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무엇을 어떻게 먹을 것인가?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3.01.02 00:02 의견 0

54. “Breakfast like a king, lunch like a prince, dinner like a pauper.”

Eating a big meal late in the day sounds unhealthy, though in fact the science isn't conclusive. Some research suggests that eating close to bedtime elevates triglyceride levels in the blood, a market for heart disease that is also implicated in weight again. --Michael Pollan, Food rules, P89

54. “아침은 왕처럼, 점심은 왕자처럼, 저녁은 거지처럼 먹는다.”

과학적으로 확실하게 입증된 사실은 아니지만 저녁 늦게 거한 식사를 하면 건강에 해롭다고 한다. 몇몇 연구 결과에 따르면 취침시간 즈음에 음식을 먹으면 체중과 관련이 있는 심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상승한다고 한다. --미첼 폴란 <음식 규칙> 중에서

중국의 가장 오래된 한의학 서적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약식동원(藥食同原):약과 음식은 그 근본이 동일하다’는 말이 있다. 인간에게 음식은 약이며 생명이다. 음식은 자신을 표현한다. 음식으로 무엇을 먹느냐가 자신의 신체 상태와 정신을 형성하는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가 아주 중요한 시대에 살고 있다. 지금은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인공 가공식품이 아주 많이 생산되며, 유전자를 이용한 여러 식물로 다량의 농작물 생산이 가능해졌다. 유전자 이용 식품의 안전성 문제가 끊임없이 논란이다. 일부 학자들은 자연적인 먹거리나 가까운 거리에서 생산된 농작물을 먹거리로 이용하는 Local Food(로컬 푸드)가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 우리가 매일처럼 먹는 먹거리는 우리의 건강과 의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 <Healing with Whole Food(음식과 치유, 1996)>

미국의 영양학자이자 중국의학자인 Paul Pitchford(폴 피치포드)는 30년 넘게 서구의 영양학과 동양의 의학을 접목하여 건강과 영양학의 관계를 밝히고 있다. 본서는 본문만 700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양으로, 한의학에서 처방한 한약처럼 음식을 통한 몸의 치유에 대해 다양한 내용을 제공한다. 그는 42년간 비건(Vegan:초식주의자)으로 살고 있다.

Modern people need re-education about food. Most know little about healthful preparation of whole foods, nor for that matter, can they even identify important unrefined foods such as an oat groat or a whole-wheat berry. --P44

현대인들은 음식에 대해 다시 공부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사람이 자연식품의 건강한 조리법을 거의 알지 못하며, 심지어 귀리나 통밀과 같은 중요한 미정제 식품들을 구별할 수 없다.

Balance should be the goal of those looking for health, since being too yin or too yang without being able to return to balance constitutes a state of disease. A modern person will often be simultaneously too yin and too yang. This is because yin and yang have not merged, due to a lifestyle more extreme than the person can integrate. --P55

균형은 건강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목표로 삼아야 한다. 왜냐하면 균형으로 돌아갈 수 없는 지나친 음(陰)과 양(陽)은 질병을 만들기 때문이다. 현대인은 지나친 음이면서 동시에 지나친 양인 경우가 빈번하다. 이것은 사람이 통합하는 것보다 더 극단적인 생활방식으로 말미암아 음과 양이 융화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Attitudinal Healing: This is the foundation of immunity; gratitude and forgiveness are preliminary steps. Spiritual practices such as prayer, meditation, and visualization normally support the experience of continual renewal; such practices, however, can also weaken immunity if they are used to reinforce rigid thinking and habits. --P88

태도로 인한 치유: 사람의 태도는 면역력의 토대다. 감사와 용서는 그 준비단계다. 기도, 명상, 심신수련 등의 정신적 수행은 대개 지속적인 회복의 경험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수행을 경직된 사고와 습관을 더욱 강화하는 데 사용하면 오히려 면역력을 약화시킬 수도 있다.

