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202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아니 에르노의 문학세계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12.12 00:30 | 최종 수정 2022.12.12 01:03 의견 0

Progress was the bright horizon of every existence, It signified well-being, health children, glowing houses, well-lighted streets, and knowledge - everything that shunned the darkness of country life and the war. It was in plastics and Formica, antibiotics and social security benefits, running water and sewer lines, summer camps, ongoing education, and the atom. You have too keep up with the time, people liked to repeat, as proof of their intelligence and open minds. --Annie Ernaux, The Years, P44

진보는 모든 존재의 밝은 지평이었다. 이는 웰빙, 건강한 아이들, 빛이 들어오는 집, 밝은 거리, 지식, 시골의 어두운 것들과 전쟁을 피하는 모든 것들을 의미했다. 진보는 플라스틱과 포마이카, 항생제, 사회보장수당, 수도와 하수구에 흐르는 물, 여름캠프, 학업의 지속, 원자력에 있었다. 우리는 지적능력과 열린 정신을 증명하듯 ‘시대를 따라야 한다’라고 반복해서 말했다. --아니 에르노 <세월> 중에서

2022년 노벨문학상은 프랑스 출신의 여류문학가 Annie Ernaux(아니 에르노, 1940~ )에게 돌아갔다. 에르노는 프랑스 최초로 노벨상을 받은 여성이 되었다. 그녀는 노동자 출신으로 작은 식품점을 운영하는 부모 밑에서 태어났다. 열세 살 때 고향을 떠나 공립학교보다 우수한 학생들이 진학하는 가톨릭 사립학교에 진학하면서 기숙사 생활을 하게 된다. 대학 졸업 후에는 교사자격증을 획득하고 나중에 교수도 되어 지식인 계층으로 신분이 변화된다. 부르주아 계급 출신 남성과 결혼도 한다. 하류 신분에서 중상층 이상으로 이른바 신분상승을 한 것이다.

아니 에르노(1990)

에르노의 글쓰기에 주요한 주제는 계급의식이다.

에르노는 <Shame, 부끄러움>을 통해 인생의 가장 충격적이었던 사건을 최초로 고백하면서 자신의 계급의식이 어떻게 시작했는지 보여준다. 그녀는 자신의 낮은 신분 계급으로 직접 체험하고 느낀 점을 작품의 주요한 주제로 삼고 있다. 계층을 이동한 계층이민자의 경험을 토대로 글을 쓴다.

에르노는 철저히 경험한 사실을 근거로 평범한 글을 쓴다.

에르노는 경험하지 않은 것은 쓰지 않는다는 철칙 아래 소설과 자서전의 경계를 허물어 온 작가이다. 지금까지 발표한 20권이 넘은 짧은 작품을 통해 그녀가 몸소 겪은 부모, 결혼, 불륜, 낙태, 이혼, 질병, 죽음 등을 주제로 냉정하고 사실적으로 사건을 객관화해 묘사하며, 연대기적으로 ‘평범한 글쓰기’를 보여주고 있다. ‘평범한 글쓰기’는 은유나 비유 등 수식어 없이 간결하게 사건을 전달하는 글쓰기를 말한다.

에르노의 글쓰기를 관통하는 방식은 사회와 개인의 결합이다.

에르노는 마르크스주의자로서 사회참여를 지속해오며 사회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녀는 개인의 문제를 사회와 역사 속에서 조명하면서 이야기를 다룬다. 그녀의 작품은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 <Simple Passion(단순한 열정, 1991)>

에르노가 14살 연하의 유부남인 러시아 외교관과의 불륜을 나누며 느낀 감정을 솔직히 고백한 글이다. 당시 프랑스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고 한다.

It occurred to me that writing should aim to do the same, to replicate the feeling of witnessing sexual intercourse, the feeling of anxiety and stupefaction, a suspension of moral judgment. --P11

글쓰기는 성교를 목격한 느낌, 불안과 어리둥절한 느낌, 도덕적 판단의 정지를 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From September last year, I did nothing else but wait for a man: for him to call me and come around to my place. --P12

작년 9월 이후로 나는 한 남자를 기다리는 일, 그 사람이 전화를 걸어주거나 내 집에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If he told me he was arriving in an hour--‘an opportunity’, in other words an excuse to be late without arousing his wife's suspicious--I would enter a different phase of waiting, devoid of thought or even desire(to the extent of wondering whether I would be able to achieve an organism), bursting with frenzied energy yet unable to organize the simplest tasks. --P14

그가 나에게 한 시간 후에 도착한다고 말한다면-'기회', 즉 아내의 의심을 일으키지 않고 늦을 수 있는 핑계-나는 생각도 욕망(내가 유기체를 달성할 수 있을지 궁금해 하는 정도)도 없는 다른 기다림 단계에 들어갈 것이다. 열광적인 에너지로 폭발하지만 가장 간단한 작업을 정리할 수 없다.

