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사진은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3.02.13 00:16 의견 0

Photographing is essentially an act of non-intervention. Part of the horror of such memorable coups of contemporary photojournalism as the pictures of a Vietnamese bonze reaching for the gasoline can, of a Bengali guerrilla in the act of bayoneting a trussed-up collaborator, comes from the awareness of how plausible it has become, in situations where the photographer has the choice between a photograph and a life, to choose the photograph. The person who intervenes cannot record; the person who is recording cannot intervene. --Susan Sontag, On photography, P12

원래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상황에 개입하지 않는 활동이다. 가솔린 통에 다가가는 베트남 승려, 몸통에 양팔이 묶인 이적행위자를 총검으로 찌르는 벵골의 게릴라 사진 등 인상적일 만큼 대성공을 거둔 동시대 포토저널리즘이 공포감을 자아내는 이유는 부분적으로 사진작가들이 다음과 같은 인식, 즉 사진이냐 살아 있는 피사체냐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진을 선택하는 것도 타당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상황에 개입하면 기록할 수 없고, 기록하면 상황에 개입할 수 없다. --수전 손택 <사진에 관하여> 중에서

사진이 주는 영향과 파급은 엄청나다. 1973년 베트남전쟁에서 나체로 울면서 뛰는 어린 소녀의 사진인 <소녀의 절규>, 1993년 아프리카의 기아로 죽어가는 어린아이를 잡아먹으려고 노려보는 독수리 사진을 찍은 <독수리와 소녀>가 주는 메시지와 충격은 세계를 사로잡았다. 이처럼 사진 한 장을 찍기 위해서 사진사들은 모진 상황과 씨름한다. 이른 봄이면 노루귀를 찍기 위해 천마산에 몰려드는 사진사들과 한 작품을 건지기 위해 동원되는 조명기구 등 장비를 보면 감탄이 저절로 나온다. 높은 설악산이나 지리산 등 고산 정상에도 사진 한 장을 찍기 위해 추위와 배고픔을 이기며 찬란한 순간을 잡으려는 사진사들의 인고에 감동하곤 한다. 사진 한 장으로 주는 메시지는 다양하다. 대표적인 사진 평론가의 글을 소개한다.

◆ <On Photography(사진에 관하여, 2001)>

미국의 평론가이자 소설가, 사회운동가인 Susan Sontag(수전 손택, 1933~2004)은 한 시대를 주름잡은 미국 문화계의 거목이었다. 수많은 저서를 출간했으며, <사진론>도 유명 저서의 하나이다.

To collect photographs is to collect the world. Movies and television programs light up walls, flicker, and go out. --P3

사진을 수집하는 것은 세계를 수집하는 것이다. 영화나 TV프로그램은 화면을 밝히다가도 깜박거리다 사라져 버린다.

A way of certifying experience, taking photographs is also a way of refusing it -- by limiting experience to a search for the photogenic, by converting experience into an image, a souvenir. Travel becomes a strategy for accumulating photographs. --P9

사진을 찍는 것은 경험을 증명해 주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경험을 거부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사진 찍기 좋은 것들을 찾아다니는 것이 경험이라고 제한하거나 경험을 일종의 이미지, 일종의 기념품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여행이 사진을 모으는 전략이 되어버린다.

A photograph is not just the result of an encounter between an event and a photographer; picture - taking is an event in itself, and one with ever more peremptory rights. --P11

사진이란 사진작가와 사건 사이에 만나서 생긴 결과일 뿐인 것이 아니다. 사진을 찍는다는 것 자체도 사건인데, 그것도 사진을 찍는 사람이 절대적인 권한을 갖고 일으키는 사건인 것이다.

Photographs may be more memorable than moving images, because they are a neat slice of time, not a flow. --P17

사진이 움직이는 이미지보다 기억하기 훨씬 쉽다. 왜냐하면 사진은 시간의 흐름이 아니라 시간의 순간을 깔끔하게 포장해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The limit of photographic knowledge of the world is that, while it can goad conscience, it can, finally, never be ethical or political knowledge. --P24

사진을 통해서 얻게 된 이 세계에 관한 제한된 지식은 양심을 자극할 수는 있으나 결코 윤리적이거나 정치적인 지식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If “all that a person does or thinks is of consequences,” it becomes arbitrary to treat some moments in life as important and most as trivial. --P28

사람이 행하거나 생각하는 모든 것들이 모두 중요하다면 삶은 어떤 순간도 중요하고, 그밖에 다른 순간은 모두 사소하다고 여기는 것도 자의적이다.

To photograph is to confer importance. There is probably no subject that cannot be beautified. --P28

사진을 찍는다는 것은 그 대상을 중시한다는 것이다. 아마도 아름다울 수 없는 피사체란 존재하지 않는다.

