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로 세상읽기】개인문집은 역사의 자료로서 중요하고 가치가 있다

김위영 산업번역 크리덴셜 대표 승인 2022.08.29 14:24 | 최종 수정 2022.08.29 15:35 의견 0

Though Zhang Dai had known so many people across the years, though he had so many children, though he had labored so long to catch the lives of others as they glided by, it seems that nobody took the trouble to record the exact time or the circumstances of his final journeys. So we are free to remember him at the end, if we wish, as giving birth to his final words like the leper woman giving birth to her baby, calling at once for a light so that he could see if his cherished offspring was free from blemish. --Jonathan D. Spence, Return to Dragon Mountain, P284

장다이는 오랜 기간에 걸쳐 수많은 사람을 알고 지냈고 많은 자식을 거느렸으며 오랫동안 고인의 발자취를 추적하려고 애썼지만, 누구도 그의 최후의 여정에 대한 정확한 시간과 상황을 기록하기 위해 고민하지 않았다. 그래서 원한다면 우리는 그의 마지막 모습을 자유롭게 상상해볼 수 있다. 문둥이 여인이 아이를 낳고 황급히 등불을 찾는 것처럼, 그도 등불을 가져오게 하여 소중한 자신의 저작에 흠이 없는지 살펴보았을 것이라고. --조너선 D. 스펜스 <룽산으로의 귀환> 중에서

미국 예일대학교 역사학과 Jonathan D. Spence(조너선 스펜스, 1936~2021) 교수는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적인 중국역사학자로 명성이 높았다. 그는 <근대 중국의 탐구>, <모택동>, <천안문>, <책의 반란>, <강희제> 등 수많은 저서를 통해 중국의 역사를 소개했다. <룽산(龍山)으로의 귀환>은 명청(明淸)시대 시골 출신의 선비 장다이(張岱,1597~1689)가 남긴 개인문집인 <도암몽억(陶庵夢億)>과 <석궤서(石匱書)> 등을 통해 명청대의 역사를 재구성한 수작이다. 이처럼 개인문집은 역사적으로 귀중하다. 선인들은 살아오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보고 겪은 일들을 시나 산문 또는 행장(行狀) 등 다양한 형태의 글을 작성하여 문집으로 남겨왔다. 이러한 개인문집이 역사적 자료로서 과거시대의 역사를 복원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 <The Return of Dragon Mountain(룽산으로의 귀환, 2007)>

<룽산으로의 귀환>은 장다이라는 한족(漢族) 출신의 지식인을 통해 명·청 교체기의 역사를 조명한 스펜스 교수의 저술이다. 저장성(浙江省) 사오싱(紹興)의 명가 출신이었던 장다이는 몇 번의 향시(鄕試)에서 떨어진 후 사실상 과거를 포기하고 차(茶)·서화감상·거문고·연극연출 등의 다양한 취미생활을 즐긴다. 그는 명조가 몰락한 후 고향으로 돌아와 저술에 몰두했다.

When Zhang Dai was born, in 1597, the Ming dynasty had been in place for 229 years. Time measured on a Ming framework was the only time Zhang knew—until, that is, all ended in 1644 with the dynasty’s fall. --P1

1597년 장다이가 태어났을 때 명조는 229년 동안 존속되고 있었다. 명조의 체제에 맞춰져 있는 시간이 장다이가 알고 있던 유일한 시간이었는데, 이 시간은 1644년 명조의 멸망과 함께 끝났다.

One cannot say Zhang Dai was an ordinary man, but he was surely closer to ordinariness than he was to celebrity. He was a lover of history as much as he was a historian, an observer as much as an actor, a fugitive as much as a fighter, a son as much as a father. He had passions for many things and many people, as most of us do, but he tried to get into the deep and dark places as well, to be an excavator. --P12

장다이는 보통사람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유명인사보다는 평범한 보통사람에 더 가까웠다. 그는 역사가이자 역사애호가였고, 행동하는 사람이자 관찰자였으며, 투사이자 도망자였고, 아버지이자 아들이었다. 그는 대부분 범인과 다를 바 없이 많은 사물과 사람에 열정을 품고 있었지만 깊고 캄캄한 곳으로 파고드는 탐구자가 되려고 노력했다.

“Zhang Dai worked away at his books, but got nowhere,” wrote Zhang. He studied swordsmanship, but got nowhere; he tried to follow the norms of good conduct, and got nowhere; he tried to be a writer and got nowhere; he studied magical arts and studied Buddhism, he studied agriculture and studied horticulture, but all to no avail. --P169

“장다이는 열심히 책을 읽었지만 이룬 게 없었다”라고 썼다. 검술도 배웠으나 쓸모가 없었다. 선행의 규범을 따르고자 했으나 여의치 않았다. 문장가가 되려 했으나 쉽지 않았다. 마술, 불교, 농사, 원예를 배웠으나 모두 쓸모가 없었다.