Appropriate fasting has been founded to cure virtually every disorder involving excess as well as to increase lifespan, but one should exercise caution on the longer faste. Regardless of the fasting procedures, the vitally important factors are the attitude and learning during the fast, including the conviction to make what was learned a part of daily life. --P281

적절한 단식은 과잉과 관련한 모든 질환을 크게 치유할 뿐만 아니라 수명을 늘려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장기간의 단식은 경계해야 한다. 단식의 절차와 상관없이 결정적으로 중요한 요소는 깨달은 바를 일상의 일부로 삼겠다는 확신을 포함하여 단식 동안의 태도와 깨달음이다.

Winter is the end of all the seasons. To unify with winter, one emphasizes the yin principle to become receptive, introspective, and storage-oriented; one cools the surface of the body and warms the body’s core. Cold and darkness drive one to seek inner warmth. --P354

겨울은 모든 계절의 끝이다. 겨울에 순응하려면 수용적이고 성찰적이고 비축 지향적이 되도록 음(陰)의 원칙을 강조한다. 몸의 표면은 차게 하고, 몸의 중심은 따뜻하게 해야 한다. 추위와 어둠은 내부의 온기를 추구하게 해야 한다.

The “Great Grain Spirit” is symbolized by a warm, fragrant loaf of bread. Hot from the oven, fresh bread baked with care has the mysterious power of bringing warmth and togetherness into the home and to special occasions. The breaking of bread together is a ritual practiced by many cultures to symbolize their willingness to share what one has with others. --P489

따뜻하고 향기로운 빵 한 조각은 ‘위대한 곡식의 영혼‘을 상징한다. 오븐에서 바로 꺼낸 따뜻하고 신선한 잘 구운 빵은 특별한 날 집안에 따뜻함과 유대감을 가져오는 신비한 힘을 가졌다. 빵을 함께 자르는 것은 많은 문화권에서 자신이 가진 것을 타인과 나누겠다는 선의를 상징하기 위해 행하는 의식이다.

Vegetables are a vital part of the daily diet and are ideally chosen from what is available in tour area according to your needs. --P535

채소는 일상 식단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사는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것 중에서 필요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The power of sea vegetable(seaweeds) has been drawn upon for thousands of years for the ability to prolong life, prevent disease, and impart beauty and health for happier and longer lives. In Myth(as well as biology), the sea is the source that all things arise from and return to. --P580

바다채소(해초)의 힘은 수명을 늘리고 질병을 예방하고 아름다움과 건강을 부여해 더 행복하고 오래 살 수 있도록 해주는 능력으로 수천 년 동안 이용되어 왔다. 신화(생물학뿐만 아니라)에서도 바다는 만물의 탄생과 소멸의 원천이다.

Fruit is easily digested and can offer a pleasant break from foods that take more effort to prepare and digest. --P615

과일은 쉽게 소화되며, 조리하고 소화되는 데 많은 노력이 들어가는 음식들로부터 유쾌한 휴식을 제공할 수 있다.

Ancient wisdom teaches a soma-psyche unity: We all eat perfect diets insofar as our diets and all else that we do are prefect reflections of who we are. In this perfect relationship between what we do and what we are, it behooves us to be mindful of all that we do. --P652

고대의 지혜는 몸-정신의 통합을 가르친다. 우리의 식단과 우리가 행하는 모든 것이 우리 존재의 완전한 반영인 한 우리는 완벽한 식단을 먹는다. 우리는 행하는 것과 존재하는 것 사이의 완전한 관계 속에서 우리가 행하는 모든 것을 의식하고 있어야 한다.

◆ <Food Rule(음식 규칙, 2009)>

미국의 작가이자 환경운동가이며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원 교수인 Michael Pollan(미첼 폴란, 1955~ )은 <잡식동물의 딜레마>, <요리를 욕망하다>, <행복한 밥상> 등 먹거리에 관련한 저서를 출간했다. 본서는 음식을 먹는 64개의 법칙을 설명하고 있다.

