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실크로드는 동서양을 연결하는 실핏줄이었다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10.10 01:10 | 최종 수정 2022.10.10 01:11 의견 0

Religion was not alone in contributing to the diversity of the Silk Road. Trade and the expansionist plans of the surrounding empires, who sent diplomats, officials and soldiers to carve out territory, also played their part. In the eighth century, Samarkand and Chang'an were enormous cities, far larger than any in Europe at the time, and their size and wealth derived from trade along the Silk Road. Indeed, in terms of both commerce and culture the Silk Road was then the centre of the world. --Susan Whitfield, Life along the silk Road, P22

실크로드의 다양성에 기여한 것은 비단 종교만이 아니었다. 교역과 영토를 개척하기 위해 사절과 관리와 군대를 보낸 주변 제국들의 팽창주의 정책도 실크로드의 다양성에 이바지했다. 8세기에 사마르칸트와 장안은 당시 유럽의 어느 도시보다도 훨씬 큰 거대한 도시였고, 이 도시들의 규모와 부는 실크로드를 통한 교역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상업과 문화라는 관점에서 당시 실크로드는 사실상 세계의 중심이었다. -수잔 홧필드 <실크로드에서의 삶> 중에서

실크로드(비단길)는 중국에서 사마르칸트까지 3,600Km와 로마까지 12,000Km를 연결하는 동서양의 문명과 문물 교류의 통로이자 소통의 길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크로드는 고대부터 부른 이름이 아니라 19세기에서 만들어진 개념이며, 고대에는 마을과 마을을 연결하는 가느다란 실핏줄 같은 길을 통해 동서양의 교역과 문화 교류가 가능했다.

실제로 중국 장안에서 로마나 인도까지 실크로드의 먼 거리를 걸어가며 장사한 사람은 없었다. 노새나 말 또는 낙타로 물건을 싣고 마을과 마을에서 교류된 물품이나 정보가 실크로드를 따라 먼 나라까지 전파된 것이다. 이것이 인류문명의 교류였다.

지금은 실크로드 노상에 있는 둔황, 호탄, 키질 석굴 등과 마을을 발굴하며 많은 고대의 유물이 출토되어 과거의 역사를 재현하게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많은 유물이 도굴로 인해 은밀히 거래되면서 제대로 된 역사를 복원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도 하다. 이처럼 인류로 하여금 태초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서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게 한 통로가 실크로드였다.

◆ <The Silk Road; A New History(실크로드; 새로운 역사, 2012)>

미국 출신의 예일대학교 역사학자 Valerie Hansen(발레리 한센, 1958~ ) 여사의 저술이다. 저자는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것은 ‘길’이 아닌 ‘오아시스’라고 강조한다. 실크로드는 사실상 오아시스 마을과 다른 오아시스 마을을 잇는 길의 개념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 같은 관점에서 실크로드 속에서 7개의 오아시스 도시(누란, 쿠차, 투르판, 사마르칸트, 장안, 돈황, 호탄)에서 일어난 주요한 사건을 살피고, 그곳에서 발견된 고문서나 그림 등 일상의 기록을 통해 실크로드의 역사를 조명한다.

Silk Road, in the sense that the “road” was not an actual “road” but a stretch of shifting, unmarked paths across massive expanses of deserts and mountains. In fact, the quantity of cargo transported along these treacherous routes was small. Yet the Silk Road actually transform cultures both east and west. --P5

실크로드의 ‘로드’는 실제 ‘길’이 아니다. 사실은 이동의 범위였고, 거대한 사막과 산맥을 가로지르는 이정표 없는 소롯길이었다. 사실상 이처럼 험난한 길을 따라 운송되었던 물품의 수량은 매우 적었다. 그러나 실크로드는 실제로 동양과 서양의 문명을 바꾸어 놓았다.

The terms “Silk Road” is a recent inventions. The peoples living along different trade routes did not use it. They referred to the route as the road to Smarakand(or whatever the next major city was), or sometimes just the “northern” or “southern” route around the Taklamakan desert. Only in 1877 did Baron Ferdinand von Richthofen the phrase “Silk Road”. --P6

‘실크로드’라는 용어는 최근에 만들어진 것이다. 다양한 무역로를 따라 사는 주민들은 이 명칭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들은 이 길을 사마르칸트로 가는 길(다음 주요 도시가 무엇이든), 혹은 터클러마칸 사막의 ‘북로’ 혹은 ‘남로’라 불렀다. 1877년에서야 리히트호펜 남작이 ‘실크로드’라는 말을 만들어냈다.

Kucha was home to one of China's most famous Buddhist translators, Kumarajiva(344~413), who produced the first understandable versions of Buddhist texts in Chinese. Kumarajiva grew up speaking the local Kuchean language, studied Sanskrit as young boy, and learned Chinese after being held captive in China for seventeen years. --P21

쿠차는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불경 번역가인 쿠마라지바의 고향이기도 하다. 쿠마라지바는 최초로 불경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중국어로 번역한 사람이다. 쿠마라지바는 쿠차어를 사용하며 자랐고, 어려서 산스크리어트를 배웠으며, 포로가 되어 중국에 잡힌 뒤 17년 동안 중국어를 배웠다.