The “thing about history” wrote Zhang Dai, in the same stone casket preface, “is that those who really could write it, don’t: while those who should not be writing it, do.” --P240

장다이는 <석궤서> 서문에서 “역사란 쓸 수 있는 사람이 쓰지 않고, 써서는 안 될 사람이 쓴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Wasps and scorpions gave what looked like the final sting, but “the flies and maggots were already writhing in the privies before the bandits got there.” That was the true legacy of corruption that Zhang and his fellow survivors had regretfully inherited. --P 247

최후의 독침처럼 보이는 독을 쏜 것은 말벌과 전갈이었지만, “도적이 궁정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변소에는 파리와 구더기가 들끓고 있었다.” 명조의 멸망은 장다이와 살아남은 동시대인들이 애석하게 물려받았던 부패의 진정한 유산이었다.

When Zhang at last completed it in 1664, the Stone Casket history was almost two and a half million characters in length, and covered in detail all the years from the rise of the Ming founding emperor in the 1360s down to Emperor Tianqi’s death in 1627. --P 260

1664년에 장다이가 마침내 완성한 <석궤서>는 거의 250만 자에 달하는 방대한 역사서로, 명 태조가 실력자로 부상한 1360년대에서 천계제(天啓帝)가 사망한 1627년까지 일어난 일들을 상세하게 다루었다.

He began his obituary in these words: “Zhang Dai, a man whose family hailed from the realm of shu, had the courtesy name Taoan, As a youth he was a real dandy, in love with the idea of excess; he loved exquisite shelter; he loved pretty maidservants; he loved handsome serving boys; he loved bright-colored clothes; he loved perfect food; he loved handsome horses; he loved colorful lanterns; he loved fireworks; he loved the theatre; he loved the trumpets' blare; he loved antiques; he loved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P272

장다이는 자신의 묘지명을 다음 말로 시작했다. “장다이는 촉에서 이주한 집안 출신으로 호는 도암(陶庵)이었다. 젊어서는 명문가의 도련님으로 과다한 생각을 사랑했다. 그는 독특한 정사(精舍), 아름다운 여종, 미소년, 화려한 의상, 맛있는 음식, 준마, 화려한 등, 불꽃놀이, 극단, 나팔소리, 골동품, 화조도를 사랑했다.”

◆ <The Confusions of Pleasure ; Commerce and Culture in Ming China(쾌락의 혼돈 ; 중국 명대의 상업과 문화, 1998)>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아시아연구소 중국사학자인 Timothy Brooks(티모시 브룩, 1951~ )이 명나라에서 상업이 차지한 위치와 그로 인한 문화적 ‘쾌락’, 그리고 그것이 불붙인 ‘혼돈’을 당대의 지방지와 논설, 비문, 서간문 등의 자료를 통해 거시적으로 추적했다. 전기(겨울), 중기(봄), 후기(여름)와 멸망(가을)의 사계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 명사가 아닌 평범한 장타오(張濤, 1586년 진사)와 장다이 등의 문집을 통해 명대 상업의 부흥을 설명하고 있다.

Zhang Tao is a minor figure in Ming history. In the bulky official history of the dynasty his name comes only once. But we can piece together something of his story from the gazetteers of Sheh andhis home country of Huangpi, some 500 kilometers up the Yangzi River. --P6

장타오는 명조(明朝) 역사에서 두드러진 인물은 아니다. 방대한 명사에 그의 이름은 딱 한 번 나올 뿐이다. 그러나 서현과 양쯔강 위쪽으로 500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그의 고향 황피(黃陂)현의 지방지에서 그의 이야기를 조합해낼 수 있다.

Zhang read the history of the Ming as an inexorable fall. The dynasty had descended from the fixed moral order imposed by the dynastic founder, Emperor Taizu Hongwu era(r.1368~98; also called the Hongwu emperor), toward a thoroughly commercial, and, in his eyes, morally debased, society. --P8

장타오는 명조의 역사를 가차 없는 추락으로 보았다. 명조는 태조 홍무제(1368~1398년 재위) 시대에 확립한 도덕적 질서에서 이탈해 버리고 말았다. 그의 시각으로는 완전히 상업적이며, 도덕적으로 점점 타락한 사회가 되었다.

Those who enriched themselves through trade became the majority, and those who enriched themselves through agriculture were few. Zhang Tao. --P153

상업으로 부를 이룬 사람은 많아지고, 농사를 지어서 부를 이룬 사람은 드물다. -장타오.

The first Spanish galleons laden with silver arrived in Manila to trade for Chinese silks and porcelains in 1573. These luxury goods, which fetched high prices in Europe and made their carriage there profitable, especially as silver became cheap, were what drew this silver into the Chinese market where it could buy so much. --P230

은을 실은 최초의 스페인 배가 중국산 비단과 도자기를 거래하기 위해 마닐라에 도착한 것은 1573년이다. 비단과 도자기 같은 사치품은 유럽에서 고가에 팔렸고, 특히 은이 쌌기 때문에 이런 운송은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 이래서 물건을 많이 살 수 있는 중국시장으로 은이 유입된 것이다.