2. Don't eat anything your great grandmother wouldn't recognize as food.

There are now thousands of foodish products in the supermarket that our ancestors simply wouldn't recognize as food. The reason to avoid eating such complicated food products are many, and go beyond the various chemical additives and corn and soy derivatives they contain, or the plastics in which they are typically packaged, some of which are probably toxic. --P19

2. 증조할머니가 음식이라고 인정하지 않을 식품은 어떤 것도 먹지 않는다.

슈퍼마켓에는 조상들이 단순히 음식이라고 인정하지 않는 수천 가지의 음식 같은 제품이 있다. 이런 복잡한 가공식품을 회피한 이유는 많지만, 이런 식품에 포함된 화학첨가물과 콩 추출물 외에도 일반적으로 포장되는 플라스틱 용기 중 일부가 독성이 있기 때문이다.

17. Eat only foods that have been cooked by humans.

If you’re going to let others cook for you, you’re much better off if they are other humans, rather than corporations. In general, corporations cook with too much salt, fat, and sugar, as well as with preservatives, colorings, and other biological novelties. --P37

17. 사람이 요리한 음식만 먹는다.

다른 사람이 요리한 음식을 먹을 경우, 식품회사가 아니라 사람이 요리한 음식을 먹는 게 건강에 훨씬 좋다. 식품회사들은 소금, 기름, 설탕을 엄청나게 첨가할 뿐 아니라, 방부제와 색소는 물론이고 기타 생소한 생물학적 물질까지 아낌없이 들어붓는다.

23. Treat meat as a flavoring or special occasion food.

While It’s true that vegetarians are generally healthier than carnivores, that doesn’t mean you need to eliminate meat from your diet if you like it. Meat, which humans have been eating and relishing for a very long time, is nourishing food, which I suggest ‘mostly’ plants, not ‘only.’ It turns out that neat vegetarians, or ‘flexitarians’--people who eat meat a couple of times a week—are just as healthy as vegetarians. --P47

23. 육류는 입맛 돋우기 또는 특별식으로 이용한다.

채식주의자가 육식주의자보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좋아하는 식단에서 고기를 제외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육류는 인간이 아주 오랜 세월 즐겨 먹은 음식이고 영양이 풍부한 음식이다. 그렇기에 나는 ‘대체로’ 식물을 먹으라고 했지, ‘오직’ 식물만 먹으라고는 하지 않는다. 거의 채식주의자나 일주일에 서너 차례 고기를 먹는 반채식주의자도 채식주의자 만큼 건강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39. Eat the junk food you want as long as you cook it yourself.

There is nothing wrong with eating sweets, fried foods, pastries, even drinking a soda every now and then, but food manufactures have made eating these formerly expensive and hard-to-make treats so cheap and easy that we’re eating them every day. --P65

39. 직접 요리해 먹는다면 원하는 정크 푸드를 먹어도 좋다.

과자, 튀긴 음식, 패스트리, 심지어 탄산음료를 가끔 먹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이전에는 비싸고 만들기 어려웠던 이런 음식을 식품회사가 아주 값싸고 거의 매일 먹을 수 있도록 쉽게 만들었다.

◆ <Sitopia; How food can save the world(시토피아; 음식은 어떻게 세상을 구하는가, 2021)

영국 런던에 거주하는 건축가, 작가, 교수인 Carolyn Steel(캐롤린 스틸, 1950~ ) 여사는 음식과 도시를 탐구하는 사상가이다. 그녀는 본서를 통해 음식과 사회의 관계를 밝히며 무엇을 먹을 것인가가 미래의 운명을 결정짓는다고 단언하고 있으며, 음식이 만든 세상을 ‘Sitopia(시토피아)’라 부른다.