Accordingly, the general made him drink too much and then tricked him into sleeping with a young women: This is the first of three occasions on which according to Kumarajiva's biographers he violated his vows. --P68

여광(呂光) 장군은 쿠마라지바를 만취하게 한 뒤 속여서 젊은 여인을 잠자리에 들여보냈다. 이것이 쿠마라지바의 전기작가에 따르면 쿠마라지바가 평생 세 번 계율을 어긴 일 중의 첫 번째였다.

In 630, when monk Xuanzang left Turfan, he took the most traveled route west. After stopping in Kucha, he crossed the Tianshan Mountains, visited the kaghan of the western Turks on the northwestern edge of Lake Issykkul in what is now Kyrgyzstan, and then proceeded to Samarkand in modern Uzbekistan. --P113

630년 중국의 승려 현장법사는 투르판에서 출발하여 가장 많은 여행객들이 이용하는 길을 따라 서쪽으로 갔다. 현장법사는 쿠차에 들렸다가 천산산맥을 거쳐 현재는 키르기스스탄에 속하는 이식쿨호 북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서부 투르칸의 카간을 방문했다. 이어서 현재 우즈베키스탄에 속하는 사마르칸트로 갔다.

Two men wearing feathered headdresses stand with their hands in their sleeves; they are Korean, quite possibly from the state of Koguryo, which ceased to exist in 669. These figures so closely resemble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s that they may in fact, be based on Chinese models, and not portraits from life. --P128

깃털로 머리를 장식하고 손을 소매에 넣은 자세로 서 있는 두 사람은 한국인이다, 아마도 668년까지 지속되었던 고구려인일 가능성이 높다. 이들 모습은 당시 중국 회화들과 너무 닮아 있어서 사실상 그들이 실생활을 보고 그린 것이 아니라 중국의 모델을 기초로 해서 그렸을 가능성이 높다.

Framed by rocky cliffs, some five hundred caves contain strikingly beautiful Buddhist wall paintings blending motifs from India, Iran, China, and Central Asia. The more than forty thousands found in the library cave. --P167

바위 절벽을 파내어 조성한 500여 동의 석굴에는 놀라운 정도로 아름다운 불교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인도, 이란, 중국, 중앙아시아 양식이 혼합되어 있다. 돈황 장경동에서는 4만여 건이 넘는 두루마리가 발견되었다.

The Silk Road was one of the least traveled routes in human history and possibly not worth studying--if tonnage carried off, traffic, or number of travelers at any time were the sole measures of a given route's significance. Yet the Silk Road changed history, largely because the people who managed to traverse part or all of the Silk Road planted their culture like seeds of exotic species carried to distant lands. --P235

실크로드는 인류 역사상 가장 적게 여행한 길이다. 일정한 시기에 운송된 물량, 교통 빈도, 혹은 여행객의 수가 주어진 경로의 중요성을 측정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면 연구할 가치가 별로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실크로드는 역사를 바꾸었다. 대체로 실크로드의 일부 혹은 전체를 여행한 사람들은 외래종 씨앗을 심듯이 자신 문화의 씨앗을 먼 지역으로 옮겨와 심었기 때문이다.

◆ <Life Along the Silk Roads(실크로드에서의 생활, 1999)>

영국 출신의 실크로드 권위자인 Susan Whitfield(수잔 홧필드, 1960~ )는 학자이자 대학 교수이다. 그녀는 실크로드를 따라 생활하는 성인, 병사, 마부, 공주, 승려, 기생, 비구니, 과부, 관리, 화가에 관련된 사료에 근거한 이야기를 통해 실크로드를 밝히고 있다.

Preparations for the journey were elaborate and meticulously planned. It was over 3,000 miles to Chang'an. Nanaivandak and his uncle would have to pass through Turghiz and Chinese territory, as well as de facto independent city-states in the Tarim basin. On the mountain passes would encounter freezing temperatures, in the desert searing heat. --P39

여행 준비는 정교하고 치밀하게 계획되었다. 장안까지는 5,000Km가 넘는 거리였다. 나나이반다크와 숙부는 투르기스와 중국 영토를 통과해야 했고, 타림분지에 있는 사실상 독립된 도시국가들도 지나야 했다, 산을 넘을 때는 살을 에는 듯한 추위를 견뎌야 하고, 사막을 지날 때는 타는 듯한 더위에 시달려야 했다.

The Uighurs regularly brought herds of thousand of ponies for sale to the Chinese government at a fixed price of forty bolts of silk each, though a pony could be bought for as little as one bolt elsewhere. The ponies were euphemistically referred to as “Uighur tributes to the court” by the Chinese annalists but were really Chinese payment for Uighur military assistance and security against future Uighur attack. --P82

위그르는 정기적으로 수천 마리의 조랑말을 몰고 가서 중국 정부에 한 마리당 비단 40필이라는 고정 가격으로 팔았지만, 조랑말은 다른 데서는 비단 한 필만 주면 언제든지 살 수 있었다. 중국 사가들은 이 조랑말을 ‘위그르가 중국 조정에 받친 공물’이라고 완곡하게 표현했지만, 사실은 위그르의 군사원조와 장차 위그르의 침략에 따른 안전보장에 대한 중국 정부의 댓가였다.