The wealthy Shaoxing scholar and cultural arbiter Zhang Dai(1597—1689) provides a list of many artisans whose names one would want to look for, craftsmen whose work made them “the social equals of gentlemen of the gentry”. --P226

사오싱(紹興)의 부유한 학자이자 문화비평가였던 장다이(張岱,1597~1689)는 사람들이 찾고 싶은 수많은 예술가의 이름과 작품으로 ‘진신(縉紳)의 반열’에 올려놓을 공예가들의 이름 목록을 제공했다.

Zhang Dai is one of the best guides to the floating world of Hangzhou in the closing decades of the Ming. His “dream essays” as he called them, written after the fall of the Ming, are filled with recollections sharpened, perhaps distorted, by a painful sense of loss and the knowledge that the late-Ming world in which he had lived, moving through the fashionable monde of “aristocrats and consort families, senior statesmen, colleagues”, existed nowhere but in his memory. --P234

장다이는 명말 항저우의 부유하는 세상을 안내해 줄 최고의 길잡이 중 한 명이다. 그의 <도암몽억>은 명의 몰락 후에 쓰였는데, 고통스러운 상실감에 의해 예민해지고 뒤틀린 회상으로 가득 차 있다. 그리고 그가 살았던 “귀족과 외척, 원로정치인, 동료의 부유한 사교계를 통해 움직였던 명말의 세계”가 그의 기억 외에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았다.

In the spring of 1640, Zhaoqing Monastery, site of the great pilgrim’s fair, burned to the ground. The same year Hangzhou was struck by famine. Even the wealthy were reduced to eating rice gruel, and the rural poor cooked and ate their silkworm cocoons to stave off starvation. --P237

1640년 봄에 거대한 참배객들의 축제 장소였던 소경사(昭慶寺)는 소실되었다. 같은 해 항저우는 기근에 시달렸다. 부자들도 쌀죽으로 연명했고, 농촌의 가난한 사람들은 기근에서 살아남기 위해 키우던 누에를 요리해 먹었다.

Three years later, the military forces of the new Qing dynasty reached Hangzhou. Zhang fled with a few boxes of books into the hills of his native Shaoxing, leaving behind the rest of the 30,000 volumes in his library. The occupying troops used them as fuel to keep themselves warm in the winter of the new dynasty. The culture of the late Ming was over. Or was it. --P237

3년 후인 1654년에 새로운 청군(淸軍)의 군대가 항저우(杭州)에 당도했다. 장다이는 책 몇 상자를 들고 고향 사오싱의 산속으로 도망쳐 들어갔다. 3만 권의 장서 중 나머지는 그의 서고에 남아 있었다. 점령군은 새 왕조의 겨울에 그 책들을 난방용 땔감으로 썼다. 명 후기의 문화는 끝났다. 아니, 끝나버렸는가?

One man in a hundred is rich, while nine out of ten are impoverished. The poor cannot stand up to the rich who, though few in number, are able to control the majority. The lord of silver rules heaven and the god of copper cash reigns over the earth. Zhang Tao. --P238

부자는 백에 하나이며, 빈자는 열에 아홉이다. 빈자들이 부자에게 맞서지 못하니 소수가 다수를 지배한다. 금령(金令)은 하늘을 맡고, 전신(錢神)은 땅에 우뚝 섰다. -장타오.

◆ 개인문집을 남기는 것은 배운 자의 의무이자 책임이다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총간을 기준으로 볼 때 고려와 조선 시대의 문집은 총 1,079종 1,078인(人)에 이른다고 한다. 특히 조선시대 후기에 중앙권력에서 300년 동안 밀려난 경상도 지역의 남인(南人)들은 세력을 결집하고 치열하게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서원이나 재실(사당)을 중심으로 뭉쳤고, 남인의 유학자들은 대다수가 개인문집을 남겼다. 개인문집을 발간하는 것은 대단한 공력과 재물이 들어가는 막대한 사업이며, 그 가치가 무척 크다. 그러나 우리의 한문 문집은 아직도 대다수가 한글로 번역이 안 된 상태에 있으며, 이는 문화적으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또한 한글로 번역된 문집이 영어로 번역되어 세계에 유포되어야만 할 과제도 안고 있다.

이처럼 개인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은 훈련도 필요하지만 논리와 지식의 충만한 기초 위에서 가능한 일이다. 개인문집을 간행하는 것은 자신의 삶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후세에게 자신의 생각이나 살아온 과정을 알려주기 때문에 과거와 현대를 연결하는 끈이 된다. 옛날 선인들의 문집을 통해서 그 당시를 복원하는 것은 역사가의 임무이지만 현대에서도 배운 지식인이라면 당연히 자신이 살아오며 겪은 생각이나 느낌을 글로 정리하여 남겨야 하는 것이 의무이자 책임이라 생각된다. 미국 대학 입시에서 에세이를 작성하는 글쓰기가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것도 다 이런 이유에서 일 것이다.

저작권자 ⓒ 고양파주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