I would count the number of times we had made love. I felt that each time something new had been added to our relationship but that somehow this very accumulation of touching and pleasure would eventually draw us apart. We were burning up a capital of desire. What we gained in physical intensity we lost in time. --P16

우리가 나눈 사랑의 횟수를 헤아려보았다. 사랑을 할 때마다 무언가 새로운 것이 우리 관계에 보태어진다는 것을 느꼈지만, 감동과 쾌락의 축적이 결국에는 우리를 서로 멀어지게 할 것이다. 우리는 욕망이라는 자산을 불태우고 있었다. 육체적인 강렬함 속에서 얻은 것은 시간의 질서 속에 잃어버렸다.

I would only ever be certain of one thing: his desire or lack of desire. The only undeniable truth could be glimpsed by looking at his penis. --P24

오직 한 가지 확실한 것이 있다. 그 사람이 나를 욕망하느냐 욕망하지 않느냐하는 것 말이다. 유일하고도 명백한 진실은 그 사람의 성기를 보면 알아챌 수 있다.

The constraints dictated by his married condition --not being able to phone him or send him letters, not giving him presents which would prove difficult to jusify, being continually dependent on his timetable--did not outrage me. --P25

그의 결혼 상태에 따른 제약-그에게 전화를 걸거나 편지를 보낼 수 없는 것, 합리화하기 어려운 선물을 주지 않는 것, 계속해서 그의 시간표에 의존하는 것-은 나를 화나게 하지 않았다.

I was careful not to leave evidence of myself on his clothes and made no marks on his body. --P25

나는 그 사람의 몸이나 옷에 나의 흔적이 남지 않도록 신경을 썼다.

Sometimes I told myself that he might spend a whole day without even thinking about me. I imagined him getting up, drinking his coffee, talking, and laughing, as if I didn't exist. --P27

때때로 그 사람이 내 생각을 전혀 하지 않고 하루를 보낼 수 있다고 자문해봤다. 나는 존재하지도 않는다는 듯이 그가 잠자리에서 일어나 커피를 마시고 이야기하고 웃는 것을 상상했다.

When I was a child, luxury was fur coats, evening dresses, and villas by the sea. Later on, I thought it meant leading the life of an intellectual. Now I feel that it is also being able to live out a passion for a man or a woman. --P48

내가 어렸을 때 사치는 모피 코트, 긴 드레스, 바닷가에 있는 별장이었다. 나중에 지성적인 삶을 사는 게 사치라고 생각했다. 이제는 한 남자, 혹은 한 여자에게 사랑의 열정으로 사는 것이 사치라고 느낀다.

◆ <Shame(부끄러움, 1997)>

작가는 어느 날 부모의 싸움에서 자기 가족의 삶의 양식에 대한 수치심을 느낀다. ‘지배당하는 문화’에 속한 존재양식에 대한 수치심을 폭력으로 전이시키는 아버지의 태도에서 수치를 느낀다. 자신의 수치를 거리낌 없이 공표하는 것은 고통이 수반된다. 작가는 이런 고통을 자기 글의 정체성이자 글쓰기의 윤리로 삼는다.

My father tried to kill mother on Sunday in June, in the early afternoon. I had been to Mass at a quarter to twelve as usual. --P13

아버지는 6월 어느 일요일 이른 오후에 어머니를 죽이려고 했다. 나는 여느 때처럼 12시 15분에 미사를 드리러갔다.

To be like everyone else was people's universal ambition; the ultimate dream. Those who were different were thought to be eccentric or even deranged. --P56

남들처럼 살자는 것이 사람들의 보편적 야망이자 궁극적인 꿈이었다. 남들과 다른 사람은 괴상하고 위험하다고 생각되었다.

Now everything in our life is synonymous with shame--the urinal in the courtyard, the shared bedroom(owing to a common rural practice and the lack of space, I slept in my parents' bed), my mother's violent behavior and crude language, the drunken customers and the families who couldn't pay up. --P109

이제 우리 삶의 모든 것이 부끄러움과 동의어가 되었다. 마당의 오줌통, 함께 자는 방(공간 부족으로 인해 우리 계층이 대개 그렇듯 나는 부모와 같은 방에서 잤다), 어머니의 거친 행동과 조악한 언어, 술에 취한 손님들과 외상으로 물건을 사는 친척들.

The worst thing about shame is that we imagine we are the only one to experience it. --P92

부끄러움에서도 가장 끔찍한 것은 오로지 나만 부끄러움을 느낀다고 믿는 것이다.

It was normal to feel ashamed: I saw it as an inescapable fatality resulting from my parents' occupation, their financial troubles, their working-class background and the way we generally behaved. And the events of the Sunday in June. Shame became a new way of living for me. I don't think I was even aware of it, it had became part of my own body. --P109

부끄러움을 느끼는 것은 당연하다. 그것은 내 부모의 직업, 그들의 재정적 어려움, 노동자였던 그들의 배경, 그리고 우리의 존재양식에서 비롯된 피할 수 없는 숙명이었다. 또한 6월 일요일의 사건에서 부끄러움은 내 삶의 새로운 방식이 되었다. 부끄러움을 인식했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부끄러움이 몸의 일부가 되어버렸다.

