쳐 철학자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논의되었던 문제들과 인간이 지니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해 해답을 제시한다.

Philosophy, if it cannot answer so many questions as we could wish, has at least the power of asking questions which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world, and show the strangeness and wonder lying just below the surface even in the commonest things of daily life. --P11

​철학은 우리가 원하는 만큼 많은 문제에 해답을 줄 수 없지만 최소한 세상의 관심을 증가시키며, 일상에서 가장 흔한 사물도 표면에는 경이와 기이함을 보여주는 문제를 제기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Philosophy, like all other studies, aims primarily at knowledge, The knowledge it aims at is the kind of knowledge which gives unity and system to the body of sciences, and the kind which results from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grounds of our convictions, prejudices, and beliefs. --P108

철학은 다른 모든 연구와 마찬가지로 우선 지식을 목적으로 한다. 철학이 목적으로 하는 지식은 여러 과학 체제에 통일성과 체계를 주는 지식이다. 이는 우리들의 확신, 편견, 신념 등의 근거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생기는 지식이다.

The value of philosophy is, in fact, to be sought largely in its very uncertainty. The man who has no tincture of philosophy goes through life imprisoned in the prejudices derived from common sense, from the habitual beliefs of his age or his nation, and from convictions which have grown up in his mind without the co-operation or consent of his deliberate reason. To such a man the world tends to become definite, finite, obvious. --P109

철학의 가치는 사실상 그 불확실성 속에서 대부분 찾게 된다. 철학의 기미가 조금도 없는 사람은 상식, 그 시대나 그 나라의 관습적인 믿음들, 신중한 이성의 작용이나 생각이 없이 그의 마음속에서만 생겨난 확신들로부터 파생된 편견 속에 갇혀 일생을 보낸다. 이러한 사람에게는 온 세계가 단정적이고 유한하며 분명하게 되는 것 같다.

Philosophy is to be studied, not for the sake of any definite answers to its questions, since no definite answers can, as a rule, be known to be true, but rather for the sake of the questions themselves; --P112

철학은 어떠한 단정적인 해답들도 원칙적으로 참이라고 인식될 수 없기 때문에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어떤 확정적인 해답을 찾기 위해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철학은 문제 자체를 찾기 위해 탐구한다.

But above all because, though the greatness of the universe which philosophy contemplates, the mind also is rendered great, and becomes capable of that union with the universe which constitutes its highest good. --P112

그러나 무엇보다도 철학을 탐구해야 하는 주된 이유는 철학이 관조하는 우주의 위대성에 의해 정신도 역시 위대하게 되며, 우주와의 결합도 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결합이야말로 정신의 최고선을 구축한다.

◆ <The Story of Philosophy(철학 이야기, 1926)>

Will Durant(윌 듀란트, 1885~1981)는 20세기를 대표하는 미국의 문명사학자이자 철학자이다. 1926년 발간한 <The Story of Philosophy(철학 이야기)>가 철학을 대중화 시키는 데 기여한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고, 경제적인 성공 또한 안겨주었다. 그 이후 대학교수를 그만두고 저작에만 몰두하여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11권의 <문명이야기>로 1968년 플리쳐상을 받았다. 본서는 철학사가 아니며, 유명 철학자 10여 사람을 소개하고 있다.

Science is analytical description, philosophy is synthetic interpretation, Science wishes to resolve the whole into parts, the organism into organs, the obscure into know. It does not inquire into the values and ideal possibilities of things, nor into their total and final significance. --Pxxvii

과학은 분석적 묘사이고, 철학은 종합적 해석이다. 과학은 전체를 부분으로, 유기체를 기관으로, 모호한 것을 아는 것으로 해체하기를 바란다. 과학은 사물의 가치나 이성적 가능성을 묻지 않으며, 전체적이고 최종적인 의미도 묻지 않는다.

The philosopher is not content to describe the fact; he wishes to ascertain its relation to experience in general, and thereby to get at its meaning and its worth, Pxxvii

철학자는 사실을 묘사하는 데 만족하지 않는다. 그는 일반적으로 경험과의 관계를 확인하기를 원하며, 그러므로 그 의미와 가치에 이르고 싶어 한다.

To observe processes and to construct means is science; to criticize and coordinate ends is philosophy. --Pxxvii

과정을 관찰하고 수단을 구축하는 것은 과학이다. 목적을 비판하고 조정하는 것은 철학이다.

Science gives us knowledge, but only philosophy can give us wisdom. --Pxxvii

과학은 우리에게 지식을 주지만 철학만이 지혜를 줄 수 있다.

Specifically, philosophy means and includes five field of study and discourse: logic, esthetics, ethics, politics, and metaphysics. --Pxxvii

구체적으로 철학은 다섯 가지 연구와 담론의 분야, 즉 논리학, 미학, 윤리학, 정치학, 형이상학을 포함하고 의미한다.