The camera is a kind of passport that annihilates moral boundaries and social inhibitions, feeling the photographer from any responsibility toward the people photographed. The whole point of photographing people is that you are not intervening in their lives, only visiting them. --P42

카메라는 사진을 찍는 사람이 사진에 찍히는 사람에게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은 채 도덕적 한계와 사회적 금기를 넘나들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여권이다. 그 사람의 삶에 끼어드는 것이 아니라 방문하는 것, 바로 그것이 누군가의 사진을 찍는다는 것의 핵심이다.

Marx reproached philosophy for only trying to understand the world rather than trying to change it. Photographers, operating within the terms of the Surrealist, suggest the vanity of even trying to understand the world and instead propose that we collect it. --P82

마르크스는 세계를 변화시키러기보다는 세계를 해석하려고만 한다는 이유로 철학을 질책했다. 그렇지만 초현실주의적 범주 안에서만 작업을 해온 여러 사진작가는 세계를 해석하려는 노력조차도 공허할 뿐이라고 생각하면서 대신에 세계를 수집해야 한다는 제안을 내놓았다.

Reality has always been interpreted through the reports given by images; and philosophers since Plato have tried to loosen our dependence on images by evoking the standard of an image-free way of apprehending the real. -P153

현실은 늘 이미지가 준 기록을 통해 해석되어 왔다. 그리고 플라톤 이래의 모든 철학자들은 이미지에서 자유롭게 벗어나 현실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표준을 일깨워서 이미지에 의존을 줄이려 노력했다.

Photography has powers that no other image-system has ever enjoyed because, unlike the earlier ones, it is not dependent on an image maker. --P158

사진은 그 어떤 이미지 체계가 누렸던 것보다 힘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예전의 이미지 체계와 달리 사진은 이미지 제작자에게 의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Like language, it is a medium in which works of art(among other thing) are made. Out of language, one can make scientific discourse, bureaucratic memoranda, love letters, grocery lists, and Balzac’s Paris. Out of photography, one can make passport pictures, weather photographs, pornographic pictures, X-rays, wedding pictures, and Atget’s Paris. Photography, is not an art like, say, painting and poetry. --P148

사진도 언어와 마찬가지로 (다른 모든 것 중에서도) 예술작품을 만들 때 활용하는 매개체이다. 우리는 언어를 활용해 과학담론, 공무문서, 연애편지, 야채상점 명세서, 파리 풍경을 담은 발자크의 소설 등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사진을 활용해 여권사진, 기상사진, 포르노사진, 엑스레이사진, 결혼사진, 파리 풍경을 담은 프랑스 사진작가 외젠 아제의 사진 등을 만들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사진은 회화와 시 같은 예술은 아니다.

In the real world, something is happening and no one knows what is going to happen. In the image-world, it has happened, and it will forever happen in that way. --P 168

현실 세계에서는 무슨 일인가 벌어지고 있고, 그 어떤 사람도 앞으로 무슨 일이 벌어지게 될지 모른다. 그러나 이미지 세계에서는 무슨 일인가가 이미 벌어졌고, 늘 이런 식으로 무슨 일이 벌어지게 될 것이다.

◆ <Understanding a Photography(사진의 이해, 2013)>

영국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농사를 지으며 마르크스주의자의 신명을 지킨 John Berger(존 버거, 1926~2017)는 소설가, 평론가, 화가였다. 그가 1967년부터 2007년까지 40년간 사진에 대해 쓴 24편의 에세이를 모아놓은 책이다.

I have decided that seeing this is worth recording, we may now decode it as: The degree to which I believe this is worth looking at can be judged by all that I am willingly not showing because it is contained within it. --P21

나는 이것을 보는 것을 기록으로 남길 만한 가치가 있다고 결정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이 풀어 쓸 수 있다. 이것을 자세히 봐야 할 가치가 있다는 믿음의 정도는 이 안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기꺼이 보여줄 수 없는 모든 것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Photography, because it preserves the appearance of an event or a person, has always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dea of the historical. The ideal of photography, aesthetics apart, is to seize an 'historic' moment. --P48

사진이 사건이나 사람의 외양을 보존하기 때문에 항상 역사적인 것의 이념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사진의 이념이란 미학을 논외로 하고 ‘역사적’ 순간을 장악하는 것이다.

Memory implies a certain act of redemption. What is remembered has been saved from nothingness. What is forgotten has been abandoned. --P54

기억은 어느 정도 구원의 행위이기도 하다. 기억되는 것은 무로부터 보존된다. 잊힌 것은 버려진다.

What makes photography a strange inventions -- with unforeseeable consequences -- is that its primary raw materials are light and time. --P61

사진이 낯선 발명품--결과물을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인 이유는 그 주된 원재료가 빛과 시간이기 때문이다.