Food shapes our lives, so it can help us think. We may not be aware of its influence, but it is everywhere: even in the parts of our brain that can't stop wondering about the meaning of life. Food's effects are so ubiquitous that they can hard to spot, which is why learning to see through the lens of food can be so revelatory. --P23

음식은 인간의 삶을 형성하므로 인간이 생각하게 한다. 음식의 영향을 의식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음식은 어디에나 있다. 삶의 의미를 쉼 없이 질문하는 뇌에도 음식이 있다. 음식의 영향은 어디에나 퍼져 있어서 발견하기 어렵기에 음식이라는 렌즈로 바라보며 배우는 것이 새로운 이유이다.

Whatever our homes look like in the future, food will be at their core. For social animals like us, the sharing of food will always be central to bonding with others --and thus to our sense of feeling at home. From our very first meal to last, food and love are inextricably fused in our brains. --P115

미래의 집이 어떤 모습일지 몰라도 음식은 여전히 집의 핵심이 될 것이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음식을 함께 먹는 것은 언제나 타인과 유대감 형성에 중심이고, 집에 있는 느낌이 들게 한다. 우리의 처음 식사부터 마지막 식사까지 음식과 사랑은 우리의 뇌에 불가분하게 융합되어 있다.

The way we eat in the future will not only shape our fate, but that of every other species. By valuing food, we can rebalance our lives within the natural world and build happy and fulfilling lives together. --P227

우리가 미래에 먹는 방법은 인류의 운명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종의 운명까지 결정할 것이다. 음식을 소중하게 함으로 우리는 자연계 안에서 삶의 균형을 재조정해 행복하고 충만한 삶을 함께 살 수 있다.

There are no easy answers to our human dilemma, yet no matter what obstacles lie ahead, food can be our guide. None of us existed before food: it preceded us, anticipates us, sustains us and will outlive us. The relationship that binds us to those we love and to our living world is, in the end, our greatest hope. --P316

인간의 딜레마에 쉬운 답은 없지만 우리 앞에 어떤 장애물이 놓여 있든 음식이 길잡이가 될 것이다. 누구도 음식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다. 음식은 우리보다 앞서 존재하고 우리의 앞을 내다보며, 우리를 지탱하고 우리보다 오래 계속될 것이다. 우리를 사랑하는 사람과 살아가는 세계와 묶어주는 이 관계는 결국 인류의 가장 큰 희망이다.

◆ 먹거리는 인간을 행복하게 만든다

인간에게 먹는 즐거움은 매우 크다. 한국인의 음식에서 소개되는 것처럼 한국 음식은 다양하고 다채롭다. 요즈음은 서양과 동남아 등 각국의 음식이 널리 퍼져 있고, 이국적 음식과 혼합된 퓨전 음식이 인기를 끌고 있다. 아울러 거대한 식품회사들이 엄청나게 많은 종류의 가공식품을 출시하고 있다. 인류가 가진 자원을 골고루 나눈다면 인류는 기아에서 완전히 해방되었을 것이다. 대부분의 성인병이 먹거리에서 발병되기 때문에 이제는 먹거리의 질적 전환이 이루어져 건강하고 안전한 음식을 먹어야 한다. 먹는 것은 질병과 바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옛날 선인들은 “저녁은 거지처럼 먹어라”고 가르쳤다. 그러나 오늘날 현대화 사회는 야간활동의 증가로 이와 반대로 식생활을 한다. 아침은 거르거나 간단히 먹고, 저녁은 아주 푸짐하게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먹는 습관도 질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의사들은 옛날 선인처럼 저녁을 간단히 먹고 매일 운동을 하라고 권장한다. 이것이 건강을 지키는 식생활이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의 역사학자 하라리는 <사피엔스>를 통해 인류의 6천년 역사에서 인간은 다양한 먹거리를 제공받은 ‘수렵채집’ 시절이 가장 행복한 시절이라고 단언한다. 학자들은 인류가 문명은 진화하였으나 인간의 유전자는 옛날이나 지금이나 동일하기 때문에 먹거리도 자연식으로 먹는 것이 가장 좋다고 권장한다. 온 가족이 맛있는 음식을 함께 나누며 하루를 마감하는 모습은 천국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처럼 건강한 먹거리는 인류를 행복하게 한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