◆ <What is Philosophy?(철학이란 무엇인가?, 1996)>

프랑스 출신의 Gilles Deleuze(질 돌뢰즈, 1925~1995)는 소르본느대학 등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실존주의를 비판하고 헤겔적 마르크스주의와 구조주의에 도전했다. ‘철학자 중의 철학자’, ‘20세기 형이상학의 완성자’ 등의 평가를 받았다. 저자는 본서에서 ‘철학은 개념의 창조’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The philosopher is the concept's friend; he is potentiality of the concept. That is, philosophy is not a simple art of forming, inventing, or fabricating concepts, because concepts are not necessarily forms, discoveries, or products. More rigorously, philosophy is the discipline that involves creating concepts. --P5

철학자는 개념의 친구이며 개념의 가능성이다. 즉, 철학은 형성하고 고안하거나 만들어내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왜냐하면 개념은 형식들, 고안물 혹은 생산물이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좀 더 엄밀히 말하면 철학은 개념들을 창출해내는 학문이다.

The object of philosophy is to create concepts that are always new. Because the concept must be created, it refers back to the philosopher as the one who has it potentially, or who has its power and competence.--P5

철학의 목표는 언제나 새로운 개념들을 창조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개념은 잠재적으로 갖고자 하는 자 또는 개념의 힘과 권한을 소유하는 자로서 철학자에게 되돌려지도록 창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It is not contemplation, for contemplations are things themselves as seen in the creation of their specific concepts. It is not reflection, because no one needs philosophy to reflect on anything. --P6

철학은 관조가 아니다. 왜냐하면 관조란 자기 고유의 개념들의 창조 속에서 보여지는 사물들 자체이기 때문이다. 철학은 반성도 아니다. 아무도 무엇에 대해서 반성하는 철학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Philosophy does not contemplate, reflect, or communicate, although it must create concepts for these actions or passions. --P6

철학은 관조도 반성도 소통도 하지 않는다. 비록 철학이 이러한 행위들이나 열정들을 위한 개념들을 창조해야만 하더라도 말이다.

The concept speaks the event, not the essence or the thing—pure Event, a hecceity, an entity. --P22

개념은 본질이나 사물이 아니라 사건을 말한다. 그것은 순수한 사건, 본체이다.

When Foucault admires Kant for posing the problem of philosophy in relation not to the eternal but to the New, he means that the object of philosophy is not to contemplate the eternal or reflect history but to diagnose our actual becomings. --P112

푸코가 영원성과의 관계가 아니라 지금과 관련하여 철학의 문제를 제기한 칸트를 존경할 때 푸코는 철학의 목적이 영원성을 관조하거나 역사를 반성하는 것이 아니라 현행적 생성들을 진단하는 데 있음을 의미한다.

The three thoughts intersect and intertwine but without synthesis or identification. With its concepts, philosophy brings forth events. Art erects monuments with its sensations. Science constructs states of affairs with its functions. --P199

세 가지 사유들은 종합이나 동일화 없이도 서로 교차하고 얽힌다. 철학은 개념을 통해 사건을 발현시키고, 예술은 감각으로 기념비를 세우며, 과학은 기능들에 의해서 사물의 상태를 구축한다.

Philosophy needs a nonphilosophy that comprehends it; it needs a nonphilosophical comprehension just as art needs nonart and science needs nonscience. --P218

철학은 그것을 이해하는 비철학이 필요하다. 예술이 비예술을 필요로 하고, 과학이 비과학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 철학은 비철학적 이해를 필요로 한다.

It is here that concepts, sensations, and functions become undecidable, at the same time as philosophy, art, science become indiscernible, as if they shared the same shadow that extends itself across their different nature and constantly accompanies them. --P218

여기에서 개념들, 감각들, 기능들을 결정할 수 없는 상태가 되고, 동시에 철학, 예술, 과학은 식별이 안 된다. 마치 철학, 예술, 과학은 서로 다른 본질을 통해 연장되면서 끊임없이 그들과 동행하는 동일한 그림자를 공유하는 것 같다.

◆ 철학은 최고의 학문으로 인간을 성숙시키는 역할을 한다

히말라야 설산에 사는 토끼가 평지의 코끼리보다 자신이 크다고 생각(마르크스주의 철학자 루카치)하는 착각에 빠지지 않도록 항상 성찰을 하며 살아가야 하는 것이 철학이 가르쳐 주는 삶의 방식이다. 철학은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장이(독일 철학자 칸트)처럼 항상 더 높이 더 멀리 보기 위해서 사유해야 하는 것을 가르쳐 준다. 역사를 공부하여 과거와 현재를 돌아보고 미래를 개척해 나가고, 문학을 통해 삶의 교훈을 얻는 것처럼 인간의 본질과 진리에 접근하기 위해 철학을 공부하는 것이다.

철학은 시대의 문제와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지혜로운 사람들이 끊임없이 사유하고 고뇌하며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따라서 시대를 대표하는 여러 철학자들의 텍스트(원전)를 읽는 것도 필요하며, 특히 철학사를 공부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철학은 인생과 우주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이며, 이를 통해 지혜가 나온다. 철학을 공부하면 사유의 폭이 넓어지고, 사물을 정확히 인식하기에 지혜롭게 되는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