◆ <A Man’s Place(남자의 자리, 1983)>

작가는 중등교사 자격시험에 합격하고 정확히 두 달 후에 있었던 아버지의 죽음과 장례식을 마치고 돌아가는 기차 안에서 ‘이 모든 것을 설명해야만 한다’는 생각에 사로잡힌다. 그때부터 아버지의 대한 생각을 정리한 작품이다.

I realized now that a novel is out of question. If I wish to tell the story of a life governed by necessity, I have no right to adopt an artistic approach, or attempt to produce something “moving” or “gripping.” I shall collate my father’s words, tastes and mannerisms, as well as the main events of his life. --P22

난 최근에야 소설이 해답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물질적 필요에 지배받는 삶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예술적인 접근, 또는 ‘흥미진진한 것’ 혹은 ‘감동적인 것’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 나는 아버지의 말과 취향, 매너리즘, 아버지의 인생에 영향을 미쳤던 주요한 사건들을 모아보려 한다.

My father had a lively, playful personality. He loved telling stories and playing tricks on people. There was nobody his age on the farm. --P28

아버지는 활기차고 장난기 많은 성격이었다. 그는 이야기를 하고 사람들을 속이는 것을 좋아했다. 농장에는 그 또래에 농장에서 일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It’s taking me a long time to write. By choosing to expose the web of his life through a number of selected facts and details, I feel that I am gradually moving away from the figure of my father. The skeleton of the book takes over and ideas seem to develop of their own accord. --P39

글을 쓰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일련의 선택된 사실과 세부사항을 통해서 한 인생의 실타래를 밝혀내기 위해 애쓰면서 조금씩 아버지만의 특별한 모습을 잃어가는 듯한 기분이다. 책의 골격이 자리를 잡고 생각이 저절로 발전하는 것 같다.

One day he said: “Books and music are all right for you. I don’t need them to live.” --P67

어느 날 그가 말했다. “책, 음악, 그런 건 너에게 좋은 거다. 내가 살아가는 데는 필요 없어.”

Now I had finished taking possession of the legacy with which I had to part when I entered the educated, bourgeois world. --P87

이제 내가 교양 있는 부르주아의 세상으로 들어갈 때 두고 갔던 유산을 소유하는 것을 끝마쳤다.

His greatest satisfaction, possibly even the raison d'être of his existence, was the fact that I belonged to the world which had scorned him. --P88

그의 가장 커다란 자부심, 아마도 그의 존재이유는 자신을 멸시하는 세상에 내가 속해 있다는 사실이었을 것이다.

◆ <The Years(세월, 2008)>

작가는 1941년부터 2006년까지 가족사진첩을 넘기듯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하는 자신의 굴곡진 생애와 사회 현상을 다룬다. 이 책은 ‘비개인적인 자서전’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탄생시키며 커다란 문학적 성취를 이뤘다.

Like sexual desire, memory never stops. It pairs the dead with the living, real with imaginary beings, dreams with history. --P16

기억은 성적 욕망처럼 결코 멈추는 법이 없다. 그것은 망자와 산자를, 실존하는 존재와 상상의 존재를, 꿈과 역사를 결합한다.

It seems to her that education is more than just a way to escape poverty. It is a weapon of choice against stagnation in a kind of feminine condition that arouses her pity, the tendency to lose oneself in a man.--P85

그녀에게 교육은 가난에서 벗어나는 수단만이 아니다.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여성성의 답보와 한 남자에게 빠지는 유혹에 맞서 싸울 수 있는 특별한 무기다.

History did not matter. We were simply happy or unhappy, depending on the day. --P91

역사는 중요하지 않았다. 우리는 그날그날에 따라 그저 행복하거나 불행했다.

Now’s the time to give form to her future absence through writing, start the book, still a draft of thousands of notes, which has lived in parallel to her existence for the past twenty years and is thus obliged to cover a longer and longer time.--P223

지금은 글쓰기를 통해 그녀의 미래 부재를 형태로 만들어야 할 시간이다. 지난 20년 동안 그녀의 존재와 평행하게 살아오며 길고 긴 시간을 담아야 하는 수천 개의 노트 초안으로 있는 책을 시작한다.

What matters to her, on the contrary, is to seize this time that comprises her life on Earth at a hgiven period, the time that has coursed through her, the world she has recorded merely by living. --P223

반대로, 그녀에게 중요한 것은 주어진 시대에 이 땅위에 살다간 그녀의 삶을 이루는 그 시간을, 그녀를 관통한 그 시간, 그녀가 살아 있을 때만 기록할 수 있는 그 세상을 장악하는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