A photograph preserves a moment of time and prevents it being effaced by the super-session of further moments. In this respect photographs might be compared to images stored in the memory. Ye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s: whereas remembered images are the residue of continuous experience, a photograph isolates the appearance of a disconnected instant. --P64

사진은 시간의 순간을 보존하고 다음 순간의 연속에 의해 지워지는 것을 막아준다. 이런 면에서 사진은 기억 속에 저장된 이미지에 비견될 수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기억된 이미지가 연속된 경험의 잔재인 반면에 사진은 단절된 순간의 외양을 분리시켜 보여준다.

◆ <See/Saw(보는 것과 본 것, 2021)>

영국의 작가인 Geoff Dyer(제프 다이어, 1958~ )는 소설, 에세이, 르포타주 등 다양한 분야에 독창적인 글쓰기로 알려져 있다. 본서에는 48명의 사진작가와 사진에 대한 설명이 들어 있다.

So photography, for me, might be as much an incentive --a series of incentive schemes -- for descriptive narrative as it is an area of critical expertise. Overall, photography might be easier to write about than music. --P14

그래서 사진은 내게 비평적 전문분야로서 묘사적 서사에 대한 많은 동기—일련의 동기계획—을 얻을 수 있다. 사진에 관해 글을 쓰는 것은 음악에 관해 글을 쓰는 것에 비해 대체로 쉬울 수 있다.

Criticism offers an opportunity not to be explain away one's reactions but to articulate, record and preserve them in the hope that doing so might express a truth inherent in the work. --P15

비평은 어떤 작품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해명하는 기회가 아니라, 작품에 내재하는 진실을 드러낼 희망으로 그 반응을 명확하게 표현해서 기록하고 보존할 수 있는 기회다.

It is --or was-- the photographer's ideal; to be highly regarded --literally, much looked at --yet almost anonymous. Very little known about Atget the man. --P20

깊이 존경받고 말 그대로 많이 알려진다 해도 거의 익명으로 남는 것이 사진작가의 이상이다. 혹은 그랬던 적이 있다. 외젠 아제(프랑스 사진작가, 1857~1927)라는 사람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A photograph is not the same as the thing photographed. But sometimes photographs make you conscious of that thing in a way that the thing itself never quite did. More precisely, they make you aware of things --stuff--about that thing of which yiu were either barely conscious or entirely oblivious. --P114

사진은 사진에 찍힌 사물과 같지 않다. 그러나 사진은 사물 자체에서 전혀 인식하지 못했던 것을 인식하게 해주기도 한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사진은 사물에 관해 거의 의식하지 못했거나 완전히 망각하고 있던 것을 알려준다.

It's to be expected. You take photographs in order to document things and these documents then a quality of elegy. What is extraordinary is the speed with which this happens, the brevity of the ‘then’. --P150

예상된 일이다. 사람들은 사물을 기록하기 위해 사진을 찍는다. 그리고 그런 기록은 애가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특별한 것은 그것이 일어나는 속도와 ‘그런 다음’의 간결성이다.

We are used to the idea of photographs stopping time; in some of these photographs it seems that the landscape itself became arrested in time, that this is what the photographs duly record. --P256

우리는 사진이 시간을 멈춘다는 개념에 익숙하다. 이 사진 중 일부에서는 풍경 자체가 시간 속에서 갇혀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이 바로 이 사진이 적절하게 기록한 것이다.

I became interested in photography not by taking or looking at photographs but by reading about them. The names of the three writers served as guides will come as no surprise:Roland Barthes, Susan Sontag and John Berger. --p307

나는 사진을 찍거나 보는 것이 아니라 사진에 관해 읽음으로써 사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가이드 역할을 한 세 작가가 롤랑 바르트, 수전 손택, 존 버거인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 사진은 일상언어를 통해 순간적으로 많은 이야기를 전한다

요즈음은 고화질의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누구나 하루에도 몇 장이든 원하는 사진을 찍을 수 있고, 글이나 말보다 사진으로 신속한 이야기를 전달하는 세상이 되었다. 사진은 재판에 증거자료도 사용되고, 신속한 보도자료나 상업적 광고자료도 사용된다. Facebook, Instagram, Twitter, 카카오톡 등 많은 SNS에서 사진은 강력한 메시지 전달수단이다. 이처럼 사진은 사용 용도가 무궁무진하며 사용 목적 또한 헤아릴 수가 없다,

이제는 사진이 일상언어가 되고 일상용품이 되어버린 세상이다. 사진기술의 발달로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만들어내 영화와 광고 등에 사용하기도 한다. 수많은 영상자료를 아카이브에 저장하여 보관하고 사용되기도 한다. 사진은 삶의 기록으로서 없어서는 안 될 생활필수품인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사진은 찍는 사람의 의도대로 찍혀서 전달된다. 유용한 측면도 많지만 사진이 악용되는 점도 경계할 필요성이 있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