In the Autumn of 821, Taihe, an imperial princess, sister of the current emperor of China and daughters of its predecessor, rode in a howdah on a Bactrian camel. As the sister of the Chinese emperor, the princess had been chosen as ‘tribute’: she was on her way to wed the Uighur kaghan to cement their countries' friendship. --P95

821년 가을, 중국 당나라 황제 목종의 누이인 태화(太和) 공주는 박트리아산 낙타 등에 얹힌 가마 속에 앉아 있었다. 태화 공주는 ‘공녀’로 선정되었다. 공주는 위구르와 중국의 우호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위그르의 카칸과 결혼하러 가는 길이었다.

◆ <The Silk Roads; A New History of the World(실크로드; 새로운 세계사, 2017)>

영국출신의 옥스퍼드대학교 비잔틴연구센터 소장 Peter Frankpan(피터 프랭크만, 1971~ )은 실크로드를 통해 고대부터 G2(미국과 중국) 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세계사를 25장에 걸쳐 소개한다.

The linking up of the steppes into an interlocking and interconnecting world was accelerated by the growing ambitions of China. Under the Han dynasty(BC206 - AD220), waves of expansion had pushed frontiers ever further, eventually reaching a provision then called Xiyu(or ’western regions’), but today known as Xinjiang(‘new frontier land’). --P8

스텝 지역을 서로 맞물리고 연결된 세계와 이어주는 일은 중국의 야망이 커지면서 가속화되었다. 한(漢)왕조(기원전206~기원후220) 시대에 팽창의 물결은 국경을 더욱 멀리 밀어내 마침내 당시 서역(西域)이라 부르던 지방에까지 도달했다. 오늘날 신장(新疆/신 개척지)으로 알려진 곳이다.

When we think of the Silk Roads, it is tempting to think of the circulation always passing from east to west. In fact, there was considerable interest and exchange passing in the other direction, as an admiring seventh-century Chinese text makes plain. --P61

우리는 실크로드를 떠올릴 때 물건이 언제나 동방에서 서방으로 흘러갔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상당한 이익과 교역이 반대 방향으로도 흘러갔으며, 7세기 놀랄만한 중국의 기록이 이를 입증한다.

The most important effect that the Mongol conquests had on the transformation of Europe, however, did not come from trade or warfare, culture or currency. It was not just ferocious warriors, goods, precious metals, ideas and fashions that flowed through the arteries connecting the world. In fact something else entirely that entered the bloodstream had an even more radical impact: disease. An outbreak of plague surged through Asia, Europe and Africa threatening to annihilate millions. --P187

그러나 몽골의 정복이 유럽의 변형에 미친 가장 큰 영향은 교역이나 전쟁, 문화나 통화뿐만이 아니었다. 그것은 세계를 연결하는 대동맥을 따라 흐른 흉포한 전사나 상품과 귀금속, 사상과 패션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실제로 혈류 속으로 들어온 완전히 다른 어떤 것이 훨씬 더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바로 질병이었다. 페스트의 발명이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를 휩쓸면서 수백만 명을 몰살하려고 위협했다.

◆ 21세기에도 실크로드는 이어진다

역사적으로 ‘실크로드’란 개념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다. 근대 이후로 실크로드는 중국에서 유럽을 연결하는 길들을 의미한다. 중국과 로마를 연결하는 통로는 3대 간선(초원길, 사막길, 바다길)과 5대 지선(마역로, 라마다로, 불타로, 메소포타미아로, 호박로)으로 알려져 있다. 인류는 태초부터 상호 간에 교류하고 물물을 교환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과학기술의 발달로 눈부신 성과를 이룬 것으로 알려진 화약, 나침반, 인쇄술 등이 사실은 중국으로부터 서역으로 ‘유출’된 것이다. 중국은 서역으로부터 불교, 기독교, 이슬람을 받아들였다. 이처럼 동서양은 실크로드의 다양한 길을 통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인류 문명을 이룬 것이다.

신라에 중국 당나라에서 유행한 경교(네스트리우스파 기독교)와 십자가, 유리, 페르시안 문양 등이 전해진 것은 실크로드의 영향이다. 사마라칸트 벽화에 고구려인이 그려졌듯이 우즈베키스탄의 박물관에는 당시 대상(隊商)들 모습을 그린 벽화가 보존되어 있다. 이 벽화에 신라인의 복장이 선명하게 드러나 있는 것은 우리나라도 고대부터 실크로드를 통해 해외 문물을 받아들이고 소통했다는 증거이다.

21세기에는 더 많은 다양한 형태의 실크로드가 존재한다. 인류는 나라마다 국경이나 질병 또는 전쟁으로 인해 외국과의 교류를 차단하고 있지만 인류는 점점 더 코스모폴리탄(세계인)으로 통합되어 갈 것으로 전망된다. 서로 교류하고 교통하면서 물질과 문명뿐만 아니라 피도 섞이기 때문이다. 이것이 실크로드의 길이자 운명이라고 생각된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